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조선시대 회답사에 대한 접대
일본내 '한류의 원조'라면 흔히 조선통신사가 거론된다. 그들은 막부에 대한 동향 탐지, 일본인 개화 등을 이유로 17-18세기에 집중적으로 일본을 방문했다.
조선통신사는 막부의 융숭한 대접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도대체 어떤 대접을 받았을까.
제임스 루이스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 일본 막부정권이 당시 농업생산량의 3-12%에 이르는 막대한 재화를 통신사 접대비로 썼고, 이로 인한 조세 증가와 노역으로 민란이 발생할 정도로 불만이 폭주했다고 주장했다.
루이스 교수는 31일 '17-19세기 동아시아 지식정보의 유통과 네트워크'를 주제로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이 주최한 국제학술대회에서 '문명의 가격 17-19세기 조선의 일본사절의 역할과 비용'이라는 발제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일본의 각 지방정부와 막부정권은 조선통신사 접대를 위해 "도로 정비, 도로 건설과 청소, 교각 정비와 건설, 휴게소 건설 등을 하고 심지어는 야외 화장실을 건설하기까지 했다"고 말했다.
그는 1655년에는 100만석, 1682년에는 300만석의 쌀을 조선 사절단을 위해 사용했다는 보고서가 있는데 이를 1697년 일본 쌀 총생산량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전체 농업생산량의 약 3.2-11.8%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이어 "17세기 일본 국부의 최소한 3% 이상이 통신사를 접대하는데 사용했고, 18세기에 이 비용은 더 증가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같은 막대한 비용은 자연스레 국민에 대한 조세 부과로 이어졌고, 이는 일본 민초들의 불만을 자극했다.
루이스 교수는 막부가 조선 사절단이 지나가는 경로의 마을에 특별세를 부과하고 많게는 노역에 수만 명을 동원했다며 통신사가 온 1764년에 20만 명의 농민이 조세 감면을 요구하며 거리로 나선 민란에도 통신사가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통신사에 대한 엄청난 지출은 막부로서도 부담이 됐다. 루이스 교수는 "19세기에 이르러서, (통신사 접대) 비용은 파괴적인 수준에 이르렀고, 조선의 통신사는 중지됐다"고 말했다. 막부가 발전된 문명국과 지속적으로 교류하기를 바랐지만 엄청난 비용 때문에 결국 지속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한편 이날 학술대회에는 '18-19세기 지식정보의 유통메커니즘'(진재교 성균관대), '18-19세기 조선사회 서양의학 수용양상'(신동원·카이스트), '작자의 초상 동아시아 도서사의 일단면'(오키 야스시·도쿄대) 등의 논문 발표와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부산일보> 조선통신사는 어떤 대접 받았을까?
조선통신사는 1607~1811년 200여 년간 모두 12회에 걸쳐 일본에 파견됐다. 일본 막부는 이 가운데 11회를 시모노세키에서 조선통신사를 맞이하는데, 1711년 8번째 통신사가 방문했던 때 '지역 제일의 진수성찬'이라는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 최고 요리를 내놓는다.
일본은 통신사 일행의 식사 때는 3사(정사, 부사, 종사관)를 직접 대접했는데 3사에 대한 요리 대접은 통신사의 배가 시모노세키에 도착한 밤에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때 제공되는 요리가 오오삼(553)선(膳). 553선은 본선, 이선, 삼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선과 이선에는 각 5가지(품)의 나물, 삼선에는 3품의 나물이 들어갔다고 한다. 초기엔 칠오삼(753)선의 요리가 있었지만, 예산 감소로 553선의 요리로 조정됐다.
753선이나 553선은 의전용 본전요리의 최고급으로 다만 예를 갖추기 위한 음식이었기 때문에 실제로 먹지는 않고 보기만 하는 의식용 음식이었다고 한다. 손님을 접대할 때 한국에선 구첩, 칠첩, 오첩 반상이 있다면, 일본에선 다분히 의식용이긴 하지만 753선, 553선이 있는 셈이다.
조선통신사 역사관(부산 동구 범일동)은 조선 중기 일본을 방문한 조선통신사가 시모노세키에서 대접받았던 요리를 재현한 '조선통신사 요리재현 모형전'을 20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는 시모노세키 종이인형 작가인 후지이 히사코(72)가 역사적 고증을 바탕으로 지점토와 견직물을 사용해 제작했다. 견직물을 음식재료의 색으로 물들이고 실제 거북이 발이나 새우껍질을 사용하는 등 실물과 비슷하게 제작했다.
허장수 부산문화재단 국제문화교류 팀장은 "시모노세키를 방문한 조선통신사 일행에게 대접한 최고 향응 요리인 '나가토하지관 진수성찬'을 바탕으로 553선을 재현한 모형으로 시모노세키시에서 임시로 빌려 와 전시하고 있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당시 일본 음식문화와 통신사의 위상을 엿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역사관 입구 전시장엔 도미회와 생선구이 절임 요리, 매화와 황밤설탕조림의 5품과 우엉, 무, 표고버섯, 생선 경단을 넣은 국과 밥으로 꾸며진 본선 요리부터 이선, 삼선 요리가 전시돼 있다. 또 경사스러운 인형을 장식해 요리와 함께 나오는 장식물인 '시마다이', 복숭아와 잡초, 갈대로 장식한 안주 받침대인 '오사에' 등도 볼 수 있다. 삼선 요리 중에는 왕새우, 소라, 오리(혹은 닭고기)도 눈에 띈다.
조선통신사에 대한 에도 막부의 대접은 당시 일본 재정을 압박할 정도로 융숭했다. 그 비용이 막부 1년 예산의 절반에 달했다고 한다. 이처럼 막대한 예산을 들여 통신사 일행이 머무는 일본 각 지역에서는 최고의 진수성찬이 차려지게 됐다.

관련이야기 소재

회답사의 행차에 음식을 마련하지 못한 아전, 스스로 목을 매다 테마스토리 이동

1607년 7월 22일, 들으니, 비안(比安)의 아전이 목을 맸다고 한다. 놀랍고 참혹한 일이다.
회답사(回答使)의 행차가 먼저 이문(移文)도 없이 갑자기 들이닥쳐 음식을 마련하지 못하자, 아전의 처지가 몹시 군색해지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음식 때문에 사람을 죽음으로 몰고 갔으니, 관직에 있는 자가 훗날 경계를 삼을 만하다 할 것이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