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경자의 1951년 작품 《생태》〉(출처: 서울시립미술관)
천경자 화백이 그린 《생태》는 화백을 유명 작가 반열에 올려놓은 작품입니다. 이 그림을 그릴 당시 화백은 개인적 고통에 잠겨있었다고 합니다. 훗날 천경자 화백은 “나는 무섭고 징그러워 뱀을 참 싫어한다. 그러나 가난, 죽음, 불안 등에서 벗어나기 위해 미친 듯이 뱀을 그렸다. 징그러워 몸서리치며 뱀집 앞에서 스케치를 했으며, 그러면서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라고 회고하였습니다.
천경자 화백이 뱀에 가진 느낌은 우리 대부분도 가지고 있습니다. 맹독을 가진 징그럽고 무서운 뱀. “뱀 같은 사람”이라는 비유는 뱀을 향한 부정적 이미지를 그대로 내보입니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 보니 뱀이 이 이야기를 듣는다면 꽤 억울할 듯합니다.
〈예조에서 작성한 『기우제등록(祈雨祭謄錄)』〉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대구 일대의 가뭄을 보다 못한 관찰사가 기우제를 지내는 모양이었다. … 그런데 오늘, 아침 식후에 먹구름이 모여들고 하늘이 뭔가가 내릴 듯한 기운이 있어 잔뜩 기대하였다. 그러나 오후가 되자 바로 구름이 개어 버리고 비가 내릴 기미가 전혀 없었다. 이것으로 관찰사의 기우제가 허사가 된 것이었다. 사실 관찰사의 기우제에 여러 가지가 허술했던 것은 사실이다. 본래 기우제는 용의 기운을 띈 진일이나 뱀의 기운을 띈 사일에 지내는 것이 보통인데, 관찰사의 기우제는 그렇지 않았다. 날짜를 택하는 데에도 정성이 부족하였는데, 하늘이 감동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지 않겠는가?
-최흥원, 『역중일기』, 1748년 7월 5일-(출처: 스토리테마파크)
조선시대, 가뭄이 닥치면 조정에서는 기우제를 지냈습니다. 경건하게 제삿날을 정하면 미리 재계(齋戒)해야 합니다. 몸과 옷차림을 바르게 하고 마늘·생강·파 등과 같은 냄새 나는 음식은 먹으면 안 됩니다. 흉하고 더러운 일에는 상관하지 말아야 했죠. 이런 정성을 다해야지만 하늘도 감복하여 바람을 들어준다고 믿었습니다. 기우제·기청제(祈晴祭) 같은 의례는 통치자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었고, 의례를 치렀는데도 바람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통치자의 부덕을 탓했습니다. 이러한 기우제는 진일(辰日)이나 사일(巳日) 같은 특정 날에 지냅니다. 용과 뱀의 기운이 액운을 떨쳐버린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뱀은 나쁜 기운을 날려버린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혜와 변화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내년은 푸른 뱀의 해입니다. 푸른색을 띤 뱀은 희망과 성장, 그리고 평화의 의미를 품고 있습니다. 푸른 뱀의 해인 2025년, 11살이 된 《웹진 담談》도 안 좋은 일은 떨쳐 버리고, 한 뼘 더 성장하리라 믿습니다.
〈한국국학진흥원의 디지털 아카이브 “스토리테마파크”〉 바로가기
《웹진 담談》은 선인의 일기장에서 다양한 이야기 소재를 뽑아 구축한 아카이브 “스토리테마파크”와 함께 합니다. “스토리테마파크”를 대중에게 알리는 한편, 시의성을 반영한 글을 수록하여 온라인으로 발행합니다. 우리는 《웹진 담談》을 통해 옛이야기를 전달하고, 독자들은 이 글을 읽으며 또 다른 이야기를 상상합니다.
옛 기록에는 아직 주목받지 못한 생생한 일상이 잠들어 있습니다. 매달, 시의성을 고려한 주제를 선정하고 전문 연구자 한 분과 창작자 또는 관련기관 실무자 한 분이 이 이야기를 깨워 여러분께 전달합니다. 1년간 함께 하실 네 명의 저자는 각각 창작 웹툰 “스토리웹툰 독(獨) 선생전”, 창작 단편소설 “백이와 목금” 그리고 “선인의 이야기, 오늘과 만나다”를 통해 전통 기록의 콘텐츠 사례를 소개해 주실 것입니다. 기관에서도 “스토리테마파크를 쓰다”에서 스토리테마파크에서 찾아낸 보석같은 이야기를 담담하게 기록하겠습니다다. 여러분의 창의성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독자 코너도 준비하고 있으니 기대해 주세요.
우리는 《웹진 담談》을 통해 선인과 우리, 옛날과 지금 사이에 대화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합니다. 생각하지 못했던 옛이야기는 여러분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여 영화·드라마·소설·게임·웹콘텐츠 등 다양한 창작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웹진 담談》이 여러분의 삶에 작은 재미와 영감이 되기를 바라며 2025년의 첫걸음을 내딛습니다.
시기 |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 장소 | 출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