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청량산 등반가, 17년 동안 13회 오르다
청량산(淸凉山)은 산림 가운데 가장 빼어난 곳이다. 나귀를 타고 지팡이를 짚고 찾아다니며 구경하는 경우나 질박한 옷을 입은 채 오래도록 머무는 경우에 있어서도 다른 산과는 매우 다르다.
금난수는 정미년(1547년, 명종 2년) 봄에 이 산을 두루 거치며 들어가 본 뒤에야 비로소 산의 진면목을 알게 되었다.
기유년(1549년, 명종 4년) 겨울에 이비원(李庇遠), 이임중(李任仲)과 함께 산에 들어가 상선암(上仙庵)에 머물렀다. 구경서(具景瑞), 윤이직(尹而直), 권자반(權子胖), 김대보(金大寶)가 이미 이 암자에 우거하고 있어서 날마다 구경서 등 여러 사람과 서로 모여서 독서한 것을 강론하였다.
경술년(1550년, 명종 5년) 봄에 또 이 암자에 묵었다.
신해년(1551년, 명종 6년) 음력 7월에 또 연대사(蓮臺寺)에 묵었는데, 퇴계(退溪) 선생께서 송행시(送行詩)를 지어 주셨다.
임자년(1552년, 명종 7년) 여름 6월에 산에 들어가 홀로 안중암(安中庵)에서 한 달을 머물고는 만월암(滿月庵)으로 거처를 옮겼다가 다시 한 달 쯤 지나 안중암으로 돌아왔다.
병진년(1556년, 명종 8년) 여름에 다시 연대사(蓮臺寺)에 묵었다가 금강굴(金剛窟)로 거처를 옮기고 한 달을 머물렀다.
정사년(1557년, 명종 8년) 겨울에 구여응(具汝膺)과 함께 산에 들어가 여응은 문수암(文殊庵)에 머물고 금난수 홀로 이 암자(보현암)에 묵었다.
무오년(1558년, 명종 9년) 겨울에 또 이인중(李仁仲) 삼형제와 함께 산에 들어가 세 사람은 문수암에 묵었고 금난수는 또 이 암자에 묵었다.
갑자년(1564년, 명종 19년) 정월에 두 아들 경(憬)과 업(忄/業)을 데리고 문수암에 묵었다가 금생굴(金生窟), 대승암(大乘庵), 중대암(中臺庵), 별실암(別室庵) 등으로 옮겨가며 묵었다.
대개 정미년부터 지금 갑자년까지 거의 20년 동안 이 산을 다녀간 것이 열두세 번이 된다. 예전에 지은 시들을 더듬어 보니 이미 지나간 흔적이 되어버렸고, 이비원, 이임중, 이인중은 모두 고인이 되었으니, 또한 그 감회를 금할 수 없다. 그 가운데 더욱 부끄럽고 가슴 아픈 것은 산에 들어 갈 때에는 마음과 생각을 깨끗이 하고 책상에서 책을 보며 몸과 마음을 정리하여 본원(本源)을 함양해서 뒷날에 도를 받아들이는 바탕을 만들고자 하였으나, 다른 세속의 업무에 휘둘리거나 일 때문에 곧장 산을 나와서 공부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다.
산문(山門)을 나서자마자 귀로 듣고 눈으로 보는 것이 사물의 끝없는 변화를 만나게 되자 마침내 지켜낼 수 없게 되었다. 그나마 조금 얻은 것도 함께 다 잃어버려, 모든 언행(言行)에 있어서 한 가지도 볼 만한 것이 없게 되었으니, 도리어 세상 속에 빠져 사는 것만 못하게 되었다. 지금까지도 헤매고 있으니 끝내 소인이 되어버림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로써 사람이 수양하는 것은 학업에 힘씀이 어떠한가에 달려있는 것이지 처해 있는 곳의 시끄럽고 조용한 것과는 관계가 없음을 알았다. 뒷날 산에 들어가는 사람은 금난수를 보고 경계로 삼으라.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