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이웃과 어울리는 삶
자연재해와 지역사회의 대응
주고받는 호의와 재화
죽은 자에 대한 기억과 예의
즐거운 경사와 잔치
지역사회의 공간 정비
학문으로 맺은 인연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공동체
> 학문으로 맺은 인연
페이스북
스크랩
뱃놀이하다 제천 할아버지가 물에 빠지다
1607년 6월 15일, 저녁을 먹은 후 김광계는
제천 할아버지
(금응훈)와
생원 재종숙
(김평)을 모시고
비암(鼻巖)
에 갔다. 길에서 마주친 여희(김광적) 형도 따라 나섰다. 예안현감도 왔다. 잠깐 사이에 좌수 재종숙(김호)과 이미보(李美甫)까지 와서 비암 아래의 너럭바위에서 마주하여 모두 술잔을 나누었다. 이윽고 햇빛은 잦아들고 보름달이 떠오르니 온 세상이 모두 고요하고 물빛은 비단결 같았다. 여름밤의 시원함과 운치에 취해 모두 밤 뱃놀이는 하자고 하여 작은 배를 불러서 탔다.
가벼운 배에 짧은 노를 저어 검푸른 강에 두둥실 떠서 배를 끌어 강물을 거슬러 올라갔다.
쌍벽정(雙碧亭)
터 아래에 이르러 또 흥취에 젖어서 강 가운데로 나가 아래로 내려갔다. 그런데 뱃사공이 배를 잘 몰지 못하여 갑자기 배가 여울돌에 걸리고 말았다. 배안의 사람들이 모두 놀라 움직였으나
제천 할아버지
는 술이 많이 취하여 뱃전에 앉아 있다가 생각할 겨를도 없이 물에 빠지는 일이 발생했다. 배에 있던 모든 사람들이 놀라고 당황하여 나가서 구하고 보니 의관이 모두 젖었으나 물이 얕고 큰 돌이 없어서 다행히 별로 다친 곳은 없었으나 매우 놀라셨다.
제천 할아버지
의 젖은 옷을 벗기고 다투어 자기네들 옷을 벗어서 입히고는 모시고 집에 당도하니 닭이 이미 운 뒤였다.
잠시 눈을 붙였다가 아침에 일어나니 숙취가 아직 덜 깨어 머리가 아프고 몸이 노곤하였다. 임씨 어른과 약속이 있어서 하는 수 없이 억지로 일어나 가다가 지나는 길에
제천 할아버지
가 어떠신지 걱정되어 들러서 뵙고 임씨 어른 댁으로 갔다가 볼 일을 보고 다시
제천 할아버지
를 뵙고 집으로 왔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매원일기(梅園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김광계(金光繼)
주제 : 뱃놀이
시기 : 1607-06-15 ~ 1607-06-16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김광계, 금응훈, 김평, 김광적, 김호, 이미보
참고자료링크 :
조선왕조실록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김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김광계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금응훈
◆ 배를 타고 놀다, 선유(船遊)
배를 타고 여러 가지 풍류를 즐기는 놀이로 주유(舟遊), 뱃놀이라고도 한다. 배는 한 척을 띄우기도 하고 여러 척을 동시에 띄우기도 하며, 여러 척을 연결하여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도 한다. 신윤복의 ‘주유청강(舟遊淸江)’에는 배가 한 척 나타나고, ‘무숙이타령’에서는 두 척을 연결한 것으로 나타나며, 명나라 사신 예겸의 기록에는 세 척을 연결한 것으로 나타난다. 배에는 차일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선유는 낮에 하기도 하고, 밤에 하는 경우도 있다. 밤에 하는 경우에는 불꽃놀이를 겸하기도 하였다.
일반 서민들은 주로 삼복에 선유를 즐겼다. 배를 타고 고기를 낚아 매운탕을 끓여 먹거나 어죽을 쑤어 먹으며 하루를 즐겼다. 반면에 고급 관리들이나 선비들의 선유는 거창하고 화려하였다. 배를 타고 그 자리에서 혹은 이동해 가며 주변의 경치를 즐기기도 하고, 흥취에 따라 즉흥시를 읊기도 하며, 자리를 함께 한 악공과 기녀들의 음악과 춤을 즐기기도 하였다. 술과 음식도 물론 빠지지 않았다. 현장에서 고기를 잡아 회를 쳐서 먹거나 매운탕을 끓여 먹는 즐거움도 곁들였다. 이들의 선유는 음력 7월 기망(旣望, 16일)에 베푸는 경우가 많았다. 이것은 소동파(蘇東坡)의 ‘적벽부(赤壁賦)’의 영향인 듯하다.
송나라의 소동파는 1082년 7월 기망 밤에 적벽에서 뱃놀이를 하고 ‘적벽부’라는 명문을 남긴 바 있다. 홍양호(洪良浩)는 중원절(7월 15일) 밤에 평양의 대동강에서 선유를 즐긴 체험을 ‘부벽루감고사(浮碧樓感古事)’라는 시로 남겼다. ‘무숙이타령’에서 김무숙은 7월 기망(旣望, 16일)에 한양의 한강에서 선유를 베풀었다고 하였다. 하회의 선비들도 매년 7월 기망에 낙동강에서 선유를 즐겼다.
윤두수(尹斗壽)의 『평양지(平壤志)』에 따르면, 고려의 임금들은 대동강에서 선유를 자주 벌였다. 조선시대에는 평안감사가 평양을 거쳐가는 조선과 중국의 사신들을 위하여 선유를 베풀었다. 평양감사향연도(平壤監司饗宴圖), 평양감사환영도(平壤監司歡迎圖) 같은 여러 기록화를 보면, 특히 밤에 벌이는 선유는 거창하고 화려하였다. 강에는 수십 척의 배가 떠 있고 평양성에는 성곽을 따라 횃불을 꽂아 놓았다. 집집마다 등불을 달고 강변의 구경꾼들은 횃불을 들고 있다. 그리고 강물 위에는 횃불을 담은 그릇들이 떠 있다.
한강에서의 선유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한양가’, ‘무숙이타령’에 나타난다. ‘무숙이타령’에서 장안의 갑부인 대방왈자 김무숙은 7월 기망에 한강에서 선유를 크게 벌인다. 배 두 척을 연결해 놓고 차일, 화문석, 청사등롱, 수파련으로 장식한다. 그리고 재인들의 산대놀음, 거사와 사당의 가무, 명창들의 판소리, 크고 작은 물고기 회와 매운탕을 즐긴다.
조선시대에 하회의 선비들은 매년 7월 기망 밤에 낙동강 부용대와 만송정 사이에서 정기적으로 선유를 하였다. 부용대에서 강 건너 만송정까지 공중에 줄불을 설치하여 허공에서 불꽃이 순차적으로 타들어가게 하고, 부용대 절벽 위에서는 불꽃들을 계속해서 아래로 떨어뜨리고, 강물 위에는 달걀 껍질을 이용하여 만든 불꽃들을 띄웠다. 그리고 청사초롱으로 장식된 배 안에서 술과 즉흥시와 기녀들의 시창, 가무, 가야금 연주를 즐겼다. 선유줄불놀이는 1933년경에 전승이 중단되었다. 그 후 광복이후 몇 차례 행해졌다. 현재는 복원되어 해마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기간에 벌어진다.
◆ 원문 정보
十五日 夕食後, 陪堤川大父·生員叔侍, 往鼻巖. 途見汝熙兄. 土主亦來矣. 須臾座首叔侍及李美甫來, 對酌于鼻巖下盤石上. 已而曜靈沈彩, 望舒已駕, 萬籟俱寂, 波光如練, 輕舟短棹, 穩泛滄江, 引船泝流. 至雙碧亭基下, 又乘興, 中流而下, 篙工不能操舟, 忽觸磯石. 舟中人皆驚動, 堤川大父泥醉, 坐船舷, 不覺墜下. 一座奔遑出救, 則濕盡衣冠, 而水淺無大石, 別無傷處矣. 盡去濕衣, 爭脫衣衣之, 陪來到家, 則鷄已鳴矣. 十六日 朝起則宿醉未醒, 頭痛氣困而已. 與任丈有約, 不得已强起以往, 歷拜堤川大父, 見德輿兄·子瞻·士瞻·士夙. 到任宅尤困, 告任丈出休于外次, 午後稍蘇. 任丈聞寒岡先生出巡奈城, 乃冒暑而去, 余亦辭還. 來時見吳[滣]丈及柄叔, 又見士安父子, 暑退乃來. 歷拜堤川大父, 到家則權介甫來矣.
◆ 원문 번역
정미년(1607, 선조40) 6월 15일 저녁을 먹은 뒤에 제천 할아버지와 생원 재종숙을 모시고 비암鼻巖에 갔다. 길에서 여희 형을 만났다. 예안 현감도 왔다. 잠깐 사이에 좌수 재종숙 및 이미보李美甫가 와서 비암 아래의 너럭바위에서 마주하여 술잔을 나누었다. 이윽고 햇빛은 잦아들고 보름달이 떠오르니 온 세상이 모두 고요하고 물빛은 비단결 같은데, 가벼운 배에 짧은 노로 검푸른 강에 두둥실 떠서 배를 끌어 강물을 거슬러 올라갔다. 쌍벽정雙碧亭 터 아래에 이르러 또 흥취에 젖어서 강 가운데로 나가 아래로 내려가다가 뱃사공이 배를 잘 몰지 못하여 갑자기 배가 여울돌에 걸렸다. 배안의 사람들이 모두 놀라 움직였으나 제천 할아버지는 술이 많이 취하여 뱃전에 앉아 있다가 생각할 겨를도 없이 물에 빠졌다. 온 좌중이 당황하여 나가서 구하고 보니 의관이 모두 젖었으나 물이 얕고 큰 돌이 없어서 별로 다친 곳은 없었다. 제천 할아버지의 젖은 옷을 벗기고 다투어 자기네들 옷을 벗어서 입히고는 모시고 집에 당도하니 닭이 이미 운 뒤였다. 6월 16일 아침에 일어나니 숙취가 아직 덜 깨어 머리가 아프고 몸이 노곤하였다. 임씨 어른과 약속이 있어서 하는 수 없이 억지로 일어나 가다가 지나는 길에 제천 할아버지를 뵙고 덕여 형·자첨·사첨·사숙 등을 만났다. 임씨 어른 댁에 당도하니 몸이 더욱 노곤하여 임씨 어른에게 말하여 바깥에 나가서 쉬었더니 오후에는 술이 조금 깼다. 임씨 어른은 한강선생寒岡先生이 내성奈城에 순시 나간다는 소식을 듣고 더위를 무릅쓰고 가고, 나도 하직하고 돌아왔다. 올 때 오순吳滣 어른 및 병숙柄叔을 만나보고 또 사안士安 부자를 만난 다음 더위가 숙질 무렵에야 돌아왔다. 지나는 길에 제천 할아버지를 뵙고 집에 당도하니 권개보權介甫가 왔다.
관련 멀티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뱃놀이를 하다
1605-06-02
경상북도 안동시
2
예안현감 정협이 가고 안공이 오다
1607-03-12
경상북도 안동시
3
새로 만든 배를 타고 놀다
1607-04-02
경상북도 안동시
4
역동서원 친구들과 배를 묶어 뱃놀이를 하다
1608-05-05
경상북도 안동시
5
금응훈의 늦둥이 아들 금람이 두돌을 맞다
1610-06-20
경상북도 안동시
6
강물 위에 배를 띄우고 술을 나누고 시를 나누다
1610-06-23
경상북도 안동시
7
달빛이 하얗게 쏟아지는 비암(鼻岩)에서 술에 취하다
1616-05-11
경상북도 안동시
8
삼계서원에서 만나기로 한 봉화사람들이 한명도 나오지 않다
1616-05-26
경상북도 안동시
9
예안 현감이 김령, 김평, 김광계를 비암으로 불러 노닐다
1616-07-15
경상북도 안동시
10
뱃놀이에 취해 김확의 서당터를 가보지 못하다
1617-04-01
경상북도 안동시
11
배 위에서 적벽대전을 떠올리다
1637-07-17
경상북도 안동시
12
강가에서 가을 풍경을 즐기다
1638-08-19
경상북도 안동시
13
뱃놀이를 하려다가 바람을 만나 고생하다
1595-03-07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