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Home
>
테마스토리
>
학문과 과거
> 끝없는 학문의 세계
페이스북
스크랩
「온고이지신」을 주제로 작문하다
1933년 4월 10일, 아침 훈시 시간에 박연조 선생은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날마다 새로워지고 또 날마다 새로워짐)’을 주제로 말씀하셨다. 오후에는 ‘오도진흥책(吾道振興策)’이란 제목으로 작문을 해서 제출했다. 그리고 며칠 전 작문시험 시간에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을 주제로 써서 제출했던 글을 받았는데 일기에 기록해 두었다.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대체로 ‘고(故)’란 것은 옛날에 들은 것이요, ‘신(新)’이란 것은 오늘 스스로 터득한 것이니, 누구든지 무엇이든지를 막론하고 옛날 들은 것을 거듭 연구하고 오늘 새롭게 얻은 것이 있어야 학문에 필요한 인재가 될 것이다. 비교하여 말하자면 역사나 경전 또는 다른 선생에게서 듣고 알게 된 것을 통해 당장의 일과 미래의 일을 추측하여 알게 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옛날에 듣고 알게 된 것이 비록 많고 많을지라도 오늘과 미래의 일을 추측하여 알지 못하면 이는 이른바 고집불통한 자이니, 세상을 경륜하는 사업을 하지 못할 뿐 아니라, 먼저 자신에 대해 여러 가지 도리에 맞는 처신을 하기 어려울 것이다.
천하의 만물은 각각 지극한 이치가 있다. 그것을 알고자 한다면, 반드시 옛날 듣고 보고해서 알게 된 바를 추측하고 찾아서 반복하여 궁구한 뒤에야, 익힌 그곳의 자연적 이치를 훤히 알게 될 것이니, 이것이 이른바 ‘지신(知新)’ 이다.
사람이 이같이 할 수 있다면, 자신으로부터 집과 나라와 세계까지 모르는 것이 없고, 못 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지금의 우리가 세상의 도를 말할 수는 없으나, 만일 한다면 옛 성인의 윤리와 도덕으로, 오늘의 세계에 교화하고자 하면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무엇으로 할 것인가?
《시》에서 “백성들의 변함없는 천성으로 이 아름다운 덕을 좋아하네.” 라 하지 않았던가?
사람마다 이 윤리와 도덕의 변함없는 성품을 모두가 얻었지만,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거듭 연구하여 새로운 지식을 얻지 못했기 때문인즉, 우린 어떻게든 고유한 인성을 통해 또 기존 지식을 통해 새로이 터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것을 얻고자 하면, 그것은 반드시 기존 지식을 반복 탐구하여 힘써 익히는 데 있을 것이다.
그런즉 지금 우리는 옛 성인께서 교화를 세상에 펼치신 것을 법으로 삼고, 이를 미루어 끝없이 새로운 것을 얻어, 성인의 큰 도를 이 세상에 밝히고자 하니, 이것이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하는 까닭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사람들의 스승이 될 수 있도다.”
사람들의 스승이 될 수 있다면 그 교화로, 이 세상 이 백성을 구제할 수 있는 책임을 질 수 있으니, 우리는 반드시 온고지신(溫故知新)하는 공부에 힘을 씁시다. 우리들이여!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녹동일기(鹿洞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심상석(沈相碩)
주제 : 온고이지신
시기 : 1933-04-10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심상석
참고자료링크 : (참고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관련 배경이야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원문 번역
1933년 4월 10일 庚午 목요일 사일 맑은 데 큰 바람 아침에 박 선생이 제생에게 훈시하시길,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날마다 새로워지고 또 날마다 새로워짐)’이것이 학문이 진보하는데 제일 관건이 되는 것이다. 오늘 한 가지 일을 알고, 어제 한 가지 착한 일을 하였고, 이같이 하면 지식은 날로 밝아지고 행동은 날로 넓어져 학업이 장차 그치지 않을 것이다. 항상 이 마음이 선하는지 아닌지를 살펴서 선한 일은 힘써 행하고 불선不善한 일은 용단을 내려 떨쳐 버려야 할 것이니, 하는 일마다 정도正道를 얻는다면 이것이 바로 일신日新의 功이니, 이 공력功力이 단지 크기만 하겠는가? 이러하니 제군들은 마땅히 힘쓸지어다.” 12시쯤에 ‘오도진흥책吾道振興策’이란 제목으로 작문을 하였다. 오후엔 《대학》과 《논어》로서 시험과목을 내어 ‘보망장補亡章’에 토를 달고, ‘자공子貢과 자하子夏의 시의 의미는?’ ‘일관충서一貫忠恕의 뜻이 같고 다른 점’과 ‘속유俗儒 이단과 우리 유교인과의 같지 않는 점들’을 일시에 서면으로 응답한 후에 저녁을 먹었다. 온고이지신 대체로 ‘고故’란 것은 옛날에 들은 것이요, ‘신新’이란 것은 오늘 스스로 터득한 것이니, 누구든지 무엇이든지를 막론하고 옛날 들은 것을 거듭 연구하여 오늘 새롭게 얻은 것이 있어야 학문에 필요한 인재가 될 것이다. 비교하여 말하자면 역사나 경전 또는 다른 선생에게서 듣고 알게 된 것을 통해 당장의 일과 미래의 일을 추측하여 알게 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옛날에 듣고 알게 된 것이 비록 많고 많을지라도 오늘과 미래의 일을 추측하여 알지 못하면 이는 이른바 고집부통固執不通한 자이니, 세상을 경륜하는 사업을 하지 못할 뿐 아니라, 먼저 자신에 대해 여러 가지 도리에 맞는 처신을 하기 어려울 것이다. 천하의 만물은 각각 지극한 이치가 있다. 그것을 알고자 한다면, 반드시 옛날 듣고 보고해서 알게 된 바를 추측하고 찾아서 반복하여 궁구한 뒤에야, 익힌 그곳의 자연적 이치를 훤히 알게 될 것이니, 이것이 이른바 ‘지신知新’ 이다. 사람이 이같이 할 수 있다면, 자신으로부터 집과 나라와 세계까지 모르는 것이 없고, 못 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지금의 우리가 세상의 도를 말할 수는 없으나, 만일 한다면 옛 성인의 윤리와 도덕으로, 오늘의 세계에 교화하고자 하면 할 수 있다. 무엇으로 할 것인가? 《시》에서 “백성들의 변함없는 천성으로 이 아름다운 덕을 좋아하네.” 라 하지 않았던가? 사람마다 이 윤리와 도덕의 변함없는 성품을 모두가 얻었지만,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거듭 연구하여 새로운 지식을 얻지 못했기 때문인즉, 우린 어떻게든 고유한 인성을 통해 또 기존 지식을 통해 새로이 터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것을 얻고자 하면, 그것은 반드시 기존 지식을 반복 탐구하여 힘써 익히는 데 있을 것이다. 그런즉 지금 우리는 옛 성인께서 교화를 세상에 펼치신 것을 법으로 삼고, 이를 미루어 끝없이 새로운 것을 얻어, 성인의 큰 도를 이 세상에 밝히고자 하니, 이것이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하는 까닭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사람들의 스승이 될 수 있도다.” 사람들의 스승이 될 수 있다면 그 교화로, 이 세상 이 백성을 구제할 수 있는 책임을 질 수 있으니, 우리는 반드시 온고지신溫故知新하는 공부에 힘을 씁시다. 우리들이여! 선생님께 올리는 글 제가 선생님을 떠나 온 지도 벌써 한 달 정도가 지났고, 북쪽 시흥에 온 지도 또한 한 달 정도 지났습니다. 그동안 안후安候를 드리지 못하여 우러러 보며 사모하는 마음 더욱 깊은 한편 송구스럽기는 비길 데 없습니다. 그동안 봄기운이 한창인 요즘 고요히 지내시는 도체후道體候가 항상 강녕하시기를 엎드려 간곡히 비옵나이다. 상석은 감히 부모님과 선생님의 명령을 받들어 금일의 성대한 자리에 참여하게 되어 저의 마음 기쁘기 비길 데 없습니다. 죽농 안 선생의 평생 원대한 뜻과 근성勤誠한 덕으로 경성중앙에 유교회를 창설하시고, 또 이 서원에 팔도의 선비들을 모아 우리 공부자의 도를 강명 하여 대중을 구제하고 인재를 양성하시니, 실로 고금에 드문 일입니다. 이 때문에 그 말씀은 반드시 효제 인륜의 도로서 하시며, 항시 사도를 잃을까 근심하시는 마음이 언어가운데 넘쳐흐르고 있으니 사람으로 하여금 감복이 되고 교화가 되는 것입니다. 상석은 생각하건대 그분은 불세출不世出의 인물이라. 그렇지 않다면 하늘이 이 세상 의 도에 뜻이 있어 이 사람을 태어나게 하신 것인가? 또 지금 교수 여러 선생은 모두 이 나라의 석덕碩德이신지라. 예를 든다면 석하 해창 노주 여러 선생은 주야로 가르침을 주시니, 그 권장勸獎해 주시는 말씀과 엄중하신 훈계가 훈풍의 자리와 같고 또 때를 만난 단비와 같아서, 모든 총명한 선비들은 봄 동산 풀들과 같이 날로 나아감에, 장차 성취할 날이 있을 것입니다. 상석의 어리석음으로 본시 향학向學의 정성이 없는 제가 수년 동안 선생님의 가르치심을 받았습니다마는, 저 스스로 노력하지 않아, 나이가 벌써 삼십에 가까워도 스스로 저 자신을 돌아보매 어린 동몽에 지나지 않으니, 이것이 더욱 부끄럽고 뉘우침이 절실합니다. 이제 학과가 많아 저의 무능한 재주로선 능히 알아 실천키 어려우니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엎드려 바라오니, 선생님께서 저를 못났다고 도외시度外視하지 마시고 하교를 하시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셔서, 성취하고 돌아가게 하여 주시옵소서. 상석은 명심코 뼈에 새겨 장차 나아가 큰 사업을 도모하겠습니다. 갖추지 못하오나 안후安候의 편지를 올리나이다. 오도진흥책 대저 집을 짓는 자는 반드시 그 기초를 굳게 해야 하고, 나무를 심는 자는 반드시 그 근본을 깊게 해야 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 동량을 세우되 위태롭지 않게 하고자 함이며, 그 지엽을 잘 자라게 해서 번성하게 하고자 함이라. 때문에 성취가 쉽고 자라남이 빨라지는 것이다. 사람의 도道도 또한 이와 같은 것이다. 먼저 나의 심지를 세운 연후에야 외물이 족히 나의 마음을 빼앗을 수 없어, 나의 본래 천성을 가히 회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그 덕이 닦여지고 그 공의 교화가 원대遠大해질 것이다. 이제 우리 성인의 도를 진흥코자 하는데 어찌 다른 방법이 있겠는가? 성인의 학문을 강명하고 대도의 본원을 궁구해서 밝게 밝히며, 독실히 행하며 몸소 실천하고, 이를 기초와 근본으로 삼고 널리 시무에도 통하게 하여, 아울러 행하여 서로 어긋남이 없다면 이에 세상에 큰 도움이 있을 것이다. 혹자는 말하기를, ‘요즘 신학문은 알 필요 없다.’ 고 하나 이것은 크게 잘못이다. 이 세상에 태어나지 않았다면 모르지만 이미 이 세상에 태어난 이상 시무를 모르고서 어떻게 행동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옛 사람이 이르기를, “사람이 고금의 일을 모른다면 말이나 소에게 옷 입히는 것과 같다.” 하니 그렇다면 요즈음 신학문 중에서 마땅히 급히 힘써야 할 것은 산학算學, 어학語學, 지리地理, 법제法制 등의 일이니, 모두 다 익힌 연후에는 시무에 구애되는 바 없어서 우리 도의 진흥방책에서 반은 이루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집의 동량이 확실한 후에야 위태치 아니하고, 나무가 가지와 잎이 잘 뻗은 후에야 번성하게 자라게 되니, 이와 같이 시세에 마땅히 하고 성인의 도를 참작하여 몸소 행한다면, 무엇을 베풀어도 훌륭하지 않겠으며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리오? 그러나 때에 맞지 않는다면 가능하겠는가? 주역의 도는 때를 위주로 삼는 것이라. 이제 천하를 크게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이 때에 알맞게 하지 않고서 가능한 일이겠는가? 때는 때가 있는지라. 현재 동서 지구상에는 과학 물질로서 그 극치를 삼는데도, 끝에 가서는 오히려 우리 공부자孔夫子의 성도를 사모하여 강습하고 연구하는 곳이 많이 있다. 어찌 때에 맞지 않은데도 그럴 수 있겠는가? 또한 사물이 극도極度에 가면 되돌아오는 것이 천리요 자연인 것이다. 저 과학이 이미 이러한데도 우리 성인의 도는 밝혀지지 않는 지가 오래인지라. 이제 그 때를 이와 같이 얻었으니, 어찌 한번 크게 분발하여 우리 본분인 대사업을 도모치 아니하랴! 그러니 집을 짓는 자는, 기초가 굳건해야 동량을 세워도 위태롭지 아니하고, 나무를 심는 자는 그 근본이 깊어야 지엽枝葉이 잘 뻗어 번성케 되는 것이다. 지금 성인의 도를 배우는 자는, 반드시 먼저 마음을 바로 하고 도를 세우기를 높고 크게 한 연후에라야 능히 수화水火 가운데 있는 대중을 구할 수 있으며, 천하만세天下萬世에 우리 도를 진흥振興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 멀티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온고이지신을 주제로 작문하다
1933-03-26
서울특별시 금천구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