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하루가 멀다 하고 활쏘기 연습


그간 과거시험을 준비하던 노상추는 고민 끝에 문과 시험 준비를 그만두고 무과 시험을 준비하기로 했다. 조부인 노계정(盧啓楨)도 무과로 관직에 진출하였기 때문에 따로 마음에 걸릴만한 점은 없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고민하는 시간이 짧지도 않았다. 이미 2년 전부터 무과시험을 볼까 하는 생각은 가지고 있었고, 주위에서도 노상추의 생각을 지지해 주었다. 오랜 고민 끝에 노상추는 완전히 마음을 정하고, 활터로 나아가 처음부터 활쏘기를 배우기 시작했다.

노상추가 살고 있던 선산에는 고남(古南)에 활터가 만들어져 있었다. 노상추는 고남의 활터에 가서 매일같이 활쏘기를 연마했다. 틈틈이 『징비록(懲毖錄)』도 챙겨 읽으며 임진왜란 때 있었던 군사적 사건 등을 익히는 것도 잊지 않았다. 날이 가물어서 집안 농사가 걱정되는 마음을 뒤로하고 노상추는 5월 내내 활을 쏘았고, 5월 말에는 드디어 각궁(角弓)도 새로 샀다. 하지만 받아본 활에는 탈이 많아서 당장 각궁을 가지고 활쏘기를 연습할 수는 없었다. 어쩌면 아직 각궁을 쏘기에는 실력이 부족했던 것인지, 노상추는 다시 새 목궁(木弓)을 샀다.

선산에는 신당포(新堂浦)에도 활터가 있었다. 6월 중순부터는 이곳에 가서 활을 쏘기 시작했는데, 신참은 예로부터 신참례(新參禮)를 해야 한다는 말에 따라 어쩔 수 없이 고기 한 접시와 술 몇 병을 준비해 가서 활터의 여러 사람을 대접해야 했다. 신당포 활터 사람들은 짓궂게 신참을 뜯어먹으며 희희낙락했지만, 또 한편으로는 여러 조언을 아끼지 않으며 노상추를 챙겨주었다.

출전 : 노상추일기(盧尙樞日記)
저자 : 노상추(盧尙樞)
주제 : ( 미분류 )
시기 : 1770-05-17 ~ 1770-07-08
장소 : 경상북도 구미시
일기분류 : 관직일기, 생활일기
인물 : 노상추, 노계정

관련자료링크  더보기


처음 본 과거시험보다 신기한 용안(龍顔)


아침 일찍, 신포(新浦) 활터의 동자가 친구들의 편지를 전하러 노상추의 집에 왔다. 이에 활터에 가려고 준비 중이었던 노상추는 도성에 갈 것을 결심하였는데 친구들의 편지에는 과거시험이 엿새 후인 10월 9일에 있다고 하며, 시일이 매우 급하므로 자신들 먼저 출발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노상추도 이것저것 잴 겨를이 없었다. 빨리 출발한다고 해도 과연 과거시험 전에 서울에 도달할 수 있을지 알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노상추는 학봉(鶴奉)과 함께 서울에 동행하기로 약속하고 이튿날 남자종 손돌(孫乭)을 데리고 일찌감치 북쪽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매일같이 100여 리를 넘게 가야 하는 고된 일정이었고 노상추와 동행하는 활터의 친구 중에서는 다리가 아파 더는 걸을 수 없을 지경이 된 사람이 나올 정도였다. 그래도 이렇게 부지런히 나아간 덕에 과거시험 하루 전인 10월 8일에 한강을 건너 도성에 들어갈 수 있었다.

아픈 다리를 쉬게 해 줄 새도 없이 10월 9일에는 모화관(慕華館)에 나아가 무과 시험을 치렀다. 이후 11일에는 훈련원의 활터에서 초시를 보았는데, 정유목(鄭惟穆) 이외에는 노상추와 동행한 모든 사람이 다 떨어졌다. 회시는 22일로 정해졌다가 다시 27일로 미뤄졌고 이 때문에 지방에서 올라온 많은 사람들이 노자가 떨어져 곤란을 겪기도 하였다.

이번 과거시험은 급하게 열리는 바람에 지방의 많은 거자(擧子)들이 제때 도착하지 못했고 시험에 응시조차 하지 못한 경우도 많았다. 노상추는 가까스로 시일에는 맞춰 왔으나, 결과는 낙방이었고 실망감에 일찌감치 고향에 돌아갈 생각이었지만 함께 올라온 여러 친구들이 좀 더 서울에 머물기를 권했다. 결국, 함께 길을 떠나온 학봉만 먼저 고향으로 돌아갔고 노상추는 정명준(鄭明俊), 박상택(朴相宅)과 함께 여사(旅舍)에서 며칠을 더 머무르기로 하였다.

지난 2월 과거시험을 보러 서울로 올라왔을 때, 임금의 행차를 멀리서나마 구경하고 싶어 한참을 길목에서 기다렸으나 아쉽게도 임금의 용안을 보지 못하고 돌아간 적이 있었는데 이번에 마침 국조(國朝) 선대 분묘의 지석(誌石)을 얻어 묘우(廟宇)을 건립하고 능(陵)으로 봉하는 의례가 거행될 예정이었기에 다시 임금의 행렬을 구경할 기회를 얻었다.

노상추는 의례가 거행되는 날인 22일, 친구들과 함께 새벽같이 도성 남쪽으로 가서 좋은 자리를 잡고는 위엄 있는 의식을 구경하였다. 자리가 워낙 좋았기에 용안도 가까이에서 볼 수 있었다. 80세의 나이 든 임금은 서리가 내리는 추운 아침임에도 불구하고 풍차(風遮)나 휘항(揮項)으로 귀를 가리지 않은 채였다. 그러면서도 추운 기색이 하나 없으니, 노상추는 임금의 정정함에 내심 감탄하였다. 곧이어 행렬이 움직여 서빙고로 향했고, 서빙고 나루에서 위패를 실은 대가는 누선(樓船)에 올라 강을 건넜다. 그 뒤 과천현까지 갔다가 돌아와 환궁하니, 일정이 모두 끝난 때는 어느덧 밤이었다.

용안을 볼 기회는 한 번 더 있었다. 27일에 열리는 회시는 임금이 친람(親覽)하였기에 노상추는 시험을 볼 것도 아니면서 경희궁 흥화문(興化門) 앞으로 새벽부터 나가 자리를 잡았다. 사람들이 시험을 마치자 임금을 태운 연이 궁궐 문밖으로 나왔다. 지난번보다 가까이에서 용안을 본 노상추는 매우 흡족한 마음으로 다음날 고향으로 돌아갔다.

출전 : 노상추일기(盧尙樞日記)
저자 : 노상추(盧尙樞)
주제 : ( 미분류 )
시기 : 1771-10-03 ~ 1771-10-28
장소 : 서울특별시
일기분류 : 관직일기, 생활일기
인물 : 노상추, 정유목, 정명준, 박상택, 영조

관련자료링크  더보기


선배가 준 불확실한 정보 때문에 벼락치기하다


무과 시험을 보러 서울에 올라온 노상추는 서둘러 숙소를 정하였다. 이번 숙소는 모화관(慕華館) 근처의 동지(同知) 이재흥(李載興)의 집이었다. 함께 올라온 김덕여(金德汝)는 성균관 근처 반촌으로 가고, 정화경(鄭和卿)은 동대문 인근으로 숙소를 정하였다. 뿔뿔이 흩어져 짐을 일단 풀어놓은 뒤, 노상추 일행은 정화경의 숙소에 다시 모였다. 정화경의 숙소 주인이 지금 과거시험을 대비하여 선배[先進]에게 『경국대전(經國大典)』을 배우고 있는데, 그 강론에 참여하기 위해서였다. 노상추 일행은 사흘간 『경국대전』의 법 조항에 대해 배웠다.

며칠 뒤, 무과 시험이 열렸다. 먼저 활쏘기 시험을 치러야 했다. 가장 처음으로 쏜 것은 목전(木箭)이었는데, 노상추는 동행들보다 꽤 괜찮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다음으로는 육량전(六兩箭)을 쏘았다. 첫 번째 화살은 실패했지만 그래도 다음 화살은 그럭저럭 잘 쏜 것 같았다. 조총 성적도 나쁘지는 않았다. 이제 남은 강서 시험만 잘 보면 어느 정도 결과를 기대해볼 만했다.

강서 시험도 바로 이어 시작되었다. 사실 강서 시험은 영 불안했다. 서울에 올라오기 전 강서 시험을 준비하고 있을 때, 선배들이 노상추에게 식년시에는 『오자(吳子)』에서 출제된다는 이야기를 해서 『오자』를 죽어라 팠는데, 서울에 올라와서야 『오자』가 출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그래서 밤을 새워서 『삼략(三略)』을 두 번 읽기는 했으나 어디까지나 벼락치기이므로 제대로 내용을 익혔다고 할 수는 없었다.

과연 강서 시험에서는 『삼략』의 구절 중 ‘간사한 신하가 위에 있으면 모든 군사가 다투게 되고[軍讖曰 侫臣在上 一軍皆訟]’의 대문(大文)이 출제되었다. 노상추는 ‘거짓으로 용렬한 사람을 칭찬하며[誣述庸庸]’라는 네 글자를 제대로 뜻풀이하지 못해 결국 불통(不通)을 맞고 말았다. 노상추의 동행들도 죽을 쑨 듯했다. 결국, 아무도 합격하지 못한 채, 어깨를 축 늘어뜨리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수밖에 없었다. 문무를 겸비하기가 이렇게 어렵단 말인가.

출전 : 노상추일기(盧尙樞日記)
저자 : 노상추(盧尙樞)
주제 : ( 미분류 )
시기 : 1777-09-07 ~ 1777-09-19
장소 : 서울특별시
일기분류 : 관직일기, 생활일기
인물 : 노상추, 이재흥, 정화경

관련자료링크  더보기





집필자 소개

글 그림 | 권숯돌
권숯돌
1972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방송작가 일을 하다가 이십대 후반에 심리학을 공부하러 일본으로 와서는 지금까지 눌러살고 있다. 글과 그림으로 소통하는 일을 좋아한다. 2019년 다음웹툰에 연재된 독립운동가 윤희순 선생의 일대기 <희순할미> 스토리를 썼다.
“조선시대 군인들의 강무”


마상재(馬上才)는 달리는 말 위에서 사람이 행하는 갖가지 재주로, 농마(弄馬), 희마(戱馬), 마희(馬戱), 곡마(曲馬), 원기(猿騎), 무마(舞馬), 표기희(驃騎戱), 마기(馬技), 마기(馬伎), 입마기(立馬技), 마술(馬術) 또는 말광대, 말놀음 같이 다양한 용어로 불린다. 이들 용어 가운데 훈련된 말에게 여러 기예를 익히게 하는 무마(舞馬)를 제외하고, 그 나머지 용어는 기수가 달리는 말 위에서 여러 가지 동작을 취하여 재주를 부리는 기예를 뜻하는 말이다. 특히 마상재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붙여진 명칭으로 민간에서는 주로 마기(馬伎)라 불렀다. 하지만 마기가 아니라 희마(戱馬)가 옳다는 주장이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미루어 희마가 옳은 표현으로 보인다.

“사족의 필수교양, 활”

금난수, 성재일기,
1592-11-20 ~ 1592-12-29

금난수와 그 벗들은 젊을 적부터 간간히 활을 쏘며 놀았다. 활쏘기는 사족들이 반드시 익혀야 할 교양 중 하나였다. 나라에서도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도 향사례(鄕射禮)를 「군례(軍禮)」 의식으로 규정하여 매년 3월 3일과 9월 9일에 여러 도, 주, 부, 군, 현에서 행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성종 때 까지도 제대로 시행되지 않다가, 이후 향촌사회의 안정을 도모하는 정책이 논의되면서 향사례가 시행되었다. 활쏘기는 단순히 화살로 과녁을 맞히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뜻을 바로 하는 예의와 덕과 선을 권하는 데 의의가 있었다.
그리하여 금난수를 비롯한 사족들은 젊을 때부터 활을 쏘는 데 익숙하였다. 비록 평소엔 붓보다 무거운 것은 들지 않는 백면서생이라 할지라도 모두 활은 쏠 줄 알았던 것이다. 금난수는 활쏘기를 구경하는 것도 좋아했는데, 11월 20일에는 이성여의 집으로 가서 활쏘기를 구경하였다. 활을 쏘는 사람들은 젊은이들이 아니었다. 젊은이들은 왜적에 대항하기 위해 의병으로 나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지금 향촌을 지키고 있는 것은 노인들이었다. 노인들은 오랜만에 활을 들어 보았다. 모인 사람들은 금응훈, 이공숙, 박몽담 등 10여 명이었다.
활쏘기 구경만 하고 돌아왔던 금난수는 12월 29일에는 직접 아들들을 거느리고 집 뒤 정자에서 활쏘기를 익혔다. 오랜만에 활을 든 이유는 둘째 아들 금업이 두 손자 정일(貞一)과 일생(一生)를 데리고 왔기 때문이었다. 어린 손자들과 세 아들 앞에서 금난수는 노익장을 가감 없이 발휘하였다. 손자들은 과녁에 화살을 꽂아 넣는 할아버지의 모습을 보며 천진하게 박수를 쳤다..

“활 입문자에게 무과응시는 아직 먼 이야기”

노상추, 노상추일기,
1770-11-03 ~ 1770-11-11

무과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지난 5월부터 활쏘기에 여념이 없었던 노상추는 슬슬 좋은 활을 가지고 싶었다. 마침 공성(功城)에 사는 궁인(弓人) 김룡(金龍)이 노상추가 활을 쏘러 다니는 고남(古南)에 왔다고 하기에 김룡을 만나러 갔다. 노상추는 김룡과 더불어 한동안 활 이야기며, 무과 시험에 관한 이야기를 하며 노닥거렸다. 하지만 노상추는 지금 노닥거릴 때가 아니었다. 곧 과거시험이 열릴 예정이었기 때문이다.
왕이 한동안 병환에 시달리다가 얼마 전 병을 털고 일어났는데, 이를 기념하기 위한 정시(庭試)의 초시가 열흘 뒤인 11월 17일에 치러진다는 소식이 횡성(橫城)으로부터 전해졌다. 노상추와 함께 활을 쏘며 과거시험을 준비하던 동접(同接)들이 모두 술렁였다. 신포(新浦)의 활터에서 언제 과거를 보러 출발할 예정이냐는 등, 지금부터 출발하면 도성에서는 어디에서 묵을 것이냐는 등 서로 대화를 나누는 동접들을 보면서 노상추는 자신도 과거시험을 보러 가야 할지 고민에 빠졌다. 아직 무과를 위한 준비를 한 지가 반년밖에 안 된 터라 자신이 없었다. 노상추는 잠자코 활을 집어 들고 과녁을 향해 활을 쏘면서 상념에 빠졌다.

“활쏘기 시합에서 첨사에게 멋지게 복수하다”

박계숙, 부북일기,
1606-04-03 ~ 1606-04-04

1606년 4월 3일, 함경도 최북단 회령에도 완연한 봄이 찾아왔다. 박계숙(朴繼叔)이 이곳 보을하진에서 근무한지도 어언 4개월이 되었다. 부임 초 몸에 병도 들고, 습진에 참석하지 못해 곤장도 맞아 곤경에 처한 일도 있었지만 이제 이곳에서 생활도 제법 익숙해져가고 있었다.
어제 3일에는 보을하진의 무사들과 박계숙(朴繼叔)처럼 남쪽에서 온 일당백장사들 사이에 큰 내기가 벌어졌다. 바로 활쏘기 시합을 하기로 한 것이다. 보을하진에서는 첨사 민열도가 주장이 되고, 남쪽 장사들 중에서는 박계숙(朴繼叔)이 주장이 되었다. 한 사람이 활 5순씩 쏘아 종일토록 쏘았다. 시합 결과 박계숙(朴繼叔)과 남래장사들이 14발을 더 맞추어 이겼다. 박계숙(朴繼叔)은 총 48발을 명중시켰고, 첨사는 46발을 명중시켰다. 항상 원칙을 내세워 부하들을 엄하게 다루는 첨사(僉使)이지만, 활쏘기에서 지고 나니 크게 멋쩍어 하였다.
어제의 패배가 분했던지 오늘 첨사가 다시 한번 활쏘기 시합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오늘도 역시 박계숙(朴繼叔)과 남래장사들이 11발을 더 맞추어 이겼다. 첨사가 3순씩만 더 쏘아 승부를 겨루자하여 하는 수 없이 3순씩을 더 쏘기로 하였다. 그러나 그래도 남래장사편이 4발을 더 맞추어 이겼다. 첨사는 분한 마음을 숨기지 못하고 얼굴이 울그락불그락하였다. 보을하진 소속 무사들 중에 토병군관인 서기충이란 자가 있는데, 두 번 시합에서 모두 꼴찌를 하였다. 가뜩이나 분한 마음이 들었던 첨사는 서기충에게 곤장 5대를 치도록 지시했다. 박계숙(朴繼叔)은 쌀 1석과 콩 1석을 상으로 받았다. 몇 달전 첨사에게 곤장을 맞고 분해했던 것을 멋지게 복수한 것 같아 박계숙(朴繼叔)은 마음이 뿌듯해졌다.

“김덕령의 군대 구성과 그의 복장”

정경운, 고대일록,
1594-02-07 ~ 1594-02-08

1594년 2월 7일, 김덕령(金德齡)은 함양에 이르렀다. 김덕령의 군대는 왼쪽에는 충용기(忠勇旗)를 세우고, 오른 쪽에는 익호기(翼虎旗)를 세웠으며, 또 삼군사명표(三軍司命標)를 세웠다.
군(軍)은 충용군(忠勇軍)이라 하고, 군관(軍官)은 부절사(赴節師)라 부르고, 대장 밑에 있는 군사인 아병(牙兵)은 첩평려(捷平旅)라고 불렀다. 군의 모습이 매우 엄숙했고, 호령이 엄정하고 분명하여 참으로 옛 양장(良將)의 풍모가 있었다.
2월 8일, 김덕령의 복장과 그의 풍모를 기록하였는데, 철립(鐵笠)을 쓰고 두 겹의 갑옷을 입었으며, 철혜(鐵鞋)를 신었고 철상(鐵裳)을 둘렀고, 칠척의 장검을 쥐었다고 한다. 또한 말에 뛰어올라 앞서 달리면서 스스로 진법(陣法)을 펼치고 몸소 지휘한 연후에, 산으로 올라가 명령을 내려 싸우고 달리고 격돌하는 것을 익히게 하니, 그 진법은 그가 스스로 만든 것이었다고 한다. 김덕령의 사람됨은 매우 무게가 있으며, 완력이 뛰어나, 그의 날랜 용맹은 비할 데가 없어서 사람들이 한계를 알지 못했다고 한다.
낮엔 흐리고 비가 내렸지만 저녁에는 날이 개고 달빛이 밝았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