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가정
>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페이스북
스크랩
책장 사이에 바람을 쐬어주며 서책을 관리하다
책은 종이로 만든 물건이라 관리를 잘 해주지 않으면 좀이 슬거나 곰팡이가 피기 마련이다. 책이 귀하던 시대였지만 김광계는 명문 양반가의 수장답게 소장도서의 수가 적지 않았던 것 같다.
나라에서 정성들여 관리하는 실록만큼 자주 책을 포쇄할 수는 없었지만 김광계 역시 화창하고 날씨가 좋은 날을 골라서 형제 조카들과 함께 포쇄하곤 했다. 한 장 한 장 사이에 바람을 쐬어주면 책장 사이에 필 수 있는 곰팡이도 예방할 수 있고, 사이사이 숨어 있던 책벌레도 어디론가 가 버리곤 했다. 그러다 내친 김에 꺼낸 책들을 점검하고 교정하는 작업을 며칠 동안 하기도 했다. 애서가들이 책장 정리를 하다 말고 꺼내둔 책들을 읽기 시작하는 일이 종종 있듯이 김광계도 마찬가지였던 모양이다.
1628년 6월 22일에 김광계는 아이들을 시켜 책을 포쇄하였는데, 24일에는 말리던 책을 거두어들이다가 선대가 모아둔 책을 아들 김렴과 함께 읽어보았다. 책을 거두자마자 비가 내리기 시작하였다. 다음날에도 비가 내렸는데, 이번에는 아우들과 함께 책을 검열하는 작업을 했다. 가장으로서의 다른 일과와 병행하느라 온전히 책 점검에만 집중할 수는 없었지만, 그래도 정리를 마쳤을 때는 꽤 뿌듯했을 것이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매원일기(梅園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김광계(金光繼)
주제 : 서적
시기 : 1628-06-22 ~ 1628-07-07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김광계, 김렴, 김광실, 김광보, 김광악
참고자료링크 :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김렴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김광계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김광보
◆ 실록을 보존한 방법, 포쇄(曝曬)
실록 편찬의 전 과정을 완벽하게 정리한 것이 《실록청의궤(實錄廳儀軌)》라고 한다면 , 실록의 꾸준한 점검과 관리를 위해 작성한 것이 《실록형지안(實錄形止案)》이다.
《실록형지안》은 실록의 봉안이나 포쇄(曝曬-실록을 햇볕이나 바람에 말리는 일), 고출(考出 - 전거가 필요할 때 뽑아서 열람함), 실록각의 보수 등의 사유로 불가피하게 사고를 열어야 할 때 그 사유와 함게 당시의 보관 상황을 기록한 일종의 '장서 점검 기록부'이다. 《실록형지안》에는 사고를 연 시기, 사고별 · 궤짝별로 보관된 서책의 종류와 수량, 그곳에 파견된 사관과 실무자들의 명단 등이 기록되어 있다.
《실록형지안》은 그 목적에 따라서 포쇄형지안, 실록을 사고에 봉안한 봉안형지안, 실록을 다른 사고에 옮긴 상황을 기록한 이안형지안, 특별히 필요한 경우 실록을 꺼낸 내역을 기록한 고출형지안, 사각을 보수한 상황을 기록한 사각개수형지안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형지안 중에는 포쇄가 가장 많다. 정기적인 점검 외에 봉안이나 고출시 포쇄를 함께 행한 경우에도 형지안을 작성했다. 이 경우 제목은 '봉안후 포쇄', '고출 및 포쇄'로 기재했다. 오대산 사고의 경우 100건의 형지안 중 봉안, 개수를 포함하여 포쇄를 행한 사례가 83건이다.
우리나라에 전래하는 공사(公私) 서적의 포쇄에 관한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고려 공민왕 11년(1362) 8월의 기록이다. 홍건적이 개경을 함락시키자 왕은 복주·청주 등지로 피난가 있을 때 유도감찰사(留都監察司)가 사고에 수장되었던 실록사고(實錄史藁)를 포쇄한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실록의 포쇄를 매우 엄격히 하였으며, 실록은 정기적으로 포쇄(曝曬) 작업을 했는데 조선시대의 포쇄식년은 과거식년(科擧式年)과 같이 격 2년으로 진술축미년(辰戌丑未年)에 시행하도록 하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포쇄하러 가는 연로의 백성들에게 끼치는 피해도 많아졌고, 헌종 이후에는 국내외 사정으로 3년마다 하는 정식(定式)마저 지키지 못하여 5년 또는 10년에 한 번씩 포쇄하는 일도 있었다.
포쇄식년에는 다른 정무의 중복을 피하여 봄·가을에 청명한 길일(吉日)을 택하여 포쇄하였는데, 장마철을 지난 8월~9월이 가장 많았고 3월~4월, 10월에도 많이 시행하였다.
실록의 포쇄는 춘추관에서 담당하였으므로 춘추관사고의 실록은 춘추관당상이, 외사고에는 기사관(정6품~정9품)이 파견되었다. 기사관은 예문관원인 겸춘추(兼春秋)와 예문관원이 아니면서 사관을 겸임한 별겸춘추(別兼春秋)가 맡았다.
한편, 지방의 도사와 수령으로서 춘추를 겸하여 제수받은 자는 외춘추(外春秋)인데, 이 외춘추는 외사고를 개고(開庫)할 수 없었다.
포쇄절차는 사관이 사고에 당도하여 관복의 하나인 흑단령(黑團領)을 입고 사배(四拜)한 다음 개고하였고, 사고 내를 살펴본 뒤 책궤를 열었다.
서적을 꺼내어 포쇄청(曝曬廳)에서 포쇄하고 끝나면 먼지를 털고 책과 책 사이에 초주지(草注紙)를 2장씩 넣어 유둔(油芚:이어 붙인 두꺼운 기름종이)으로 싼 다음 다시 홍보(紅褓)로 싸서 궤 속에 넣고 봉안하는데, 이 때 천궁(川芎:미나릿과의 여러해살이 풀)·창포(菖蒲)를 함께 넣는다. 이는 충해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궤 속에 넣고 인봉(印封)한 다음 사고의 외문도 인봉하고 ‘모일인봉(某日印封)’이라고 기록한다.
한편, 민간에서는 7월 장마 뒤에 옷·책·곡식들의 습기를 말리고 거풍하는 습관들이 있었다.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7월령에는 “장마를 겪었으니 집안을 돌아보아 곡식도 거풍하고, 의복도 포쇄하소.”라고 하였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칠석조에 “인가에서 옷을 햇볕에 말린다. 이는 옛날 풍속이다.”라고 간단히 적고 있다.
◆ 원문 정보
二十二日. 溫習. 使兒輩晒書. 大暑六月中. 二十四日. 與[兒]看閱先代書籍. 午後小雨. 二十四日. 與[兒]看閱先代書籍. 午後小雨. 二十五日. 雨. 與弟輩, 檢閱書籍. 七日. 奠廟後, 校檢書籍. 立秋七月節.
◆ 원문 번역
무진년(1628, 인조 6) 6월 22일 글을 익혔다. 아이들에게 책을 포쇄하도록 하였다. 대서大暑로 6월중六月中이다. 6월 24일 아이와 함께 선대의 서적을 살펴 보았다. 오후에 비가 조금 내렸다. 6월 25일 비가 내렸다. 아우들과 함께 서적을 검열하였다. 7월 7일 가묘에 전奠을 드린 뒤에 서적을 교정하고 검열하였다. 입추立秋로 7월절七月節이다.
그래픽
사랑채 마루에 책을 널어...
3D
책장
책갑
애니메이션
실록을 보존한 방법, 포...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중국에서 구해온 책에 비단을 바르다
1616-05-08
경상북도 안동시
2
책을 널어 말리다
1607-05-25
경상북도 안동시
3
한강 선생이 요청한 대동군부군옥의 필사를 맡다
1607-09-11
경상북도 안동시
4
비오는 날 장황을 하다
1610-03-01
경상북도 안동시
5
낙방한 후 공부를 위해 운암사에 머물다
1610-03-27
경상북도 안동시
6
13일 동안 용수사에 머물며 책을 읽다
1610-04-03
경상북도 안동시
7
『심경강록간보』필사를 위해 종이를 준비하다
1924-03-21
경상북도 영덕군
8
이가후가 조부 이효연의 수택본을 빌려주다
1926-07-01
경상북도 영덕군
9
문장 하나의 뜻을 깨닫기 위해 수일을 전념하다
1926-06-26
경상북도 영덕군
10
추운 겨울날, 속세를 벗어나 산빛을 마주하기 위해 책을 싸...
1570-11-03
경상북도 안동시
11
여러 가지 역사책을 읽다
1637-07-19
경상북도 안동시
12
빌린 책을 베껴 쓰다
1643-02-11
경상북도 안동시
13
월화수목금금금 공부 또 공부
1634-01-15
경상북도 안동시
14
독서는 차와 밥과 같다네 - 험한 길을 가 백발의 학자를 ...
1861-04-04
경상남도 양산시
15
닭이 울 때까지 베껴쓰고, 추위와 더위에도 베껴쓴다 - 조...
1845-03-26
대구광역시
16
공부를 게을리하다 할아버지께 지팡이로 맞다
1801-09-17
경상북도 안동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