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조선혼사추리극 - 연풍의 신부 1 - “미인촌 소문 고갯길을 넘다"

글 이외숙 / 삽화 이다

연풍군읍지(延豊郡邑誌) 『연풍군읍지(延豊郡邑誌)』1899년에 편찬된 충청북도 연풍군의 지도 공정산(公正山), 희양산(曦陽山), 마본산(馬本山), 박달산(朴達山) 등 험난한 산들에 둘러싸인 고을. 푸른 강줄기만이 이 고을을 자유롭게 넘나들 뿐, 사람의 발길이 쉽게 닿지 않는 요새와 같은 곳. 산허리를 돌아 연풍을 빠져 나온 물줄기를 따라 전해진 괴이한 소문 하나. “혼인을 앞둔 연풍의 신부는 모두 죽는다!”

1화 미인촌 소문, 고갯길을 넘다

첩첩 산속 보름달 등불 아래로 사내 하나가 길에 막 모습을 드러냈다. 길의 주인이 산짐승으로 바뀌는 때, 사내의 행동은 아무리 보아도 이곳 풍경과는 어울리지 않았다. 누군가에게 쫓기기라도 하는지 앞뒤를 두리번거렸다. 무언가를 찾는 듯 덤불을 헤치다가 결국 굴러 떨어지고 말았다. 더 수상쩍은 건 다음이었다. 사내는 한참이 지나도 일어날 생각은 하지 않고 무슨 까닭인지 대자로 누워만 있었다.
‘이번엔… 전하께서 틀리신 듯하옵니다.’
한 나라의 지존인 임금에게 감히 잘못을 따지는 자는 누구란 말인가?
‘탯줄을 끊고 세상에 나온 지 이십 년… 내가 어떤 사람인지 이제야 알았구나…….’
사내는 입술을 깨물었다. 어정개 산속에서 이토록 괴로워하는 이는 바로 닷새 전 위유사로 임명받은 김효문이었다. 임금은 갑작스럽게 규장각에 찾아와 그 자리에서 벼슬을 내렸다. 효문은 한양을 떠나자마자 알게 되었다. 위유사라면 절대 가져서는 안 될 치명적 약점을…….
‘길치에다 방향치라니… 차라리 각신 이병익에게 일을 맡겼다면 출발부터 이리 꼬이진 않았을 텐데… 전하… 어찌하면 좋겠습니까…….’
순간 물음에 답이라도 해주듯 효문의 머리 뒤쪽에서 어슴푸레 불빛이 전해졌다. 분명 달빛은 아니었다. 몸을 돌려 앉으니 멀리서 등 하나가 보였다. 희미했지만 등에 적힌 글자는 주(酒)였다. 그제야 효문은 자신이 길을 잃은 까닭을 알았다.
‘길이 아닌 곳에서 길을 찾았으니 헤맬 수밖에…….’
효문에게 길이란 모름지기 널찍하고 정리가 잘된 모양새였다. 산길이 익숙한 보부상이라면 모를까 효문에겐 길이 있어도 그 길을 알아차릴 수가 없었다.

야삼경이 가까워진 시각, 효문이 주막집 방문을 열었다. 아랫목에는 이미 선비 몇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바람 들어와유.”
“아이구, 춥어라.”
“뭐 하능교. 싸개싸개 문 안 닫고.”
효문은 선비들 성화에 서둘러 방문을 닫았다. 방은 밖에서 볼 때보다 더 좁았지만 효문에게는 감지덕지였다. 긴장이 풀리자 자기도 모르게 가벼운 신음을 내뱉었다. 효문의 소리를 시작 삼아 방 안 선비들도 앓는 소리를 내었다.
“아이구, 아이구.”
“고마, 콱 죽어삐자.”
“워매, 어째야쓰까.”
보름 전 열린 복시에 낙방한 탓인지 선비들은 쉽사리 잠들지 못했다. 선비들의 한숨 소리가 문을 타고, 부엌을 건너니, 야박하기로 소문난 꼽쟁이 주모라도 오늘밤은 어쩔 수 없었다. 주모는 거칠게 문을 열어젖히며 술상을 들이밀었다.
“거참 시끄러워 잠을 못 자겠네… 적당히 마시고 얼른들 주무쇼. 초 값까지 낼 거 아니믄.”
“아이구, 주모 치마에서 꽁술이 다 나오이 횡재했데이.”
“누가 보면 내가 선비 마누란 줄 알겠네. 암만 오는 손님 가랑이 꽉 잡아 붙잡고, 가는 손님 겨드랑이 쑥 잡아 못 가게 막아도, 이제 우리 그만 좀 보소.”
“여서 먹은 국밥이 몇 그릇인데 그리 서운한 소릴합니꺼? 두고 보이소. 다음 시험에는 꼭 붙어서 주모한테 한 턱 낼 테이까네.”
“말이나 못하믄. 입으로 하는 공부 말고 글공부나 좀 더 하시소.”
방에 누워 있던 선비들이 무겁게 자리를 털고 일어났다. 막걸리가 들어가고 얼근한 기운이 달아오르자, 하나둘 사연이 풀어졌다.
“걸걸한 주모가 내준 술이라 그런지, 맛도 참 걸쭉허네유. 지는 충청 사는 문가유. 그쪽은 몇 년째슈?”
충청도 문 선비는 넉살 좋게 주모와 이야기를 나누던 사내에게 말을 걸었다.
“내는 경상도 안동에서 올라왔심니더. 벌써 십 년이 넘었다카이.”
“아따, 인생 뭐 있능교. 술이나 한 잔 더 들이키시요잉.”
전라도 곡성에 산다는 선비가 애써 분위기를 띄웠다.
“충청에 산다켔능교? 연풍 미인촌인가… 그짝 얘기 들은 적 있다요?”
“아이구, 알다마다유. 그곳에 사는 여인들 미모가 엄청나다지유.”
“내도 들었심니더. 네발 달린 동물도 암컷이라믄 다 예쁘게 생겼다카던데… 소문만 듣고 상사병에 걸린 사내까지 있다 안캅니까?”
“워매, 시험에 떡 하고 붙음시롱 연풍 여인 하나 골라 장가갈랬는디… 물 건너 가부렸당께.”
충청도 선비가 크게 손사래를 치며 말을 이었다.
“시험에 떨어진 걸 다행으로 아세유.”
“고거이 시방 무슨 소린교? 막걸리 몇 잔 주고받았다고 참말로 말 함부로 하네잉.”
“다른 소문은 못 들었나보구먼유.”
“뭣을요잉?”
“아, 미인촌 여인들이 혼인날 죽는다는 얘기유.”
“옴마… 고거이 무신 숭악한 소리다요?”
충청도 선비는 눈을 빠르게 깜빡거렸다.
“지난 가을이었쥬, 지 사촌에 팔촌의 아들이 미인촌 여인과 혼인을 했는디, 첫날밤 거사도 치르기 전에 신부가 죽었잖유.”
“에이, 사람 놀리지 마쇼잉. 그라고 사촌에 팔촌이믄 모르는 사람 아인교. 어데서 거짓말을…….”
“참말이유. 공짜 술 잘 마시고는 왜 헛말하겄어유?”
경상도 선비가 목소리를 잔뜩 낮추며 물었다.
“근데 왜 죽었다캅니까?”
“지도 거기까지는 잘 모르는구먼유.”
“암만 숨넘어가게 미인이라도 혼인허자마자 홀아비 신세가 되는 거는… 안 되는 일이지요잉.”
“혼례 못 올리고 죽은 손각시 귀신이 깡새라도 부리는 갑소. 그라이 비도 안 내리는 거라카이…….”
“워매, 팔에 소름 돋은 것 좀 보시요잉.”
그때였다. 한쪽 구석에서 기척도 없이 누워 있던 효문이 대화에 끼어들었다.
“미인촌이 여기서 멉니까?”
“아이구, 놀래라. 자는 거 아니었슈?”
“물건 달린 사내 아이랄까 봐, 그짝도 연풍 미인들이 궁금합니꺼?”
“그런 건 아니고…….”
“뭘 부끄러워하능교. 사내 맘은 사내가 아는 것이제.”
전라도 선비는 효문에게도 술잔을 건넸다.
“전 술 못합니다.”
전라도 선비가 눈살을 찌푸렸다.
“아따, 술은 그냥 마시믄 되는 것이제, 잘하고 못하고가 어디 있다요.”
술잔 때문에 실랑이가 일자 충청도 선비가 나섰다.
“딱 한 잔만 마셔유. 여기서 만난 것도 인연인디… 마시믄 미인촌이 어딨는지 말해주겄구먼유.”
효문은 내키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었다. 심호흡을 하고는 술잔을 입에 털어 넣었다. 충청도 선비는 효문의 모습을 찬찬히 바라보았다.
‘준수허구먼. 요즘 여인네들이 좋아하는 꽃도령 상이여. 인기가 많겄어…….’
아니나 다를까, 전라도 선비도 효문의 옆얼굴을 훔쳐보고 있었다.
‘여리여리한 듯혀도 눈빛이며 입술을 보니 강단이 있겄네잉.’
효문은 부담스러운 눈빛을 느끼며 술잔을 내려놓았다.
“약속대로 이제 알려주시지요.”
“그래야지유. 말해줘야지유. 연풍 미인촌은 조령관 근처에 있구먼유. 근디 조령엔 가 본 적이 있슈?”
“제가 한양을 떠나는 일이 처음이라…….”
전라도 선비가 이때를 놓치지 않고 술잔을 채웠다.
“그라면 찾아가는 일이 허덜시리 힘들텐디… 워째 술 한 잔 더 마시고 가는 길까지 받겠소잉?”
효문의 얼굴이 빨개질수록 방 안 촛불은 꺼질 듯 아슬아슬해졌다.
“주모 잔소리 듣기 전에 고마 슬슬 정리합시다마.”
술잔을 주고받던 선비들은 바닥에 머리를 대자마자 곯아떨어졌다. 효문은 눈을 감고 있었지만 쉬이 잠이 오지 않았다.
‘혼인날 신부들이 죽는다니, 괴이하구나. 억울한 사연이 있지 않고서야…….’
효문은 한 번 마주한 문제는 끝까지 잡고 늘어졌다. 학문이 뛰어난 까닭도 엉덩이 힘에 있었다. 서책을 잡으면 마지막 장을 넘기기 전까지 일어나는 법이 없었다.
캄캄한 방 안, 효문이 어둠 속에서 천천히 눈을 떴다. 새벽닭이 울기 전 조용히 주막을 나섰다. 얼마 뒤 눈앞에 갈림길이 나타났다.
‘왠지… 이번 문제는 쉽지 않을 듯하구나. 어쩌면 목숨까지 걸어야 할지도…….’
효문은 봇짐을 고쳐 메고 왼쪽 길로 막 들어섰다.

작품소개

유교시대 싱글의 삶을 꿈꾸는 채옥과, 미인촌 소문을 파헤치려고 신분을 위장하여 채옥의 혼인을 진행하려는 효문이 만나 벌어지는 <조선혼사추리극>

등장인물

  • 박채옥 미인촌 박씨 집안 막내딸로 자매 가운데 가장 미모가 뛰어나다. 머리보다 행동이 앞서는 탓에 걷는 것보다는 뛰는 게 일상이다. 치마는 흙투성이, 얼굴에 상처 하나쯤은 장식으로 여긴다. 어릴 적부터 행실도 읽는 일을 제일 싫어했으며, 마을 어귀에 세워진 열녀비에다 아무렇지 않게 돌을 던진다.
  • 김효문 한양 명문가의 아들이나 서출의 신분. 규장각 각신으로 검서관 자리에 있다가 충청 지역에 가뭄이 들자 위유사(천재지변이나 병란이 났을 때 지방의 사정을 살피고, 백성을 위로하기 위해 파견한 임시 관리) 로 임명받는다. 채옥보다 나이가 어린데도 불구하고 육촌 오라버니 행세를 하면서 미인촌 소문을 파헤친다.
  • 어을할매 고갯길에서 주막을 운영하는 노과부. 할매의 나이와 과거는 아무도 모른다. 궁녀 출신이다, 수십 년 전 남편에게 소박맞았다 등 갖가지 소문만 무성할 뿐이다. 남자들에게는 팜므파탈, 채옥에게 친할머니 같은 존재.
  • 박채선과 박채영 미인촌 박씨 집안의 큰딸과 둘째 딸.
  • 박광헌 채선, 채영, 채옥의 아버지.
  • 홍권탁 연풍 현감. 백성의 어려움을 살피지 않고 자리 지키기에만 급급하다.
  • 장영 연풍현 이방. 형방청에서 하는 일이라곤 새로 온 현감에게 어떻게 하면 잘 보일까 고민하는 것이다. 아들이라면 정신을 못 차리는 아들 바보(?).
  • 장병수 연풍현 이방의 아들. 혼인날 일어난 사건 때문에 박씨 집안을 저주한다.
  • 이경박 문경 현감의 둘째 아들로 채옥의 중매남이다. 한마디로 계집 팔아 명당 살 놈.
  • 소진 미인촌에 사는 여자아이. 효문을 좋아한다.
  • 그 외 어정개 주막의 주모와 선비들, 연풍현 하인 돌쇠, 오작인, 노비 막동이 등.

작가의 말

‘연풍의 신부’는 지난해 ‘스토리 테마파크 창작 콘텐츠 공모전’에서 수상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스토리 테마파크의 자료들 가운데 선인 박재현이 쓴 서정일기에서 모티브를 얻었어요. 서정일기를 보면 “연풍(延豐)의 미인촌(美人村)은 미인이 많은 곳이지만, 혼인하는 날 모두 죽게 되는 괴이한 전설이 있었고⋯⋯.”라는 내용이 나오지요.
전설이란 오랜 시간을 두고 사람들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것입니다. 일기를 보자마자 미인촌 전설에 숨은 이야기가 궁금해졌고, 그 빈틈을 상상력으로 채우고 싶은 욕심이 생겼습니다. ‘유학 군주’라 불렸던 정조의 시대를 배경으로 일기에 미처 담지 못한 미인촌 전설의 시작을 스토리로 만들었어요. 조선 시대 싱글의 삶을 꿈꾸는 처자 박채옥과 미인촌 소문을 파헤치는 위유사 김효문의 만남을 통해 조선 시대 여성의 삶을 들여다보려고 했습니다.

작가소개

이외숙
이외숙
전방위 작가가 되고 싶어서 하루하루 고군분투합니다. 지름길보다는 에움길을 가는 마음가짐으로 이 길을 가려 합니다.
이다 (박은희)
이다 (박은희)
순정만화가. 2003년 만화계 데뷔.
드라마 원작 만화를 만드는 것이 목표. 차기작 ‘향’ 작품 준비 중.
작품으로는 ‘why not?’, ‘포도밭 그 사나이’ 등이 있다.
“지리산 의신암(義神庵)에서 의신조사(義神祖師)의 전설을 듣다”

남효온, 지리산일과(智異山日課), 1487-10-02
1487년 10월 2일, 지리산을 여행 중이던 남효온(南孝溫)은 빈발암을 출발하여 숲길을 30리 걸어서 의신암에 도착했다. 의신암의 서쪽 편은 모두 대나무 숲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대나무 숲 사이에 감나무가 섞여 있었는데 홍시가 달려 있었고 햇빛이 거기에 비추어 빛나고 있었다. 암자의 방앗간과 뒷간도 대나무 숲 속에 있었다. 남효온은 그러한 풍경의 조화가 근래에 본 어떤 풍경보다 아름답다고 생각했다.

“교귀정(交龜亭)에서 전임 관찰사와 업무 인수인계를 하다”

조재호, 영영일기(嶺營日記), 1751-06-15
1751년 6월 15일, 조재호 일행이 안보역(安保驛)을 출발하여 식사 후에 경상도 도계(道界)인 조령관(鳥嶺關) 서문(西門) 밖에 이르니 조령관별장(鳥嶺關別將) 조세대(趙世大)가 갑옷을 입고 투구를 쓰고 마중을 나와 있었다. 문루(門樓)에 올라 잠시 휴식한 뒤에 쌍가마를 타고 교귀정(交龜亭)에 오르니 전임 관찰사인 민백상(閔百祥)이 벌써 도착해 있었다. 민백상은 대사간으로 제수 받은 상태다. 관인(官印)과 병부(兵符)를 절차에 따라서 전하고 받은 뒤에 내려왔다.

“호랑이 때문에 문경새재가 막히다”

권상일, 청대일기(淸臺日記), 1754-12-02~ 1754-12-21
1754년 12월 2일, 겨울에 들어서자 호랑이 피해가 속출했다. 들으니 문경새재에 호랑이 출몰이 잦아져 다니는 사람들이 많이 물려 죽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소문이 돌면서 문경새재를 넘어가는 사람들이 줄어들었다고 한다. 이에 상주 영장(營將)과 충주 영장이 호랑이를 잡기 위해 많은 포수를 데리고 서로 만나 의논을 했다고 한다.
문경새재를 지나온 채감(蔡瑊) 군이 와서 말하기를, 문경새재에서 호랑이에 물려 죽은 사람이 무려 40여 인이나 되고 경상도 내에서는 호랑이 때문에 죽은 사람이 무려 100여 인에 이른다고 한다. 호랑이로 인한 피해 때문에 대책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호랑이 때문에 진상품을 돌려보내다”

권상일, 청대일기(淸臺日記), 1755-11-04
1755년 11월 4일, 문경새재(조령)는 경상도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주요 길목 중 하나였다. 물론 풍기에서 단양으로 넘어가는 죽령도 있었지만, 문경새재는 죽령보다 더 빠른 길로 남한강변에 위치하고 있던 충주로 바로 이어지는 길이었다. 충주에서 남한강에 정박해 있는 배를 타고 쉽게 서울에 당도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문경새재는 정부 입장에서 보면 교통과 유통의 중심지였다.

“나는 것이라곤 풀뿌리 뿐인 벽소령 인근 마을, 방납으로 매년 백여 냥을 내고, 백성들은 초췌해간다”

배성호, 유두류록(遊頭流錄), 1910-03-17
1910년 3월 17일, 지리산 유람을 위해 길을 떠난 배성호는 저물녘에 정장촌에 도달하였다. 마을은 벽소령에 가까운데 음지촌(陰地村), 양지촌(陽地村) 두 마을이 각각 자리 잡았다.
물은 달고 땅은 비옥하며 고목이 길게 자란 곳이어서 산중에 거처할만한 곳이다. 음지촌의 종씨인 무익(武益)을 찾아가니 무익이 매우 정성스럽게 대하여 주었다. 띠풀과 판옥으로 지은 집인데 벽에는 감실(龕室, 사당 안에 신주를 모셔두는 장)이 있었다. 행동을 단정히 하는 집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