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미래를 보지 못한다더니

“문복이요!”

골목 끝에서 낯선 이의 외침이 들려왔다. 문복이라. 오희문은 끄응 소리를 내며 돌아누웠다. 시골에 내려온 지도 벌써 네 달이 넘었다. 작고 수수한 마을 양지현은 골목마다 사람 사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오희문이 기거하는 시골집은 크지 않았으므로 주위를 스쳐가는 온갖 말들이 담장을 넘어 집안으로 들어왔다. 때로는 낯선 목소리들이 오희문에게 위로가 되기도 했다. 방안에 홀로 누워있노라면 마을 사람들이 두런두런 나누는 사사로운 잡담과 떠도는 소문들까지 오희문의 귀에 들어왔다. 어떤 것들은 오희문의 호기심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문제는 희문이 몸을 일으킬 수 없다는 거였다. 어느덧 마을 사람들과 안면을 트고 인사를 나눌 시기도 지났건만 오희문은 오늘도 이렇게 방안에 누워만 있는 것이었다.

“문복이라.”

오희문은 혼자서 뇌까렸다. 앓아누운 지 100일째 되는 날이었다. 몸을 뒤척일 때마다 뼈마디가 부수어지는 통증이 느껴졌다. 대체 이게 무슨 병인가. 탕약도 이제는 지겨웠다. 용하다는 한양의 의원들이 왔다갔지만 약재만 조금씩 바뀔 뿐 차도는 없었다. 이렇게 대책 없이 앓다가 그냥 죽게 되는 것인가. 저렇게 문복을 외치는 점쟁이에게 자신의 길흉을, 앞으로의 운명을 물어보고 싶은 마음이 턱 끝까지 차올랐다. 오희문은 저도 모르게 끙 소리를 내고 다시 한 번 돌아누웠다.


조선 시대 의원에게 진료 받는 모습(출처: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


“시끄럽다고 내쫓을까요, 대감마님?”

옆에서 시중을 들던 늙은 하인이 눈치를 보며 물었다. 오희문보다도 나이 지긋한 석이 아범은 매일 오희문의 몸을 씻기고 끼니마다 직접 수저를 떠서 먹이면서도 지치는 기색이 없었다. 석이 아범은 늙었지만 건강했다. 그의 근육 잡힌 오른 팔과 자신의 비쩍 마른 두 팔을 번갈아 보면서 오희문은 서글퍼졌다. 석이 아범은 어려서 왼팔을 잃었다. 어쩌다 그리됐는지는 묻지 않아 모른다. 한 팔로도 모든 일을 척척 해내는 걸 평생에 걸쳐 보아왔다.

“자넨 안 불편한가? 그 팔 말일세.”

오희문이 석이 아범의 왼쪽 어깨를 가리키며 물었다.

“예에? 이놈이요?”

석이 아범은 자신의 오른팔을 번쩍 들어 올렸다.

“아이고. 없어진 놈 말씀하신 줄을 모르고.”

석이 아범이 히죽 웃으며 자신의 빈 왼쪽 소매를 풀럭거렸다.

“기억이 가물가물한디요, 애기 때부터 없던 놈이라. 저야 괜찮습니다. 보시기에 좀 볼썽사납지요? 대감마님?”

“아니, 아니야. 그 말이 아니네.”

오희문에게 석이 아범의 나머지 팔은 소실된 것이 아니었다. 석이 아범은 처음부터 그렇게 태어난 사람으로 보였다. 그는 한쪽 팔 만으로도 균형이 잡혔다. 이제 와 석이 아범에게 두 팔이 멀쩡히 있다면 도리어 이상해 보일지경이었다.

“두 팔이 있는 내가 자네한테 의지하며 살고 있지 않은가. 자네 몸동작을 보고 있으면 참으로 경이로워. 어찌 그리 해내나 싶고. 아범, 날 좀 일으켜주겠나. 좀 앉아야겠어.”

석이 아범이 가까이 다가와 상체를 받쳐주자 오희문의 몸이 저절로 겹쳐졌다.

“아범은 다 아는구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저절로 다 아는 듯싶어.”

오희문이 희미한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지야 뭐. 하라는 대로 하는 거지요. 알기는요.”

석이 아범은 입에서 웃음이 번지는 걸 막을 재간이 없었다. 깐깐하고 기가 세기로 유명했던 오희문이었다. 전에는 칭찬도 다정함도 없었던 사람이 아니었던가. 아프면 사람이 변하기도 하나보다고, 하인들 사이에서 말이 오갔다. 며칠 전에 행랑 아범 용만이 했던 이야기가 떠올랐다.

“천하에 무서울 게 없던 대감마님 아니셨어? 그 크신 분이 시방은 작아지고 약해지셨나. 그저께는 나한테 뭐라 그랬는지 아는가?”

용만은 일부러 거만하게 눈을 치켜뜨고 뜸을 들였다.

“자네들 덕분에 내가 사네. 이러드라니께.”

“옴마야. 시상에.”

용만의 말에 나머지 하인들이 탄성을 내질렀다. 석이 아범도 오희문의 변화를 진작부터 눈치 채고 있었다. 어려서부터 오희문을 보아온 석이 아범이 아닌가. 하인들 중에는 소아마비에 걸려 다리를 저는 영이도 있었고 대장간에서 일하다 한쪽 눈을 잃고 얼굴에 화상을 입은 춘삼이도 있었다. 집안 어른들 중에 그런걸 문제 삼는 이는 없었다. 영이는 누구보다 잘 뛰어다녔고 춘삼이도 한쪽 눈과 건강한 나머지 몸으로 제 일을 척척 해냈다. 그렇다고 이들을 칭찬하는 어른도 없었다. 장애를 가졌건 몸이 아프건 자기 자리에서 제 일을 해낼 뿐이었다.

“이건 내 생각인디 말이여. 대감마님이 우리를 좀 부러워하는 것 같드라고? 이리 건강하니까 말이여.”

용만이 목소리에 힘을 주어 말했다. 그 말을 들은 영이가 까르르 웃음을 터트렸다. 석이 아범은 영이의 웃음소리가 참 듣기 좋았다. 큰소리로 웃고 온몸으로 말하고 어깨를 들썩이며 요란하게 우는 이들이 아닌가. 그럼 됐지. 그게 중요하지.


김홍도, 《단원 풍속도첩》 중 일꾼들이 점심을 먹으며 쉬는 모습(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석이 아범은 구부정하게 앉아있는 오희문을 보았다. 주인이 아프게 된 후로 석이 아범은 내내 오희문의 곁을 뜨지 않고 상주했다. 걷지 못하고 누운 지가 네 달이 되어간다. 답답한 건 석이 아범도 마찬가지였다.

“문복이요!”

점쟁이의 외침이 한 번 더 바깥에서 들려왔다.

“대감마님!”

오희문이 멍한 눈으로 석이 아범을 보았다. 총기가 빠진 눈이었다.

“저 자가 김자순이라는 점술가인데. 골목을 저리 돌아다닌다고 실없는 자는 아닙니다. 실은 관에서 점복교육을 제대로 받은 용한 점술가입죠. 그를 집안으로 한번 불러봤음 싶어서요.”

“관에서 점복교육을 받은 자가 어찌 저리 장사치처럼 호객행위를 한단 말인가?”

오희문은 자신의 속마음을 석이 아범에게 들킨 것 같아 일부러 말을 돌렸다.

“아침마다 동네를 돌아다니며 문복을 외치는 것은, 그가 마을 사람들에게 복을 전하는 방식이라고 합니다요, 대감마님. 눈이 보이지 않는 자인데 매일 저렇게 동네를 한 바퀴 돌면서 스스로 움직이는 감각을 익힌다고 합지요.”

그래서 매일 아침 그의 목소리가 온 동네를 깨우는 거였구먼. 오희문은 점괘도 그렇지만 김자순이라는 사람이 몹시 궁금해졌다.

“아범이 그리 주장하니 한번 불러보게.”

오희문의 허락에 석이 아범이 신이 나서 밖으로 달려 나갔다. 김자순이라면 당장 병마에서 주인을 구해낼 거라고 석이 아범은 생각했다. 석이 아범이 믿는 바, 맹인 점술가들에게는 보통의 사람들에게는 없는 비상한 능력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치유하는 능력이었다.


맹인점술가가 독경하는 모습(출처: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아카이브)


오희문에게 점술은 처음이었다. 시력을 상실한 이들은 촉각과 청각이 남다르게 발달하여 시력을 가진 자들과는 다른 능력을 보여준다고 들었다. 천명사상을 중시 여긴 탓에 관에서 맹인들을 따로 모아 점복교육을 시키고 관현맹인으로 등용하기도 했다. 많은 양반들이 이들 맹인 점술가에게 점괘를 의뢰하고는 했지만 오희문은 회의적이었다. 이때까지 오희문은 철저하게 이성에 근거하여 살아왔다. 신비한 능력이나 치유력 같은 것은 믿지 않았다. 석이 아범의 말에 호기심이 동하기는 했지만 그렇다고 큰 기대를 품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김자순을 기다리는 내내 오희문은 마음이 조금 들떴다. 병상에 누운 이후 처음으로 느끼는 낯선 감각이었다.

“대감마님, 모시고 왔습니다.”

석이 아범 곁에는 깨끗한 옷차림의 사내가 서 있었다.

“점술가 김자순, 문안인사 드립니다.”

꼿꼿하게 서 있던 김자순이 몸을 낮추었다. 그러는 동안에도 그의 시선은 정확히 오희문을 향했다. 보지 못한다는 자가 저리도 강한 눈빛을 할 수 있는가. 오희문은 온몸이 쩌릿해졌다. 맹인들은 보는 눈 대신 심안을 지닌 존재라더니 그 말이 실감났다.

“제 눈은 대감마님의 모습을 볼 수 없습니다.”

그가 운을 뗐다. 오희문은 잠자코 다음 말을 기다렸다.

“마찬가지로 저는, 대감마님의 미래를 볼 수는 없사옵니다.”

김자순의 당당함에 오희문은 도리어 감탄하며 물었다.

“그럼 왜 온 겐가?”

“대감마님과 대화는 나눌 수는 있겠지요. 어디가 아프십니까. 아픈 곳을 말씀해 보십시오. 우리는 거기에 집중할 수 있을 겁니다.”

오희문은 김자순의 태도에 매료되었다. 그의 눈은 현실의 것들을 보지 못하지만, 그의 귀는 타인의 말을 들을 수 있다. 누구보다 잘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오희문은 석이 아범을 내보내고 불편하게 앉은 자세를 고쳐 누웠다. 그는 시력을 잃은 자이니 오희문의 흐트러진 자세를 탓하지 않으리라. 오랫동안 말벗도 없이 외롭게 누워 지내던 터였다. 오희문의 말문이 터지기 시작했다. 그가 이야기하는 동안 김자순은 꼿꼿이 앉아 조용히 듣기만 했다. 오희문은 그가 자신이 가진 모든 감각을 총동원하여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어떤 누구도 자신의 몸 앞에서 이토록 집중하지는 못했다. 의원은 그의 맥을 짚었지만 그의 고통은 보지 않았다. 가족들은 그의 병을 걱정했지만 마음의 병은 헤아리지 못했다. 처음 보는 맹인의 앞에서 오희문은 자신의 허물, 추한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고도 부끄럽지 않았다.

“임진년에 큰 횡액이 있습니다. 이것을 지나면 70살이 넘도록 사십니다. 아침마다 동네를 한 바퀴 걸으십시오. 걸음이 대감님을 살립니다. 몸을 낮추어 이웃을 살피십시오. 누구에게든 마음을 터놓으시면 70 그 이상을 누리실 겁니다.”

김자순은 그렇게 말하고 일어났다. 그는 삐딱하게 누운 오희문을 보지 않았다. 애초에 김자순은 그런 것을 보도록 태어나지 않았다. 덕분에 그는 사람의 다른 면을 보는 재주를 가졌다.

“미래를 보지 못한다더니. 미래를 정해주고 가는 구나.”

혼자 남은 오희문은 껄껄껄 한참을 웃었다.

다음날 아침 “문복이요!” 외침이 들리자 오희문은 석이 아범을 불러 나갈 채비를 챙겼다. 아픈 것은 그대로였다. 오희문은 지팡이를 짚고 절뚝이며 바깥세상으로 나갔다. 마당을 쓸고 있던 용만과 아침밥을 짓던 영이가 놀란 눈으로 주인대감을 보았다. 오희문이 대문을 열어젖혔다. 거기 사람들이 있었다. 아까부터 발밑에 당도한 아침 햇살이 오희문의 눈에 들어왔다. 오희문은 엉덩이를 삐죽거리고 지팡이 쥔 손을 덜덜 떨며 걸음을 내딛었다. 그가 지나가자 마을 사람들이 길을 내주었다. 집 안에서 덩달아 뛰쳐나온 영이가 오희문의 곁에서 엇박자로 비척비척 함께 걸었다. 두 사람의 아침산책을 지켜보다가 이웃들은 뿔뿔이 밭으로, 장터로, 빨래터로 흩어졌다. 하루가 이제 막 시작되었다.




집필자 소개

손서은
소설가. 체육인. 집사람. 엄마. 문화기획자. 장편소설 『테오도루 24번지』, 『착한아이 백천수씨』, 『컬러보이』, 『공의 순리적 엔딩』을 썼다. 청소년 북클럽 〈수요일의 아이들〉을 운영 중이다.
“조선시대 점과 점쟁이”

예로부터 무당을 궐 안에 두고 나라의 길흉을 예언케 하였으나 점쟁이는 예언자로 전문적 직업인으로 민간에 생겼다. 점을 치는 종류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생사의 존망을 점치는 사주점과 앞으로 닥칠 일을 점치는 운수점, 한 해의 운이 좋고 나쁨을 점치는 신수점, 단시점(斷時占), 멸액점(滅厄占), 절초점(折草占)따위가 있다. 또한 점을 치는 것으로는 태주가 하는 신점(神占)과 주로 여자 점쟁이가 쌀을 뿌려 점치는 쌀점, 동전을 던져서 점치는 돈점, 새가 물어온 점괘로 점치는 새점, 산통점(算筒占), 역점(易占), 오행점(五行占), 육효점(六爻占), 팔괘(八卦占), 구궁점(九宮)따위가 있다.

옛날 점치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맹인들은 골목을 돌아다니며 “문복(問卜, 점쟁이에게 길흉을 물음)이요!” 하면서 점을 치고자 하는 사람을 찾아다녔고 자기 집에 ‘점’ 또는 ‘점집’이라 쓴 깃발을 달아놓기도 하였다. 이들은 주역(周易)을 바탕으로 이름 짓기와 관상, 이름, 감정 따위를 보았으며 때때로 액운을 막기 위한 부적을 쓰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중기(中期) 때 민간에 보급된 대표적인 토정비결(土亭秘訣, 이지함 저술)은 생년월일시를 숫자로 풀이해서 그 해의 운수를 달마다 보는 정초의 풍습이 되었다.

“용한 맹인 점쟁이 심군”

맹인점술가
(출처: 서울역사박물관 아카이브)
최흥원, 역중일기, 1763-01-06 ~

1763년 1월 6일. 신미년 새해가 된 지도 며칠이 지났다. 어제는 인근에 사는 김용여가 일부러 사람을 보내어 편지를 전하였는데, 새해가 되었으니 신년 운수를 보지 않겠냐는 내용이었다. 그의 편지에는 맹인 점장이 심옥의 이야기가 적혀 있었는데, 평소 그가 아주 영험하고 뛰어나단 소문이 인근에 자자하다고 한다. 엊그제 김용여가 사는 마을에 왔길래 자신도 점을 한 번 쳐보았는데 맞추지 못하는 것이 없다는 것이었다. 데려다가 점을 한 번 쳐볼 만하니 최흥원에게도 한 번 권한다는 내용이었다. 최흥원은 이 편지를 보고는 둘째 아우를 보내어 그 심옥이란 점쟁이를 데려오게 했다.

오늘 그가 점을 쳐보니, 점괘가 아주 불길하게 나왔다. 심옥은 이것저것을 물어보더니 대뜸 아내 묘소의 이장을 권하는 것이었다. 최흥원은 예전에도 아내 묘의 풍수가 좋지 못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터라 심옥의 이야기를 그냥 넘겨들을 수가 없었다. 또 그에게 아픈 아이의 사주를 적어주고 앞으로의 운명을 물어보았더니, 그는 매우 길한 점괘가 나왔다고 알려주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었다.

최흥원은 내친김에 심옥에게 집안사람들의 운명을 두루두루 물어보았다. 매년 새해가 되면 운수를 점치기는 하나, 정확하게 들어맞은 적은 없었다. 막상 심옥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그 역시 특별히 용하다는 느낌이 들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 자뿐 아니라 모두가 아내의 이장을 권하니, 그것은 한 번 고려해 볼 만한 것 같았다.

“과거를 꿰뚫어보는 맹인 점술가 ‘김여추’”

권문해, 초간일기,
1584-03-09 ~ 1584-03-15

1584년 3월, 권문해는 추운 겨울을 지나 어서 봄을 만나고 싶었다. 그러나 3월 9일, 바라본 소백산에는 겨울처럼 눈이 내려온 산이 다 하얗게 되었다. 더욱이 연일 서리가 내려 초목의 싹이 대부분 시들어 죽어가는 걸 보니 마음까지도 메마르는 듯하였다. 그러던 중 예천군 성주 류세무와 경상북도 선산부백(善山府伯) 류덕수(柳德粹)가 경상북도 의성군의 대곡사(大谷寺)에 만나기를 청하였다.

3월 14일, 권문해는 집을 나서 대곡사로 향했고 그곳에서 3일을 머무르며 류세무와 류덕수와 이야기를 나누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냈다.

3월 15일, 이야기 중 경상북도 선산군의 부백 류덕수에게 자신의 고을에 맹인 점쟁이 김여추(金汝秋)에 대해서 듣게 된다. 앞을 못 보는 맹인이지만 그 누굴 만나도 그가 살아온 과거를 귀신같이 맞춘다는 것이다. 권문해와 류세무는 명경수(明鏡數) 김여추의 이야기에 시간 가는 줄 몰랐다.

김여추의 이야기를 한참 듣던 류세무는 율시 한 수를 쓰는데,
화와 복은 다 이미 정해진 것 禍福皆前定
꽃 피고 시드는 것은 각기 때가 있다네 榮枯各有時
정원의 꽃은 일찍 떨어져 버리지만 花落園中早
산골짝 옆 소나무는 오래도록 산다네 松生澗畔遲
현묘한 이치 원래 수가 있는 것이니 玄機元有數
조물주가 어찌 사사로움을 용납하리오 造物豈容私
모름지기 반계(磻溪) 늙은이를 알아야 할거니 須識磻溪叟
끝내 임금의 스승이 되었네 終爲帝者師

대곡사에 모인 권문해와 류세무, 류덕수는 앞 못 보는 맹인 점쟁이 이야기를 통해 세상의 이치를 논하는 이야기로 밤새는 줄 몰랐다.

“자신의 수명을 점쳤던 점괘가 생각나다”

점괘패 (출처: 국립민속박물관) 오희문, 쇄미록, 미상

1593년 3월, 해가 바뀌자마자 100여 일을 앓았던 오희문은 최근에야 밥을 먹고, 지팡이에 의지하여 운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사이 사람들 사이에서는 오희문이 병으로 죽었단 소문도 돌았고, 이로 인해 아들에게는 위문편지가 날아오기도 하였다. 병이 너무나 심하여 오희문 스스로도 이제 곧 죽는구나 생각했던 순간들이 많았는데, 이제 이렇게 다시 살 수 있게 되니 감회가 새로웠다.

문득 15년 전의 일이 생각났다. 그때 오희문은 양지현 농촌에 머물고 있었는데, 죽산에 사는 맹인 김자순이란 자가 점을 잘 친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리하여 그를 불러다가 자신의 운명을 점치게 하였는데, 그때 김자순이 이렇게 이야기하였다. “나이 54세, 그러니까 임진년에 큰 횡액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70살 넘게 살 수 있다” 그때 오희문은 재미 삼아 친 점이라 특별히 신뢰하지 않고 있었는데, 과연 임진년에 난리가 터져 거의 죽을 뻔하게 되었다. 비록 몸의 병은 해를 넘겨 생겼지만, 김자순이란 자가 이야기한 점괘와 신기하게 맞아떨어진 것이 아닌가! 오희문은 새삼 점쟁이 맹인의 신통함에 감탄하였다.

“풍증(風症)걸린 덕원, 괴상한 말을 늘어놓다”

김령, 계암일록,
1623-05-05 ~ 1624-01-20

1623년 5월 5일, 이직(以直)이 안타까운 소식을 가지고 김령의 집을 방문하였다. 이덕원(李德遠)이 지난 밤 풍증(風症, 미친 증세)이 발병하여 정처없이 계상(溪上)·분천(汾川 : 오늘날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분천리)·부포(浮浦 : 오늘날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부포리) 등지를 돌아다녔다는 것이다. 김령은 그가 가련하고 애석하여 마음을 가눌 길이 없었다. 김령은 이직이 돌아간 뒤 탁청정에 갔다가 제군들을 만나 냇가 길에서 모였는데, 이때 덕원의 병이 위급하다는 전갈을 받고 여희와 이실이 온계(溫溪)로 급히 갔다. 흥이 싹 가셔서 기쁘지 않았다. 탄식스럽고도 탄식스러웠다.

6월 2일, 비 내리는 아침, 김령은 덕원을 만나러 탁청정으로 나아갔다. 그의 언행을 보니 병은 차도가 없었다. 덕원은 괴상한 말들을 계속 늘어놓았다. 가련하고도 탄식스러웠다. 종종 정상인 것도 같으면서, 말하는 것이나 몸을 움직이는 것이 보통 사람과 크게 달랐다.

덕원의 병은 나아지는가 싶더니, 1624년 1월, 다시 발병하였다. 또 이렇게 고된 병에 걸리다니 안타깝고 애석함이 모두 지극하였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