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페이스북
스크랩
신식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이 말짱 거짓말이라 한다
1911년 2월, 요사이 서당이나 서원 대신 신식학교를 설립하는 경우가 부쩍 많아졌다. 합방 이전부터 나라에서도 신식학교를 장려하였는데, 처음에는 펄쩍 뛰며 반대하던 양반가문에서도 가족 학교를 만드는 일이 잦아졌다. 그런데 얼마 전 들으니 상주에 사는 이경주란 사람이 경상남도 합천 부근에 수백 칸의 집을 짓고는 1천 명의 학생을 모집하여 학교를 설립하였다고 하며 이름을 농상회사, 직조회사, 융명회사, 의약회사 등으로 지었다고 한다.
학생들의 재질에 따라 가르치고 졸업시킨다는 것이며, 이경주 자신이 직접 교사가 되어 학생을 가르친다고 한다. 또 태양등을 만들어 밤을 낮과 같이 밝히는 한편, 무선전화를 만들어 천리 밖까지 사람의 말을 전하는데 묻고 대답하는 것이 마치 옆에서 대화하는 것처럼 한다는 것이다. 실로 이경주란 사람은 만고의 기재란 생각이 들 법 하였다. 또 경상도에서 이름 높은 유학자 곽종석도 이 학교에 참여하였단 소식이 들렸다. 이 소식을 듣자 박주대는 신식 학교란 것을 마냥 나쁘게만 볼 것은 아니란 생각을 하게 되었다. 게다가 곽종석은 이름 높은 도학자인데, 그가 참여하였다면 그 학교의 배움이 도에 해가 되는 것들은 아닐 것이란 기대도 있었다.
그런데 최근 합천 등 경상남도 인근 고을에서 온 사람들의 말을 들으니 이경주가 세운 학교는 사실과 다르다고 한다. 그리하여 풍문을 듣고 모였던 학생들도 반 이상 집으로 돌아가고 학교에는 학생이 몇 남지 않았다고 한다. 이른바 무선전화니 태양등이니 하는 말은 말짱 거짓말이었다고 한다. 그러면 그렇지. 박주대는 애초 가졌던 신식 학교에 대한 못마땅한 생각이 다시 머리에 가득 찼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저상일월(渚上日月)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박한광(朴漢光), 박득녕(朴得寧), 박주대(朴周大), 박면진(朴冕鎭), 박희수(朴熙洙), 박영래(朴榮來)
주제 : ( 미분류 )
시기 : ( 미상 )
장소 : 경상북도 예천군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박주대, 이경주
참고자료링크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박주대
관련 배경이야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원문정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관련 멀티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신학문을 방지할 방도를 찾다
1922-07-04
경상북도 영덕군
2
중학교 설립을 주장하는 청년들이 향교에 찾아와 통곡하다
1922-07-28
경상북도 영덕군
3
경학을 강명하는 것이 과연 이 시대에 죄악이 됩니까?
1922-08-06
경상북도 영덕군
4
향교에 중학교가 들어서는 일을 막기 위해 도청으로 보낼 장...
1922-08-12
경상북도 영덕군
5
단발을 하고 신학문에 빠진 5촌 조카가 찾아오다
1923-02-26
경상북도 영덕군
6
신학문에 빠진 집안의 청년들로 우려가 깊어지다
1926-02-02
경상북도 영덕군
7
멀리 보내기에는 가벼운 신식 종이가 좋은 듯하다
1926-12-25
경상북도 영덕군
8
신식학교를 다니는 조카에게 여자와 위생을 경계하라 당부하다
1927-07-23
경상북도 영덕군
9
퇴계의 후손들이 가족학교를 설치하였다고 한다
경상북도 예천군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