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화마가 출몰하는 잔인한 3월 - 선조의 산소와 뒷산이 불에 타다
1604년 3월 8일, 김령은 아침에 도솔원으로 가는데 2리 쯤 못 미쳐서 의정(義精)을 만나 잠시 냇가에서 대화했다.
오시에 5대조(五代祖) 전직공(殿直公)의 묘소에 배소했다. 그런데 들불이 확산되어 신령(神靈)을 놀라게 해서 미안한 마음을 금할 수 없었다. 고조(高祖) 음성공(陰城公)의 묘소는 겨우 불길을 면했는데, 불길과 묘역은 단 몇 자 간격일 뿐이었다.
묘소가 먼 곳에 있어서 지킬 수도 없고, 벌초도 하지 못해 잡초에 덮여 있는 것이 자못 심하니 자손 된 자로서 마음이 아프다.
저녁에 주촌(周村)에 당도하여 다시 의정(義精)을 만나보고 밤에 집에 오니 거의 삼경(三更)이 다 되었다.

1608년 2월 19일, 바람이 불었다. 김령은 오시쯤, 서북쪽에서 들불이 일어나 우리 동네 뒷산으로 번졌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는 종들을 시켜 불을 끄도록 했다.

1610년 윤 3월 8일, 정보·용보와 함께 길을 떠나 참(墋)의 집에 들러서 술잔을 나누었다. 참과 권축도 모두 따라왔다. 탑대(塔臺)를 지나니 봄빛이 좋은데 솔숲은 우거지고 들판에 시냇물은 흐르며 꽃이 피고 버들은 늘어지고 배꽃과 살구꽃이 피었다. 양장촌(羊塲村)에서 시를 한 수 지어 읊고 드디어 길을 떠났다. 아름다운 곳을 이루 다 기록할 수 없는데, 곳곳에 산꽃은 계곡을 끼고 피어 있고 송담(松潭)도 좋고 반석(盤石)도 좋은데 시냇물은 돌을 울리며 흐른다. 시냇가에 이르러 낮잠[攤飯]을 조금 잤다. 중대(中臺)에 이르니 유곡(酉谷)과는 이십 리 거리이고 두 산이 계곡을 끼고 솟아 쉴 만한 곳이 보이지 않았다.
김령은 시를 지어 읊으며 걸어서 금정암(琴鄭菴)에 올라가는데 묘연(卯緣)이 수고했다. 암자에 도착하니 이미 날이 저물었다. 암자가 매우 높고 가팔라서 중대를 내려다보니 하늘과 땅 같았다. 남쪽으로 멀리 바라보니 산불이 나서 연기가 올라오니 매우 애석했다.

1610년 윤 3월 9일, 새벽에 일어나 시 두 수를 지어 읊었다. 산불이 조금 수그러들었는지 연기가 걷힌 것 같다.

1617년 3월 19일, 아침에 류청지(柳淸之) 군이 술을 가지고 왔다. 계화는 숙취로 괴로워하여 마시지 않았다. 밥을 먹은 뒤에 자첨·이지와 회정(回程)에 나섰다. 계화와 여러분들이 배를 타고 물을 건너 백사장까지 나와 전송했다.
마감(麻甘)의 5대 조고와 고조고 산소가 있는 산에 이르러 보니, 들불이 번져 소나무는 다 탔고 봉분만 겨우 불길을 면한 상태였다.
놀랍고도 분한 일이다. 금계(金溪)에 도착하니 자첨이 맞아들여 말을 쉬게 하고 점심을 차려냈다. 주촌(周村)에 들러 잠시 서고모(庶姑母)를 보고 돌아왔다. 평보 형이 우리가 왔다는 소리를 듣고 나와서 술을 내어 바닥에 자리를 깔고 여러 잔을 마셨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