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Home
>
테마스토리
>
학문과 과거
>
페이스북
스크랩
뱃머리에서 금강을 노래하다 (1) - 벗을 찾아가는 길
1581년 5월 17일, 권문해는 임천군(林川郡)에 있는 지인
홍적(洪迪)
을 만나기 위해 배를 타고 짧은 여행을 시작했다. 그는 정오 즈음하여 황익광(黃益光)과 함께 작은 거룻배에 올라타 백마강(白馬江)을 따라 내려가 정산(定山) 땅에 이르렀다. 부여의 수령이 배로 나와 맞이하였다. 저녁때 즈음에는 함께 배를 타고 왕진(王津)에 이르렀다. 정산수령 조윤희(曺胤禧)가 또 뒤따라 도착했다. 날이 저문 후에도 계속 노를 저어 밤 아홉시가 넘은 시간에 낙화암(落花岩) 아래에 정박하고, 현사(縣舍)에 들어가 숙박하였다. 여행객들은 배가 물길을 따라 흘러가는 동안 서로 노래를 지어 읊었다.
강바람 맞으며 배를 타고 금강 하류를 지나는데
새와 물고기는 시종 자유로이 노니네
천리 멀리 금강의 물결 바다로 향하는데
석양에 긴 피리 불며 증류로 내려가네
반 장대 쯤 남은 석양은 뱃머리에 걸려있고
바람 자고 물결 맑으니 헤엄치고 놀 만하네
긴 피리소리 몇 가락 흥을 돋우니
오늘 밤은 그대로 백마강에 정박하리
십년 떠돈 벼슬살이에 머리털이 다 희어졌으니
속세 떠나 강호에서 살려는 뜻만 공연히 못지켰네
오늘 배 위에서 뛰어난 말씀 듣고 손뼉 치자니
때 묻은 얼굴 맑은 강물에 비춰보기 부끄럽네
권문해는 떠난 지 하루 만에 임천군에 도착하였다. 우선 임천군수령 홍인범과 종일 술을 마시다가, 밤이 되어 요산정(樂山亭)에 올라 드디어 홍적을 만나 만취하도록 술을 마셨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초간일기(草澗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권문해(權文海)
주제 : 풍류, 여행, 뱃놀이
시기 : 1581-05-17 ~ 1581-05-18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충청남도 청양군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권문해, 황익광, 부여수령, 조윤희, 홍인범, 홍적
참고자료링크 :
웹진 담談 2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권문해
◆ 조선시대 뱃길 이용
조선은 사회가 점차 안정되면서 나루터가 서민의 중요한 교통시설로서 계속 확장 설치되었으며 점차 그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별감(別監)을 파견하여 진·도를 관리하였다. 도(渡)의 책임자는 한때 세도가의 자제들이 차지하고 권세를 부려 말썽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도의 책임자 별감인 도승(渡丞)에게는 위전(位田)을 지급하였으며 진·도의 운영을 위해 진척위전(津尺位田)이 지급되었다. 진·도의 사무는 도승을 보좌하는 진리(津吏)가 담당하였으며, 실제로 나룻배를 모든 사람을 진부(津夫) 또는 진척(津尺)이라 하여 천민의 대우를 받았다. 한강의 진·도제는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대동강, 임진강, 금강, 영산강, 낙동강 등 내륙의 큰 강에 설치되었으며, 해당지역 관청에서 이를 관리하였다. 그리고 강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면서 상인들의 교역도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져 조선 후기에는 장시의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조선시대에 공주 지역은 충청도 일대의 수위 도시로서 금강과 주변의 산지들이 방어 기지가 되는 군사적 요충지였고, 금강수운의 주요 하천 항구였다. 공주시의 주요 도시 기능 가운데, 교육과 교통 기능의 원형은 대체로 일제강점기에 부여된 것인데, 이는 조선시대의 도시 기능과도 관련되어 있다. 조선시대 수도 한양을 제외하고, 규모가 큰 도시들은 대부분이 지방 행정 중심지, 군사적 요충지, 내륙 수운의 하천 항구 등의 기능을 갖고 있었다. 조선시대 공주 지역은 감영 도시로서의 이점(利點) 이외에 금강 수계와 사통팔달의 도로망 덕택에 개항 이전부터 강경·논산·예산·둔포 등과 함께 독자적인 상품 유통권을 가진 상업 중심지로 정평이 나 있었다. 공주의 젖줄인 금강은 주변 연안의 농업 환경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인구 밀집 도시를 끼고 있었기 때문에 일찍부터 수운로(水運路)로서 주목을 받았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581년 5월 17일 맑음. 수찬(修撰) 홍태고[洪太古, 홍적(洪迪)]를 임천군(林川郡)으로 찾아 가려고 오시(午時, 11~13시)에 황백화[黃伯華, 황익광(黃益光)]와 작은 거룻배에 탔다. 백마강(白馬江)을 따라 내려가 정산(定山) 땅에 이르렀다. 부여 수령[扶餘倅]이 배로 나와 맞아주었다. 저녁때가 되어 같이 배를 타고 왕진(王津)에 이르렀다. 정산 수령[定山倅] 조덕수[曺德綏, 조윤희(曺胤禧)]가 또한 뒤따라 이르렀다. 밤이 되었는데도 배를 저어가 2경(二更, 21~23시)에 낙화암(落花岩) 아래에 정박하고, 현사(縣舍)에 들어가 숙박하였다. 배에서 황백화의 시에 차운하다[舟中次黃伯華韻] 강바람 맞으며 배를 타고 성두(城頭)를 지나는데 江風吹棹過城頭 새와 물고기는 시종 자유로이 노니네 到底禽魚自在游 천리 멀리 금강의 물결 바다로 향하는데 千里錦波通海口 석양에 긴 피리 불며 중류로 내려가네 夕陽長笛下中流 성두(城頭)는 금강(錦江) 하류의 지명이다. 우(又) 반 장대 쯤 남은 석양은 뱃머리에 걸려 있고 半竿斜照掛舡頭 바람 자고 물결 맑으니 헤엄치고 놀 만하네 風定波明可泳游 긴 피리소리 몇 가락 흥을 돋우니 長笛數聲催去興 오늘 밤은 그대로 백마강에 정박하리 今宵直泊白江流 우(又) 십년 떠돈 벼슬살이에 머리털이 다 희어졌으니 十年遊宦雪盈頭 속세 떠나 강호에서 살려는 뜻만 공연히 못 지켰네 空負滄江物外游 오늘 배 위에서 뛰어난 말씀 듣고 손뼉 치자니 今日舟中拚勝話 때 묻은 얼굴 맑은 강물에 비춰보기 부끄럽네 羞將塵面照淸流 이상 초간(草澗) 지음. 1581년 5월 18일 맑음. 정산 수령[定山倅]과 자온대(自溫臺)에서 거룻배를 타고 내려가 마암(馬岩)에 정박하였다. 오후에 임천군(林川郡)에 도착하였다. 그곳 수령 홍인범(洪仁範) 보(甫)와 종일 술을 마셨다. 밤이 되어 요산정(樂山亭)에 올라 홍태고[洪太古, 홍적(洪迪)]와 각각 취하도록 마셨다.
이미지
낙화암 가는 길
낙화암 시비
낙화암 안내석
낙화암 백화정
낙화암 백화정 안내판
낙화암 백화정
낙화암
낙화암
낙화암
낙화암
낙화암 안내판
낙화암
낙화암
낙화암
낙화암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관련 이야기 소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