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가정
> 노비들의 삶
페이스북
스크랩
노인이 되어도 잊지 못하는 유모의 사랑
1638년, 김광계는 환갑을 바라보고 있는 노인이었다. 하지만 그에게도 어린 시절이 있었다. 그가 8살이 되었을 때, 김광계의 할머니가 한 여종에게 명하여 양육을 전담하도록 하였다. 유모를 가지기에는 다소 나이가 많은 때였지만, 김광계는 유모에게 상당히 정을 붙였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유모는 누구도 원망하지 않고, 언제나 온화하고 자애롭게 모두를 대하였으며, 일을 함에 있어서도 부지런하고, 누구나 꺼리는 일에 먼저 나섰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본분을 잊지 않고 윗사람을 섬겼으며, 김광계와 그 형제들을 아껴 주었다. 유모는 비록 여종이었지만 『
소학(小學)
』에서 말한 참된 어진 행동과 같이 늘 행동하였다. 그래서 김광계는 그와 일생을 같이 한 60여 년 동안 유모를 존중하고 사랑하였다.
그 유모도 1638년에는 87세의 노인이 되어 있었다. 김광계는 아흔이 다 된 유모가 병을 앓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몹시 걱정스러워하였다. 병을 앓으면서도 유모는 1년 넘게 더 생을 이어갔다. 그러던 중 1639년 여름에는 유모가 이질에 걸렸다. 노인인데다가 계속해서 병을 앓고 있던 와중이라 더욱 병세가 위중하였다. 유모는 날로 초췌해지고 숨이 끊어질 듯해 김광계는 더욱 애간장이 탔다.
9월 7일 저녁, 집 밖에 있던 김광계는 유모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 바로 집으로 달려왔다. 이미 말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았지만, 유모는 김광계의 얼굴을 볼 수 있었고, 결국 이 날 숨이 끊어졌다. 88세였다. 김광계는 유모의 덕성을 다시금 헤아리며, 갑자기 유모를 잃은 것을 슬퍼하며 어린아이처럼 통곡하였다. 길러준 은혜뿐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도 훌륭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그 슬픔이 더욱 컸던 것이다.
김광계는 다음 날 직접 유모의 초상을 치르는 일을 감독하고, 9월 9일에 양지바른 언덕에 유모를 묻었다. 김광계를 위로하기 위해 아우들과 조카들이 찾아왔지만, 다음날까지 김광계는 문을 닫아걸고 유모를 애도하였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매원일기(梅園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김광계(金光繼)
주제 : 장례
시기 : 1638-05-04 ~ 1639-09-10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김광계
참고자료링크 :
승정원일기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김광계
◆ 양반가 아이는 유모 손에
양반의 집안에 돌봄이 필요한 아이가 있을 경우, 아이를 양육하는 전담자를 흔히 노비 중에서 연령, 건강, 성격 등을 고려하여 선발하였다. 1자녀 1유모(乳母) 혹은 2자녀 1유모가 배정되었는데, 젖을 주고 돌보는 일을 전담하게 하기 위해 가사노동 전반을 면제해 주기도 하였다. 젖을 물리기 위해서는 아이를 낳고 수유기에 있는 여성이 유모로 우선 대상자가 되었는데, 자신의 아이에 우선하여 자신이 돌보아야 하는 양반가의 아이에게 젖을 주어야 했다. 그렇기 때문에 유모로 선정될 경우 유모 자신과 그 가족에게는 상당한 손해가 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자신이 돌보아야 하는 아이가 병에 걸리거나 사고를 당할 경우 그 책임을 온전히 져야 했기 때문에 부담이 컸을 것이다. 하지만 주인의 집안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동시에 자신이 돌본 아이가 장성하였을 때도 일정 정도의 대우를 받을 수 있었다. 또한 장성한 아이가 혼인 및 분가, 직업상의 이유 등으로 거주지를 옮길 경우에도 따라가 평생 함께 하였다.
◆ 원문 정보
四日 丙寅 在家致齋. 乳母甲寅生也, 年近九十, 病勢甚重, 極可憐悶. 五日 己未 乳母得痢疾已數月, 日漸澌瘁, 氣息奄奄, 憂悶不可言. 午後騎馬出郊外, 長江澄澈, 楓葉政紅. 仍渡水往定止書堂, 見而實打話. 日暮來吾江舍宿. 七日 辛酉 以健·以道·𥑻姪·吳益勳·禹必大來見. 琴三達亦暫來. 日暮聞乳母病勢益重, 急急馳來, 已不能言. 初更氣絶. 右婢吾生八箇月, 祖母命使乳養, 在家中六十年. 無怨惡於人, 溫良慈惠, 辛勤堅固. 盡忠事上, 至誠惻怛, 親執鄙事, 晝夜不輟, 庶幾小學所云, 而遽爾失之, 非但爲鞠養之恩而已, 慟哭慟哭. 八日 壬戌 治喪事. 九日 癸亥 曉頭引柩埋葬于五野只村南向之原. 日午還家. 兩弟及姪兒輩來見. 十日 甲子 哭泣之餘, 氣甚不平, 杜門靜養. 𥖝自仁州還.
◆ 원문 번역
무인년(1638, 인조 16) 5월 4일 병인 집에 있으면서 치재하였다. 유모가 갑인년(1554)에 태어났으니 나이가 아흔 살에 가까운데, 병세가 몹시 위중하여 아주 걱정스럽다. 기묘년(1639, 인조17) 9월 5일 기미 유모가 이질을 얻은 지 벌써 몇 달이어서 날로 더 초췌해지고 숨이 끊어질 듯하니, 근심됨을 말할 수가 없다. 오후에 말을 타고 교외로 나아가니 긴 강은 맑고 깨끗하며 단풍잎은 정말로 붉었다. 그길로 강을 건너 정지서당定止書堂에 가서 이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날이 저물어 나의 강사로 와서 잤다. 9월 7일 신유 이건以健ㆍ이도以道와 조카 선𥑻ㆍ오익훈吳益勳ㆍ우필대禹必大가 보러 왔다. 금삼달琴三達도 잠깐 왔다. 날이 저물었을 때 유모의 병세가 더욱 위중하다는 것을 듣고 매우 급하게 달려왔으나 이미 말을 하지 못하였고 초경에 숨이 끊어졌다. 이 여종은 내가 태어나 여덟 달이 되었을 때, 조모께서 젖을 먹여 키우도록 명하셔서 집안에서 60여 년을 살았다. 남을 원망하거나 미워함이 없었고 온화하고 자애로웠으며 부지런하고 굳세었다. 마음을 다하여 윗사람을 섬기고 지극한 정성으로 나를 가엽게 여겼으며, 굳은 일을 몸소 행하되 밤낮을 가리지 않았으니, 거의 『소학小學』에서 말한 것에 가까웠다. 그런데 갑자기 이렇게 잃었으니 다만 나를 길러준 은혜에 그칠 뿐만이 아닌 것이다. 통곡하고 통곡하였다. 9월 8일 임술 초상 치르는 일을 살펴보았다. 9월 9일 계해 새벽에 관을 끌어내어 오야지촌五野只村의 남향한 언덕에 장사를 치렀다. 한 낮에 집으로 돌아왔다. 두 아우와 조카, 아이들이 보러 왔다. 9월 10일 갑자 슬피 통곡한 나머지 기운이 몹시 불편하여 문을 닫아걸고 조용히 조리하였다. 염이 인주仁州(인동仁同)에서 돌아왔다.
관련 멀티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늙은 종 범정(凡丁)의 죽음
1584-01-17
경상북도 예천군
2
어머니의 오랜 몸종 서대가 죽다
1593-11-05
전라북도 장수군
3
집안의 자제들이 최흥원을 위해 개를 잡다
1747-05-02
대구광역시
4
막내아우집의 여종 옥할멈이 죽다
1759-01-14
대구광역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