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경제
> 시장과 거래
페이스북
스크랩
노자 떨어진 나그네의 설움
관직을 구하러 서울에 올라왔다가 소득 없이 고향에 내려가게 된 노상추는 노잣돈이 떨어져 쩔쩔매고 있었다. 서울에 아는 사람이 몇몇 있다고는 하나 돈을 빌리러 다니는 것은 모양도 빠지거니와 쉬운 일도 아니었다. 그나마 다행히 태묘동(大廟洞)의 박례택(朴禮宅)에게 청하여 부족하나마 200동(銅)을 빌렸기에 망정이지 안 그랬으면 굶으며 고향까지 가게 될 뻔하였다.
마침내 노잣돈도 마련하여 귀향하기로 한 날이 되었는데, 동행하여 내려가기로 약속한 주서(注書) 김기찬(金驥燦)이 아무리 기다려도 오질 않았다. 오후까지 기다려 봤지만 결국 오지 않기에 저녁이 되어서야 길을 나섰다. 노상추는 상주(尙州) 소속의 고마(雇馬, 빌린 말)와 마부(馬夫)에게 돈 300동을 주었다. 주머니에서 돈이 쑥 빠져나갔다. 첫날은 출발이 늦었기에 서울에서 30리 떨어진 광주(廣州)의 신원참(新院站)까지밖에 가지 못했다. 그래서 다음날에는 일찌감치 출발하여 하루에 130리 길을 갔다.
출발한 지 사흘째 되던 날, 단월참(丹月站)에서 묵어가려고 말에서 짐을 내리고 있는데 먼저 와서 쉬고 있던 교리(校理) 이정규(李鼎揆)가 인사를 했다. 이정규는 김기찬이 약속을 어기지 않았냐고 하며, 노상추에게 김기찬의 당시 상태를 전해 주었다. 김기찬은 토하고 설사하기 시작했고, 남자종은 등에 종기가 나서 도저히 길을 나설 수가 있는 상태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노상추는 김기찬에게 났던 화가 조금 가라앉고 안쓰러운 마음이 들었다.
다음날 조금 늦게 이정규와 함께 길을 나선 노상추는 마침내 영남 땅으로 넘나드는 관문인 조령(鳥嶺)에 다다랐다. 새조차 넘기 힘든 고개라서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견여(肩輿)를 타고 고개를 넘곤 했다. 이정규도 견여를 탔으나, 노상추에게는 그만한 여유가 없었다. 그저 자신의 두 다리를 믿고 걸어서 40리 고개를 묵묵히 넘어야 했다. 문경에서 하룻밤을 지내고, 다음날 유곡참(幽谷站)에서 동행하던 이정규와는 길이 갈렸다. 대신 청도(淸道) 사람 이동식(李東植)이 이후 길을 동행하게 되었다.
상주 인근인 어곡참(魯谷站)에 이르자 마부가 노상추에게 말했다. “소인 주인집이 읍내인데, 여기서 10리밖에 안 됩니다. 또 관가에 바칠 편지도 있으니 오늘은 그쪽으로 들어가서 자고 내일 아침에 일찍 오겠습니다.” 노상추는 마부가 집에 다녀오는 것을 허락하였다. 하지만 다음 날 아침에 온 것은 그 마부가 아닌 다른 어린 마부와 말이었다. 어쨌거나 마부와 말만 있으면 갈 수 있으므로 군소리 없이 길을 나섰는데, 낙동진(洛東津)에 다다르자 어린 마부는 돈을 주지 않으면 더 길을 갈 수 없다고 우겼다. 노상추가 서울에서 마부에게 준 300동의 돈은 여기까지 유효했다.
노상추가 지금은 돈이 없고, 집에 가서 돈을 더 줄 터이니 그러지 말고 선산까지 가자고 어린 마부를 달래 보았으나 그는 듣지 않고 노상추와 노상추의 짐을 버리고 돌아가 버렸다. 노상추는 결국 짐은 낙동진의 참막(站幕)에 맡겨둔 채로, 동행하던 이동식의 말과 마부를 빌려 와은참(臥隱站)까지 갔다. 와은참에서 노상추의 집까지는 10리 거리였다. 노상추는 땡볕 아래 10리를 걸어 겨우겨우 집에 도착하였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노상추일기(盧尙樞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노상추(盧尙樞)
주제 : 여로, 경제
시기 : 1781-06-12 ~ 1781-06-18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서울특별시
일기분류 : 관직일기, 생활일기
인물 : 노상추, 박례택, 김기찬, 이정규, 이동식
참고자료링크 :
조선왕조실록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이정규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노상추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김기찬
◆ 영남로의 역참과 원
경상도사로 임명받은 황사우는 6일에 거쳐 부임지인 선산부까지 가게 된다. 동대문에서 나온 황사우는 용인→양지→충주→문경→상주→선산까지의 여정을 하는 동안 들르게 된 11개의 역과 1개의 원을 일기에 기록하고 있다. 그 경로는 양재역→동변역→낙생역→(용인현)→금량역→(양지현)→좌찬역→분행역→무극역→용안역→(충주)→안부역→단월역→(문경)→유곡역→(함창현)→덕통역→(상주)→(장천현)→죽현원→(선산부)으로 이어진다.
황사우가 서울에서 선산까지 말을 달려 내려간 길은 조선시대 주요 도로 중 하나였던 영남로의 일부이다. 조선시대에는 각 지역에서 서울로 가는 9개의 주요 도로가 있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영남 지방에서 서울로 가는 영남로였다. 대동여지도에 보면 영남로는 부산에서 대구, 문경새재, 충주, 용인을 지나 서울로 이어져 있으며, 거리는 약 960리에 이른다. 이 길은 경상도의 58개 군현, 충청도와 경기도의 5개 군현에 걸쳐 있었고, 29개의 지선이 이어져 있었다.
황사우는 역에서 식사를 하거나 자신을 찾아온 내방객을 맞는다. 조선시대 역(驛)은 국가의 명령이나 공문서의 전달을 위하여 마련된 교통 통신 기관의 하나였다. 역에서는 오고 가는 사신을 영접하거나 송별하였으며 관물 및 공물의 수송과 내외인의 왕래를 규찰하였다.
영남로의 역참(驛站)은 30리마다 있었다. 각 도(道)에는 찰방(察訪)을 두어 역의 감독을 맡겼다. 역리(驛吏)가 사는 역촌에는 숙식을 제공하는 역원(驛院)과 외양간이 있는 역사(驛舍)가 있었다. 영남로변에는 가로수로서 버드나무, 소나무, 주로 느티나무를 많이 심었고, 일정한 간격(4㎞)마다 장승, 토후, 돌무지, 정자목 등을 세웠다.
한편 황사우가 숙식을 해결했던 곳은 원이였다. 원(院)은 조선시대에 공적인 임무를 띠고 지방에 파견되는 관리나 상인 등 공무 여행자에게 숙식 편의를 제공하던 공공 여관의 기능을 담당하던 곳이다. 흔히 역(驛)과 함께 사용되었는데, 이는 역과 관련을 가지고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원은 교통 사정이 원활하지 못한 당시에 여행자를 도둑이나 맹수로부터 보호하고, 사신 접대와 숙식을 제공했으며, 지방에서 기로연(나이가 많은 정2품 이상의 문신을 예우하기 위해 베푼 연회) 실시와 진제장을 두어 굶는 사람들을 구제하는 역할도 함께 하였다.
◆ 원문 번역
신축일기 1781년(정조5) 6월 12일(계미) 볕이 남. 아침에 태묘동大廟洞에 가서 박례택朴禮宅을 보고 노자 2백동銅을 빌려달라고 부탁하니 허락하였다. 그래서 바로 돌아왔다. 저녁쯤에 박군이 돈을 가지고 오니 고향에 내려갈 방도가 이제야 마련되었다. 6월 13일(갑신) 볕이 늦게까지 남. 주서注書 김기찬金驥燦이 오지 않아서 약속은 이미 어그러졌다. 참군參軍 정달신鄭達新 척형도 포폄 때문에 어영청御營廳에 가서 오후에야 돌아왔기 때문에 저녁에 고향으로 출발하였다. 마부와 말은 상주尙州의 고마雇馬와 마부馬夫가 와서 대기했는데 3백동銅을 주었다. 도성을 나와서 한강을 건너 30리를 가서 광주廣州의 신원참新院站에서 묵었다. 6월 14일(을유) 볕이 남. 일찍 출발하여 70리를 가고 용인龍仁의 직곡참直谷站에서 아침을 먹었다. 60리를 가서 진촌참陣村站에서 묵었다. 6월 15일(병술) 볕이 남. 일찍 출발해서 40리를 가서 돌원참乭院站에서 아침을 먹고 50리를 가서 용원참龍院站에서 잠시 쉬었다가 40리를 가서 단월참丹月站에서 묵었다. 교리校理 이정규李鼎揆씨가 먼저 이곳에 도착해서 함께 묵었다. 말하기를 주서注書 김기찬金驥燦이 본인은 토하고 설사하는 병이 생겼고 남자종은 등에 종기가 나서 출발하지 못했다고 한다. 6월 16일(정해) 볕이 남. 늦게 출발해서 50리를 가서 연풍延豊의 안보역참安保驛站에서 아침을 먹었다. 조령鳥嶺 서쪽의 농사 형편은 풍년이라고 할 만한데 지나온 곳이 모두 그러하였다. 조령을 넘을 때에 교리校理 이정규李鼎揆는 돈을 지급하고 견여肩輿를 탔지만 나는 돈이 없어서 걸어갔다. 40리를 가서 문경聞慶의 화봉원참華封院站에서 묵었다. 이교리와 같이 묵었다. 6월 17일(무자) 볕이 남. 일찍 출발하여 40리를 가서 유곡참幽谷站에서 잠시 쉬었다. 교리校理 이정규李鼎揆는 찰방察訪의 정헌政軒에 들어가서 뒤쳐졌다. 청도淸道 사람 이동식李東植은 14일에 직곡直谷에서 상봉한 이후로 동행하고 동숙하였다. 어곡참魯谷站에 와서 묵었다. 마부 놈이 말하기를, “소인 주인집이 읍내인데 여기서 불과 10리이고 또 관가에 바칠 편지가 있으니 들어가서 자고 내일 일찍 와서 대기하겠습니다.”라고 하므로 허락하였다. 6월 18일(기축) 볕이 남. 일찍 그 마부가 오지 않고 다른 마부와 말을 대신 보내므로 그 말을 타고 길을 나서서 낙동진洛東津 나루에 도착하였다. 마부는 어린놈으로 고마부雇馬夫에게 삯을 받는다는 사실을 비로소 알고는 나를 버리고 돌아가 버렸다. 그를 만류해보았지만 할 수 없어서 짐은 참막站幕에 두고 청도淸道의 마부와 말을 타고 와은참臥隱站에 도착하였다. 도보로 10리를 가서 집에 도착했는데 혹독한 더위는 이루 말할 수가 없다. 집안이 우선 편안하니 다행스럽다. 상사上舍 홍천휴洪天休, 김정현金挺鉉, 권창호權昌浩가 와서 보았다. 영중英仲이 채한보蔡翰甫와 정여익鄭汝益과 함께 도착해서 묵었다.
그래픽
많은 짐으로 힘들어하는 ...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9년간의 낙방 끝에 마침내 무과급제를 하다
1780-01-21
서울특별시
2
임금이 보는 앞에서 활을 쏘다
1780-03-10
서울특별시
3
과거시험 때 진 빚을 빚으로 돌려막다
1780-05-14
경상북도 구미시
4
과거에 합격했으나 여전히 백수신세
1780-12-08
서울특별시
5
인동 장씨의 방해로 천거되지 못하다
1781-06-07
서울특별시
6
경쟁자도 벗으로 만들어 준 폭설의 귀향길
1781-11-30
서울특별시, 경상북도 구미...
7
과거시험 보느라 산 입에 거미줄 치다
1782-05-07
경상북도 구미시
8
벼슬 욕심이 몰아낸 두려움
1782-11-01
서울특별시
9
새해부터 대로에서 밤을 새다
1784-01-01
서울특별시
10
한가로운 금군 생활
1784-03-02
서울특별시
11
손님이 별안간 불을 끈 이유
1811-10-14
서울특별시 종로구
12
새 장수를 맞이하는 대포 소리
1811-10-27
경상남도 김해시
13
집으로 돌아가는 길, 노잣돈은 모자르고, 인맥을 동원하여 ...
1849-04-27
서울특별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