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삶에 스며든 기호품

저는 비흡연자이고, 담배 연기를 피하고 싶은 호흡기질환자입니다. 그런데도 뮤지컬 〈그날들〉을 보러 갈 때면 등장인물의 흡연 장면을 좀 더 가까이에서 잘 보고 싶어 특정 좌석을 고집하기도 합니다. 주인공의 지인(청와대 운영관)이 동료의 죽음으로 직장을 떠나 다른 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주인공(청와대 경호원 차정학)을 찾아가 다시 돌아올 것을 설득하는 장면이 바로 그 흡연 장면입니다.

비흡연자로 알고 있던 운영관이 담배를 피우자 주인공이 의아해합니다. 운영관은 아들의 죽음으로 시작된 흡연을 청와대에 들어오게 되면서 끊게 되었는데 가끔 생각날 때는 피운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이어서 ‘처음에는 매 순간마다 생각나다가 시간이 지나니 뜨문뜨문 생각나고 더 시간이 흐르니 잊고 지내게 되더라’라며 그는 담배에 빗대어 세상을 떠난 아들을 가슴에 묻고 지냈던 지난 세월을 이야기 해 줍니다. 초로의 배우가 담담하게 이 대사를 풀어놓으면, 그가 내뿜는 담배 연기 속에서 그의 인생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담배가 극에서 인생을 말할 수 있는 장치로 쓰일 수 있었던 것은 흡연이 물건의 소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담배의 “중독성”과 흡연자의 “애착”이 만나 그것이 삶에 스며들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기호품을 다른 물건들과 달리 봐야 하는 지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삶에 스며든 기호품은 그의 인생뿐만 아니라 그가 속한 사회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줄 수도 있고, 인물과 사회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특별한 문화를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조선시대 기호품 중에서 특별한 문화를 만들어 냈던 기호품들을 이야기해 봅니다. 이완범 선생님은 〈우리는 언제부터 식후에 커피 한 잔을 즐겼을까?〉에서 조선 철종 때의 커피 전래부터 현대 한국식 커피믹스의 세계화에 이르기까지의 커피 역사와 한국 근현대에서 커피 소비가 지니는 의미와 상징을 소개해 주셨습니다.

하여주 선생님은 〈담배, 조선의 젠더 질서를 초월한 기호품〉에서 담배를 소비하는 조선 시대 여성에 관하여 이야기해 주셨습니다. 전래 초기에는 남녀노소 차별 없이 담배가 소비되었는데, 전통문화와 충돌하면서 유교적 흡연 규범이 생겼습니다. 이러한 가부장적인 흡연 예절은 흡연에서 여성을 배제하였지만, 여성들은 이 규범을 “무시하는 대응”으로 자신들의 흡연문화를 만들어 내고 이어왔다고 합니다.

조선인들에게 생경했던 물건(커피, 담배)들이 전래되고 점차 소비되어 마침내 문화까지 만들어 낸 과정들을 두 분 선생님의 글을 통해 살펴볼 수 있습니다. 외국에서 전래된 기호품들은 처음에는 상류층들 중심으로 위세품이나 사치품으로 소비됩니다. 소비의 저변이 확대될 무렵에는 전통문화와 크게 충돌하게 되어 그 소비가 잠시 주춤하지만 이를 계기로 하여 찾은 활로 덕분에 토착화와 대중화에 성공하게 됩니다. 물론 성공의 이면에는 그 기호품 소비자들의 열렬한 사랑이 있었습니다.

하여주 선생님 글에서 담배에 대한 여성들의 사랑을 보았다면, 서은경 작가님의 웹툰 〈심심草 로맨스〉에서는 조선 후기 문인 매암(梅庵) 이옥(李鈺)의 담배 사랑을 볼 수 있습니다. 이옥과 그 일행에게 담배는 행장에 꼭 챙겨야 할 물건이었을 뿐만 아니라 함께 길을 가는 길동무였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길동무 챙기느라 또 다른 친구(문방사우)를 잊으셨어요.

조선 시대 선비들은 담배를 벗으로 여기기도 하고, 늘 곁에 두고 쓰는 붓과 벼루를 벗이라 부르기도 하고, 송죽매국연(松竹梅菊蓮)을 자신과 동일시하여 벗으로 삼아 곁에 두려고 했습니다. 좋아하는 것에 인격을 부여하여 벗으로 삼고 곁에 두니, 그것들은 그의 삶 속에 들어앉아 그의 인생을 말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복순 선생님은 〈오우당(五友堂)과 절우사(節友社)에서 만난 선비의 벗, 매화(梅花)〉라는 글에서 오우당 편액과 함께 오우당 주인 김근(金近)의 오우(五友) 중 하나였던 매화에 대한 사랑까지 소개해 주셨습니다. 매화를 벗으로 삼은 만큼 김근은 지조 있는 선비의 삶을 바랐고, 또 그런 삶을 살았는데, 그것이 “오우당” 편액에 그대로 담겨 있는 듯합니다. 퇴계 선생의 매화 사랑도 빼놓을 수가 없기에 절우사와 함께 이 글에서 소개해 주셨습니다. 좋아하는 물건을 가까이하면 그것의 향(香)이 밴다고 하니, 두 분께는 늘 매화향이 났을 것 같습니다.

향이라는 면에서 봤을 때, 담배처럼 ‘자기주장’이 확실한 향이 있을까요? 이번 달에도 우리 산비의 활약이 이어지는데, 광장에서 도둑을 잡았습니다. 이문영 작가님의 〈요술 보다 도둑맞았네〉에서 산비가 어떻게 절도와 도둑을 알아챘는지 확인해 보시죠.

이수진 작가님은 〈호랑이도 담배 피던 시절〉에서 무대 위의 담배 이야기를 해 주셨습니다. 배우나 관객에게 흡연이 문제가 되지 않았던 시절이 있었지만 건강 담론 하에 금연이 대세가 된 지금은 객석의 담배는 물론이고 무대 위의 담배도 문제가 되곤 합니다. 담배를 쓸 것인지, 쓴다면 진짜를 쓸 것인지, 가짜를 쓸 것인지를 창작 단계부터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담배에 대한 관객의 반응까지 일일이 살피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고 보니 현대의 무대 예술에선 담배는 선택의 대상으로 소비되는 것 같습니다.

담배 냄새와 연기를 싫어하지만 저는 제가 사랑하는 어떤 것 때문에, 여전히 연극 〈레드〉 속 마크 로스코(Mark Rothko)의 흡연 장면, 뮤지컬 〈빌리 엘리어트〉 속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담배를 피우는 장면에서 감동을 받을 것입니다. 뮤지컬 〈그날들〉을 보러 가게 되면 운영관의 담배 연기가 닿는 자리를 여전히 고수할 것 같습니다. 무대 위의 담배가 진짜든 가짜든 간에 그것으로 표현하는 인생에는 진짜가 담겨 있다고 생각되니까요.




편집자 소개

글 : 조경란
조경란
재밌는 이야기를 좀 더 많이 알고 싶어서, 서강대에서 역사 공부를 하였습니다. 박사과정(한국사전공)을 마치고 나서는 사단법인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계속 역사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공부하면서 알게 된 이야기들을 혼자만 알고 있는 게 아까워서 드라마 역사 자문에 응하게 되었습니다. 참여했던 작품이 “옷소매 붉은 끝동”, “녹두꽃”, “역적”, “왕이 된 남자”, “장영실”, “징비록” 등 20여 편 정도 됩니다.
“조선시대 담배의 보급”

조선에 담배가 보급된 것은 임진왜란을 전후로 한 시기였다. 담배가 처음 전래될 때는 약재로 인식되어 보급되었다. 술을 깨게 한다든지, 소화가 잘 된다는 말과 함게 담배는 빠르게 전파되었다. 이수광은 「지봉유설」(1614)에서 사람들이 밭에 담배를 많이 심는다고 기록했다. 담배는 시간이 지나면서 약초보다는 기호품으로 애용되었다. 손님을 대접할 때 담배를 권하는 풍습도 생겨났다. 담배의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여 남녀노소와 양반, 백성을 가리지 않고 소비하였다. 네덜란드인으로 조선에 표류하였던 하멜은 조선인들이 4, 5세 때부터 담배를 핀다고 기록했다. 담배는 점차 상품작물로 변해갔다. 한성(서울)에서는 담배만을 파는 엽초전이라는 시전이 생겼고 지방에서도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는 담배가 매매되었다. 그러나 담배 보급이 늘어나면서 폐단도 늘었다. 먼저 비옥한 토지에 담배를 많이 심어 다른 작물의 생산량이 떨어졌다. 다음으로는 담배 예절이었다. 남녀노소와 귀천을 막론하고 긴 담뱃대를 물고 서로 담배를 피우게 되자, 예의를 중시하는 유학자들은 이를 용납하기 어려워졌다. 그리하여 담배를 피울 때 지키는 규율을 만들기도 했다. 예를 들면 연장자 앞에서는 피우지 말 것이라든지 양반 앞에서 평민은 피우면 안 된다든지, 평민이나 천민의 담뱃대는 양반의 것보다 길어서는 안 된다는 것 등이었다. 「유가야산록」에는 여행지에서도 담배를 피우는 장면이 나온다. 담배는 여행의 준비물 중 하나였던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담배를 피울 때 많은 준비물이 필요했다. 담뱃대를 비롯하여 담배를 넣어 둘 담배 주머니, 재떨이 등이 필요했다. 물론 양반들이 여행을 할 때는 노비들에게 이를 대신 들고 오게 하였을 것이다.

“담배피우며 시강하다가 귀양 간 시관”

노상추, 노상추일기, 1792-02-18

학례강(學禮講) 시관이 귀양을 갔다. 시강을 할 때 생도들 앞에서 몸을 비스듬히 하고 앉아 관을 비뚤게 쓰고 담배까지 피웠으며 잡스러운 농담도 툭툭 던져댔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는 왕의 귀에도 들어갔다. 왕은 한심해하며 시관 모두를 먼 지방으로 귀양을 보내게 하였다. 또 이런 풍조를 알면서도 감찰해내지 못한 감찰, 사관, 승문원·성균관·교서관의 여러 관원들도 잡아들여 신문하며 혼을 냈다. 당연히 이들 기관의 책임자인 대사성도 불려가 곤욕을 치렀다. 성균관의 재임(齋任)과 동재(東齋)·서재(西齋)의 반수(班首) 역시 모두 그 직무를 정지시켰고, 공무를 집행한 관리들도 추고 당했다. 미리 경계하지 못하고 왕의 귀에 들어 갈까봐 쉬쉬하며 서로 입을 다물고 있었던 죄 때문이었다. 이런 한심스러운 일이 있었음을 노상추는 조보를 읽고 알았다. 마침 생원시가 있는 날이었는데, 아마도 더욱 엄정한 분위기에서 치러질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들 벌벌 떨면서 시험을 보겠구먼! 하며 노상추는 담뱃대에 불을 붙여 일부러 비뚜름하게 물어 보았다.

“담배와 미숫가루, 꿀과 돈 - 상소 준비 과정에 받은 다양한 부조품”

권문해, 초간일기,
1584-03-09 ~ 1584-03-15

1792년 5월 11일, 부조를 받는 길이 한 번 열린 뒤에는 폐단을 막기가 어렵기 때문에 받을 수가 없었다. 포천 현감 홍약호(洪若浩)가 편지로 문안을 하고 남초(南草: 담배) 2근, 미식(米食: 미싯가루) 2되, 꿀 1항아리를 보내주었다. 1792년 5월 20일, 좌의정이 돈 50냥을 보내오고, 채홍리(蔡弘履)가 남초(南草: 담배) 40근을 보내왔다. 5월 24일 안악(安岳)의 이익운(李益運)이 편지로 문안을 하고 돈 20냥과 향초(香草: 담배) 5근을 또 보내왔다.

“양반들은 산수유람 때 무엇을 준비했을까?”

황여일, 유내영산록, 1587-08-06 ~

1587년 8월 6일, 산수유람 중이던 황여일(黃汝一)은 식후에 숙부[황응청(黃應淸)]와 잠시 낮잠을 잤다. 얼마 되지 않아 이 고을의 학자인 김득경(金得鏡)이 달려와 이르니, 이 곳 태수 조정간(趙廷幹)이 가서 보라고 명령했기 때문이었다. 함께 흰 밥에 푸른나물로 식사를 하였는데, 산에서 먹는 맛이라 더욱 좋았다. 술도 서너 잔 했다. 이윽고 노승(老僧)이 짚신을 가지고 나와서 말하였다.

“절의 서쪽 편으로 가면 구름 사이로 돌길이 나 있는데 매우 가파르고 끊어질 듯합니다. 그러나 이 길이 아니면 건너갈 방법이 없습니다.”

곧이어 함께 갈 일행을 선발했다. 이야기를 나눌 승려는 ‘학연(學衍)’이라 하고, 시문(詩文)을 챙기는 이는 ‘덕룡(德龍)’이라 하며, 벼루를 들고 갈 이는 ‘홍원(洪源)’이고, 술시중할 이는 ‘매운(梅雲)’이며, 옷과 양식을 들고 갈 이는 ‘억동(億童)’이었다. 또한 한 승려로 하여금 걸음을 예측해서 날이 저물면 어떤 암자에 이르러 잠잘 수 있는지 살펴보게 했다. 그리고 함께 출발하여, 쉬엄쉬엄 이야기하면서 천천히 걸어갔다.

“합격과 낙방, 희비가 엇갈리는 가운데, 탁족과 술로 마음을 달래다”

김령, 계암일록,
1623-05-05 ~ 1624-01-20

1845년 7월 3일, 낙육재의 여러 벗들이 함께 바람이나 쐬고 오자 하여, 서찬규 일행은 십여 이 술을 가지고 남암(南菴)에 올랐다가 저물어서 돌아왔다. 7월 10일에는 예닐곱 관동들과 함께 신천에서 목욕하고 거북굴에서 바람을 쐬다가 날이 저물어서 돌아왔다. 덕우는 몸이 좋지 않아서 먼저 돌아갔다.

1846년 5월 18일, 국오 족숙을 모시고 여러 친족들과 함께 앞산으로 회포를 풀러 갔다. 동네 어귀에 도착해 자리를 펴고 밥을 내오는 사이에, 서찬규와 태곤(자는 노첨)·재곤(자는 자후), 그리고 몇몇 서당 아이들은 탁족할 곳을 찾아 가파른 바위로 등나무 넝쿨을 잡고 올라가 굽이굽이 물길을 찾아갔다. 마침 한 승려가 갈포 적삼에 송납을 쓰고 인사를 하는데 은암의 중이었다. 어디서 오는지 물으니, 약초를 캐고 돌아가는 길이라고 했다.

물을 따라 걸어가다가 목이 마르면 손으로 떠서 마시고, 더우면 손으로 끼얹어 씻었다. 이렇게 몇 리를 가니 예계암에 이르렀다. 술기운이 막 깨니 배고프다는 생각이 점점 들었는데, 우연히 나무하는 사람을 만나 그의 도시락으로 쾌히 빈 배를 채웠다.

산림에 회포를 붙여 일어났다 누웠다 하다 보니 돌아가는 것을 잊고 있어서, 어느덧 해가 한낮을 지났다. 친구들이 돌아가자 하여, 여러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다시 내려왔다. 하루 종일 바람을 쐬고 시를 읊조리다가 돌아왔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