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가정
>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페이스북
스크랩
입후(入後)를 둘러싼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대립
새해가 되자마자 월파(月波)의
성곡(省谷)
족숙이 숙환으로 별세하였다는 부고가 날아들었다. 올해 71세가 되었으니, 수명은 충분히 누린 셈이었다. 하지만 그의 집안에는 걱정거리가 하나 있었다. 성곡 족숙의 아들 노상해(盧尙楷)가 자손 없이 요절했기에 후사를 이을 사람이 없었다. 노상추는 조카 노정엽(盧珽燁)을 데리고 빈소를 찾았다. 노상추가 도착했을 때, 성곡 족숙모는
백송(白松)
족숙을 붙들고 울고 있었다. 망자에 대한 애틋함인가 싶었는데, 자세히 들어보니 후사 문제로 고민이 많아서인 것 같았다.
본디 집안의 후사를 위해 양자를 들이냐 마느냐는 종부에게 결정권이 있었다. 하지만 일전에 후사가 없는 것을 걱정한 여러 친족에 의해 임의로 양자가 정해진 일이 있었다. 성곡 족숙모는 마뜩하지 않았지만 일단 한번 생각해 보겠다고 하며 정식으로 입후(入後) 절차를 밟지는 않았었다. 그리고 그 과정 중에 양자로 삼은 사람이 요절해 버리고, 그의 부인만 남게 되었다. 그래서 흐지부지되었는데 그때의 일이 성곡 족숙이 돌아가신 지금 문제가 된 것이다. 족숙모는 “망인이 남기신 뜻은 전에 명목상 아들로 삼은 자를 파양하고 상오(尙梧)를 후사로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임종 전에 아주버님(백송 족숙)이 오시기를 간절히 기다렸으나 결국 이렇게 되었습니다.”라고 말하며 다시 울기 시작했다.
노상오는 백송 족숙의 둘째 아들이었다. 그래서 성곡 족숙모는 백송 족숙을 잡고 노상오를 양자로 달라며 울고 있었던 것이다. 백송 족숙은 난감한 듯했다. 전에 아들로 삼은 자는 이미 명을 달리했고, 그에게도 후사를 이을 아들 없이 그 부인만 남아 있었기에 파양을 하고 말고 할 것도 없기는 했다. 그래서 여러 친척은 머리를 맞대고 의논한 결과, 성곡 족숙의 양자를 세우기보다는 족숙의 아들인 노상해의 양자를 들이는 편이 낫다고 보고 그 항렬 중에서 아버지를 일찍 여윈 노경엽(盧敬燁)을 후사로 삼기로 했다. 성곡 족숙모도 노상오를 양자로 세우는 것을 더는 고집하지 않고 친척들의 의견을 따르기로 했다. 이것으로 상황은 정리된 듯하였다.
5개월 뒤인 6월, 서울에 다녀온 노상추는 백송 족숙과 성곡 족숙모에게 인사를 드리러 갔다. 그런데 집안 분위기가 심상치 않았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성곡 족숙의 초상 때 정한 양자 노경엽이 파양되어 쫓겨났다는 것이다. 처음에 임의로 들였던 양자의 부인이 “시아버지(성곡 족숙)가 허락하지 않았다.”라며 노경엽을 기어이 쫓아내어 버렸다는데, 백송 족숙과 성곡 족숙모는 이 일에 어이가 없는 듯했다. 왜냐하면 성곡 족숙을 시아버지라고 부르는 명목상의 며느리는 이번에 성곡 족숙의 상에서 상복을 한 번 입기 전에는 성곡 족숙과 족숙모를 보러 온 적조차 없었기 때문이다. 심지어는 상복을 입기는 했으나 빈소를 지키지도 않았다.
성곡 족숙모는 명목상의 며느리라고 한다면 살아 있는 시어미의 명을 따라야 할 것이 아니냐며, 죽은 시아비의 명을 운운하는 것이 괘씸하다고 울면서 화를 냈다. 노부인이 홀로 신주를 지키는 집안은 쓸쓸하기 그지없어 처량해 보였다. 노상추는 아들을 낳아 후사가 끊기게 하지 않는 일의 중요함을 곱씹었다.
다음 해, 성곡 족숙의 소상(小喪) 때에는 결국 성곡 족숙모가 당초에 임의로 세운 양자를 파양하는 한글 편지를 자신에게 맞선 며느리에게 보냈다. 종부의 강력한 권한을 침해할 생각이 없었던 친척들은 이 일에 대해 누구도 참견하지 않았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노상추일기(盧尙樞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노상추(盧尙樞)
주제 : 입후, 가족
시기 : 1781-01-26 ~ 1782-01-26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구미시
일기분류 : 관직일기, 생활일기
인물 : 노상추, 노상해, 노정엽, 노상오, 노경엽
참고자료링크 :
조선왕조실록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노상추
◆ 조선의 양자 풍습
이 이야기는 김령의 두 재종조카인 김광계와 김광실이 김광계 아들을 혼인시키면서 혼서를 작성하는 문제로 고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광계의 아들은 친부가 김광실로서, 어릴 때 아들이 없는 김광계의 후사로 입양된 것이다. 이렇듯 집의 대를 잇기 위하여 타인의 아이를 데려다 자기 자식으로 키우는 것을 양자라고 한다. 양자는 원칙적으로는 동성동본의 성원 중에서 항렬이 맞는 남자아이를 데려오는 것이며, 대상자가 여럿일 경우는 최대한 촌수가 가까운 아이를 입양하였다.
본래 양자제도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거의 모든 사회에서 다양한 형태로 널리 존재한다. 그리고 양자제도의 관습과 법 역시 시대별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고려시대의 경우 자기 아들이 없으면 형제의 아들을 양자로 삼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남계자손이 없는 경우 외손도 양자로 맞아들이는 것을 허용하고 있었다. 또 경우에 따라 여자를 양녀로 받아들이는 관행도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양자는 반드시 부계친족 중에서 택하도록 하였고, 또 적자와 서자를 구별하여 적자가 없을 경우에는 친족 중에서 양자를 받아들여서 가계를 상속하도록 하였다. 즉 본인에게 적자 아들은 없고 서자 아들만 있는 경우, 서자 아들을 후사로 삼는 것이 아니라 집안 내 항렬이 맞는 다른 양자를 들여 이로 하여금 후사를 잇도록 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양자가 본래 종법 질서에 맞지 않는다고 보고, 서자로 하여금 후사를 잇게한 경우도 있었다. 유명한 성리학자였던 이율곡 역시 서자로 하여금 후사를 잇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엄격한 적서구분으로 양자를 선택하였다.
일단 양자로 선택되면 비록 친부모는 아니었으나 법제적으로 친부모 자식 간의 모든 권리와 의무가 뒤따랐다. 또한 자식이 없어 양자를 들였는데 이후 아들을 낳았을 경우 이에 대한 파양도 법적으로 금지되었다. 이리하여 양자를 둔 이후 여러 아들을 낳았음에도 본인 재산의 상속 및 제사 거행은 양자가 담당하게 되는 경우도 다수 발생하였다.
◆ 원문 번역
신축일기 1781년(정조5) 1월 26일(기해) 볕이 남. 상사上舍 홍천휴洪天休와 정준鄭浚 어른이 찾아왔다가 곧 돌아갔다. 들으니, 월파月波의 성곡省谷 족숙이 숙환으로 오늘 진시(오전 7~9시)에 별세하셨다고 한다. 금년 71세이니 수명은 충분히 누리셨지만 아직 후사를 정하지 못하였으니 비통하다. 이명신李明新 생生이 김익채金益采와 함께 제평蹄坪으로 갔다. 나와 조카 정엽珽燁이 상차에서 가서 곡하였다. 주부主婦인 족숙모가 울면서 백송白松 족숙에게 부탁해서 말하기를, “망인이 남기신 뜻은 전에 명목상 아들로 삼은 자를 파양하고 다시 상오尙梧를 후사로 정해 가문을 전해가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또 “임종이 다가올 즈음에 숙부님께서 오시기를 간절히 기다렸으나 그렇게 되지 못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저녁 무렵에 문동文洞에 가서 묵었고, 조카 정엽은 집으로 돌아갔다. 1월 27일(경자) 볕이 남. 문동文洞에서 여차余次의 상갓집에 도착하였다. 주부主婦인 족숙모가 울면서 후사를 정하기를 부탁하는데 갈수록 더 극진하였다. 백송白松 족숙이 처한 사정은 매우 난감하였다. 그래서 여러 종인들과 의논하여 족형 상직尙稷씨의 둘째 조카 경엽敬燁을 후사로 삼아서 일이 올바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의논하여 후사를 세워서 정하니, 주부 족숙모도 마침내 종인宗人들의 의견을 따라 경엽에게 상례를 주관하고 대사를 주관하게 하였다. 할아버지의 제사를 받드는 후사[承重]가 확실히 정해졌다. 6월 21일(임진) 볕이 남. 백송白松 족숙에게 가서 인사를 드렸다. 오후에 비가 뿌렸다. 비가 내린 뒤에 여차余次에 도착하여 월동月洞 족숙모族叔母께 인사를 드리니 초상初喪 때에 정한 승중사손承重嗣孫을 파기하였다. 이것은 춘양春陽 족형수[族嫂]가 그런 것이니, 그 아이를 본래 성곡省谷 족숙이 허락하지 않았다고 하면서 기어이 쫓아내 버렸다. 성곡 족숙의 상에 달려오지 않았으면서도 “시아버지의 명이 그러합니다.”라고 하였다. 자신이 언급한 시아버지와 며느리로 말하자면, 시아버지와 며느리의 명위名位는 바르지 않다. 시아버지가 며느리라 하였지만 아들은 아버지라고 불러본 적도 없이 죽었으니, 시아버지의 죽음에 한번 상복을 입는 것으로 명분을 삼는다면 부자父子라고 하는 것이 이미 실체가 없고, 시아버지와 며느리라는 것도 실체가 없다. 고부지간으로 말하자면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명호名號가 아직 정해지지 않아서 시어머니를 보러 온 적이 없다. 그리고 성곡 족숙의 상에 달려오지 않았으면서 시어머니가 이미 정한 후사를 갑자기 바꾸자는 의견을 내서 쫓아냈으니 마찬가지로 의리에 합당하지 않다. 시어머니는 살아있고 며느리와 후사의 실체가 정해져 있는데도, 실제적으로 살아있는 사람의 의견을 따르지 않고, 세상에 없는 시아버지의 뜻을 중하게 여길 것인가. 하물며 폐출된 사자嗣子로 말하자면 큰 아주버니의 아들이다. 오히려 그 조카를 내쫓고 다시 족인族人의 아들을 세운다면 시아버지의 말을 따르고 시어머니의 실제적인 명령을 어기는 것인데, 세상에 없는 사람의 명을 따르는 것이 의리인가, 살아있는 사람의 명을 따르는 것이 의리인가. 또 그 와중에 지금 내당內堂에는 노부인 한 명이 있고 외당外堂에는 한 조각의 신주만 있으니 이것이 무슨 의리인가, 이것이 무슨 의리인가. 애통하고 한탄스럽기 그지없다. 족숙모의 처량한 모습을 차마 말할 수 없다. 이곳에서 문동文洞으로 갔다. 임인일기 1782년(정조6) 1월 26일(계해) 볕이 남. 제사를 마치고 주부主婦인 족숙모族叔母가 일족을 집으로 모이게 하고는 말씀을 꺼내시기를, “지금 와서 양손養孫을 세우는 것은 가망이 없으니 기존 양자의 명칭을 파기하고 다시 아들을 세울 작정입니다. 그러니 종중에서는 이렇게 알고 계십시오.”라고 하였다. 나와 종인宗人들이 모두 말하기를, “이것은 주부의 생각대로 할 일이며 종인들이 알 바가 아닙니다. 게다가 파양罷養하겠다는 말은 더욱더 종인이 알 바가 아닙니다. 예전에 입후立后한 문서가 없고 또 종인들이 회의에 참석한 적도 없으며 죽은 족형이 살아 있을 때에 부모로 부르게 하면서 후사를 정한 일도 없습니다. 그저 족형의 아내인 청상과부를 며느리로 삼았을 뿐인데, 이것은 본래 족숙 내외가 당시에 사적인 감정으로 정한 것입니다. 이제 그 양자의 명칭을 파하고 다시 양자로 세울 아들을 구한들 무슨 해가 되겠습니까. 여전히 주부의 처리에 달려있습니다.”라고 하였다. 결국 족숙모가 양자의 명칭을 파기하는 한글 편지를 춘양春陽으로 보내겠다고 하였다. 늦게 종인들이 모두 돌아왔다.
애니메이션
조선시대의 입안(立案)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관련 이야기 소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