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인정보다 돈 때문에 찾아오는 친지와 지인들
으레 한 고을의 수령이 되면 각지에서 천릿길이 멀다 않고 찾아오는 손님들에게 시달리곤 했다. 삭주 부사가 된 노상추도 예외는 아니었다. 변방인 삭주에서부터 고향인 영남지역까지는 말 그대로 천 리가 넘는 거리였다. 하지만 고향에서부터 친구와 친지들이 꾸역꾸역 찾아왔다. 노상추가 정말 그리워서 찾아온 것이었겠는가. 다 뭔가 얻을 것이 있기에 찾아오는 것이었다. 삭주부사의 읍황이 1만 금에 달한다는 헛소문이 퍼져 있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로 노상추가 쓸 수 있는 하루 읍황은 13냥 5전이니, 다른 고을에 비해서는 수령이 쓸 수 있는 비용이 적은 편이었다.
선산(善山)에서부터 찾아온 옛 친구 박한우(朴漢禹)와 박한주(朴漢柱)는 한참 연락이 뜸했던 사이였다. 그래도 옛 인연이니 다시 보게 되어 기쁘긴 하지만, 어쩐지 갑자기 이렇게 멀리서부터 찾아오는 그 정성 속에 뭔가 바라는 것이 있는 듯해 찜찜하고 걱정되기도 했다. 그리고 이들은 고향에서 올라오면서도 노상추의 집 편지 한 장을 전해주지도 않았다. 그저 말로만 노상추의 집안에는 별일이 없다고만 할 뿐이었다. 그리고 얼마 전에 삭주에서 다시 고향으로 내려간 조카 정엽을 역참에서 만나지도 못했다고 하는데, 이 역시도 좀 이상했다.
더 노골적인 사람들도 있었다. 서울의 경력 윤홍심(尹弘心)은 남자종 삼득(三得)을 보내 노상추에게 200금을 융통해 달라고 부탁했다. 노상추는 그렇게 큰돈이 어디 있냐고 탄식하며 쓴웃음을 지었다. 종형(從兄) 최사요(崔師堯)도 노상추에게 돈을 바라고서는 천릿길을 걸어서 왔다가 걸어서 돌아갔다. 노상추가 줄 수 있었던 돈은 그의 여비 정도였으니, 천릿길을 왕복한 것이 다 허사였다.
어째서 만금의 읍황 소문은 그렇게 널리 퍼지는데 막상 가니 얻을 것이 없더라는 소문은 안 퍼지는지, 선달 장지원(張趾元)도, 서울의 선전관 허칭(許稱)도 모두 노상추를 찾아와 돈을 요구하러 먼 길을 왔다. 노상추가 보고 싶어서 온 것도 아니고 그저 돈에만 관심이 있어서 찾아오니 노상추는 도리어 답답해졌다. 허칭은 지난봄부터 겨울까지 거의 600여 금을 받아 갔다. 그의 요구에 응하느라 관아에서 읍채(邑債)까지 졌다. 노상추는 그저 자신이 나라의 죄인이 된 것만 같았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