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이웃과 어울리는 삶
자연재해와 지역사회의 대응
주고받는 호의와 재화
죽은 자에 대한 기억과 예의
즐거운 경사와 잔치
지역사회의 공간 정비
학문으로 맺은 인연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공동체
> 즐거운 경사와 잔치
페이스북
스크랩
오래전부터 벼르던 작은 배를 만들다
1614년 4월 6일, 얼마 전 김광계는 작은 배를 한 척 만들기로 했다. 몇 년 전에 동네 사람들이 함께 탈 배가 완성되어 많은 사람들이 즐거워했었다. 그러나 그 배는 마을 공동의 배라서 아무래도 불편할 때가 많았다. 어떤 때는 서로 배를 타기 위해 아우성을 칠 때도 있고, 어떤 때는 뱃사공이 보이지 않아 배를 탈 수 없을 때도 있었다. 김광계는 따로 배를 한 척 갖고 있으면 좋을 것 같아 오래전부터 벼르기만 하다가 결국 조선소에 배를 만들어 달라고 해 놓았다.
오늘은 배를 잘 만들고 있는지 보러 가기로 했다. 다행히 어제까지 종일 내리던 비가 그쳐 날씨도 좋고, 경치도 좋았다. 아우
광실
과 집을 나서서 강을 따라 상류로 올라가고 있는데, 금발도 따라왔다. 금발은 온계의 임씨 어른이 담아 준 국화주를 가져왔다.
이야기를 하면서 강기슭을 따라 올라가 배 만드는 곳에 이르렀다. 배는 벌써 그 모습을 갖추고 있었는데, 크진 않았지만 꽤 근사하고 예뻤다. 김광계는 배의 이곳저곳을 꼼꼼하게 살피며 배 만드는 일을 감독했다. 김광계가 배 만드는 곳에 간다는 소식을 듣고 광적 형과 노산 재종조부 부자도 구경을 하러 찾아왔다. 다 함께 배 만드는 과정을 재밌게 보다가 강가에 앉아 임씨 어른이 보내 준 국화주를 나눠 마시고 돌아왔다.
열흘 정도 지나 김광계의 배가 거의 다 완성되어 간다고 하자 제천 할아버지를 비롯해서 여러 친족들이 강기슭의 배 만드는 장소에 모였다. 거의 다 만든 배를 구경하고 나서 강가에 앉아 그물을 던져 고기를 잡았다. 잡은 고기를 회를 쳐서 먹으며 즐겁게 놀다 왔다.
4월 26일에 배가 완성되었다. 김광계는 집안 어른을 모시고 강에 나가서 완성된 배에 올라탔다. 노를 저어 강을 오르내리며 노래를 부르고 놀았다. 저마다 술을 가지고 와서 서로 권하여 크게 취한 채로 노닐다가 해가 지고 난 후에야 집으로 돌아왔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매원일기(梅園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김광계(金光繼)
주제 : 배. 경치. 국화주
시기 : 1614-04-06 ~ 1614-04-26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김광계, 금발, 김광실, 김광적, 김참
참고자료링크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김광계
◆ 한선(韓船)의 종류와 특징
우리나라의 한선은 평저선형 구조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만듦새는 서양의 V형의 선형이나 일본의 삼판식(三板式) 반평저형(半平底型)의 선형, 그리고 중국의 V형 및 U평저형의 선형과는 다른 것으로써 우리나라의 지리적 지형적 조건과 형편에 알맞게 만들어진 것으로서 환경에 적응하도록 창안되고 발달하여 온 것이 우리나라의 평저형의 한선이다.
한선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고, 강에는 ‘댐’이 건설되는 등 선박의 뱃길마저 없어져서 그나마 남아 있던 한선은 자취를 감추어 버리고 말았다. 지금 우리가 해안이나 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배는 일본의 화선식(和船式) 개량 목선과, 서양식 목선과 일본의 화선식을 절충한 개량 목선들인데 이것을 우리의 전통 한선으로 잘못 알고 있다.
그 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강이나 바다에서 사용하는 거룻배다. 삼판杉板 두 장 또는 석 장을 물고기 비늘처럼 겹쳐서 나무못으로 봉합한다. 강이나 바다에서 운반선으로 사용한다. 포구나 만내(灣內)에서 소하물을 운반하거나 해안에서 해조류 등을 채취한다. 낚싯배로도 사용한다. 원근해(遠近海)를 항해하는 대형선에서 자선(子船)으로도 사용한다. 뗀마 또는 전마선은 일본식의 거룻배이다.
두 번째, 강과 호수에서 사용하는 강선(江船)이다. 강선은 강이나 호수에 관계없이 삼판은 하판(下板)과 상판(上板) 두 장을 봉합하고 이물과 고물은 횡판으로 대어 막는다. 배 한가운데에 멍에를 걸고 돛대를 세우고 사각 돛을 매어 달았다. 옛날의 강선은 떡 목판과 같이 생겼다 하여 목판배라고 하였다. 강이나 호수의 나루턱에서 사람이나 짐을 실어 나르는 배는 나룻배라고 한다. 한강의 상류인 충주나 인제에서 농산물이나 임산물을 싣고 하류인 서울로 내려왔다가, 마포에서 어염(魚鹽)이나 생필품을 구입하여 돛을 달고 올리는 배가 있었는데 이러한 배를 늘배(廣船(평저선平底船))라고 한다. 고려시대 이후 내륙지방의 세곡(稅穀)을 이러한 늘배를 이용하여 개경이나 서울로 운송하였다.
세 번째는 바다에서 사용했던 작은 배 야거리(海船)다. 가까운 바다를 왕래하며 하물이나 어장의 고기를 실어 나르는 운반선으로 돛대 하나를 세우고 한선식 사각 돛을 매어 단다. 연해안에서 어망으로 고기잡이 즉, 어로활동도 한다. 네 번째 배는 당두리(唐道里)이다. 당두리는 돛대 두 대를 세우고 한선식 사각형의 돛을 매어 단다. 배 한판의 한판돛(허리돛 또는 고물돛)은 뒤에서 부는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서 돛을 90도에서 180도로 돌려 조종을 한다. 당두리형의 상선(商船)은 연안을 따라 운항하며 많은 하물을 싣고 장사(貿易)를 하러 다닌다. 어선은 연근해로 나아가 어망이나 낚시로 직업적인 고기잡이, 즉 어로활동을 한다. 어로 활동을 하거나 연근해를 운항하는 배를 연안선(沿岸船)이라고 한다. 당두리형의 싸움배, 즉 평전선은 뱃전에 방패를 둘렀다. 판옥전선은 뱃전에 신방(信防)을 걸고 그 위에 판옥, 즉 판자로 집을 지었다. 세곡을 운반하는 조운선(漕運船)은 삼판을 9장~11장을 붙여 올렸다.
◆ 원문 정보
六日 新晴景物可愛. 與二弟出步溪岸, 仍往淸江之上. 邀子開同行. 子開持一小鐵壼以來云. 昨自溫溪來, 任丈以[菊]花酒寄送之也. 至江干, 監造船. 汝熙兄及蘆山[父子]亦來. 以水和酒, 各飮小許. 十五日 堤川大父及諸親會于江岸造船所. 仍網魚膾之. 以道往江院. 二十六日 新船告成. 陪門丈出江乘之, 泝洄游詠. 各持酒相屬, 大醉而散.
◆ 원문 번역
갑인년(1614, 광해군 6) 4월 6일 비가 갓 개어 경치가 사랑스러웠다. 둘째 아우와 함께 냇가 기슭으로 걸어 나가서 그길로 맑은 강물이 흐르는 상류로 거슬러 올라갔다. 자개를 불러 동행하였다. 자개가 자그마한 쇠 술병을 가지고 왔다고 하였다. 어제 온계溫溪에서 올 때 임씨 어른이 국화주를 담아 보내준 병이었다. 강변에 이르러 배 만드는 것을 감독하였다. 여희 형 및 노산 재종조부 부자도 왔다. 술에 물을 타서 각자 조금씩 마셨다. 4월 15일 제천 할아버지 및 여러 친족들이 강기슭의 배 만드는 장소에 모였다. 이어서 그물을 던져 고기를 잡아 회를 쳤다. 이도가 여강서원廬江書院에 갔다. 4월 26일 새로 만든 배가 완성되었다. 집안 어른을 모시고 강에 나가서 배를 타고 강을 오르내리며 노래를 부르고 놀았다. 저마다 술을 가지고 와서 서로 권하여 크게 취한채로 흩어졌다.
관련 멀티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새로 만든 배를 타고 놀다
1607-04-02
경상북도 안동시
2
역동서원 친구들과 배를 묶어 뱃놀이를 하다
1608-05-05
경상북도 안동시
3
과거를 보기 위해 배를 타고 한성에 가다
1609-09-18
경상북도 안동시
4
강물 위에 배를 띄우고 술을 나누고 시를 나누다
1610-06-23
경상북도 안동시
5
금발의 서당에는 아름다운 연못이 있다
1610-07-14
경상북도 안동시
6
온계의 임씨 어른 댁에 가서 연못을 구경하다
1614-04-06
경상북도 안동시
7
도롱이를 빌려 쓰고 귀가하다
1614-04-08
경상북도 안동시
8
기망에 뱃놀이를 하며 적벽부를 읊다
1614-07-16
경상북도 안동시
9
서로 배를 타고 중간에 만나서 노닐다
1615-04-05
경상북도 안동시
10
뱃놀이에 취해 김확의 서당터를 가보지 못하다
1617-04-01
경상북도 안동시
11
배 위에서 적벽대전을 떠올리다
1637-07-17
경상북도 안동시
12
친구의 초정 구경을 하다
1635-05-18
경상북도 안동시
13
중요한 교통수단, 배
1635-04-30
경상북도 안동시
14
작은 배가 더 낫다
1572-01-09
서울특별시
15
나룻배가 완성된 날, 냇가에서 축제가 벌어지다
1618-04-28
경상북도 안동시
16
고을에서 만든 배를 고장내다
1598-06-01
강원도 평강군
17
가라앉은 배를 꺼내어 여울을 건너다
1600-08-18
강원도 평강군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