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Home
>
테마스토리
>
학문과 과거
>
페이스북
스크랩
뱃머리에서 금강을 노래하다 (2) - 술과 낚시, 그리고 시간 여행
1581년 5월 18일, 임천군에 도착한 후 밤부터 술을 마신 권문해는 그 다음날인 1581년 5월 19일에도 홍인범, 홍적과 함께 대취하였다. 권문해는 홍적과 함께 고란사(高蘭寺)에 가기로 약속하였는데, 그가 중간에 취하여 길바닥에 드러눕는 바람에 홍적이 그를 부축하느라 애를 먹었다.
저녁에는 마암진(馬岩津)에 도착하였는데, 석성수령, 부여수령, 정산수령이 먼저 도착하여 그의 일행을 맞아주었다. 밤이 되었는데도 물결을 거슬러 올라가 자온대(自溫臺) 아래에 정박하다가 밤 아홉시가 훌쩍 넘어 고란사에 도착하여 하루를 묵었다.
배 여행 3일째인 5월 20일, 권문해는 아침부터 홍적과 술을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다가, 아침 식사 후에 조룡대(釣龍臺)에 올라 수령들과 또 술잔을 돌려가며 마셨다. 어부를 시켜 그물로 물고기를 잡게 하였는데, 은빛 비늘의 하얀 물고기가 모래톱에서 뛰어오르는 것 또한 하나의 기이한 볼거리였다.
정오 즈음에는 낙화암(落花岩) 아래로 자리를 옮겨 배를 묶어두고 이은암(吏隱岩)에 올랐는데, 건물만 덩그러니 있고, 주인은 없어 창문이 닫혀있었다. 위태로운 돌 비탈길이 강에 맞닿아있어, 두려운 마음에 길을 오르기가 어려웠다. 권문해는 함께 간 벗 홍적과 절구를 주고받았다.
이은암기(吏隱菴記)는 누가 지었던가
조각배 타고 새
사군(使君)
이 찾아오셨네
삼경(三更)에 하늘 개어 달빛이 떨어지니
백구(白鷗)와 더불어 대화를 나눌 만하네
깨끗한 암자 물가에 자리하였는데
그 이름은 옛날
사군(使君)
이 붙인 것이라네
사군은 어디로 가셨는가
물고기와 새 또한 말이 없네
옛 땅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곳에
시인이 작은 배를 타고 찾아왔네
강산은 온통 예나 지금이나 그대로인 듯하고
물고기와 새는 걱정을 모르네
오래된 낙화암의 꽃은 다 떨어지고
용은 사라졌는데 물은 그대로 흐르네
고란(高蘭)의 터는 여전히 남아
후인에게 부끄러웠던 역사를 말해주네
저녁에는 다시 자온대(自溫臺) 아래에 배를 정박시키고, 대 위로 올라갔다. 홍적은 술을 마시다가 너무 취하여 작은 배를 타고 임천으로 도망갔고, 권문해는 일행과 함께 부여에 들어가 하루를 묵었다.
여행의 마지막 날인 5월 21일에는 비가 내렸다. 아침상을 물린 후에 권문해는 소정방비(蘇定方碑)를 답사했다. 들판 가운데 석탑으로 만들어진 부도가 우뚝 서있었다. 하층 사방에 새겨진 비문은 세월이 오래되고 바람에 깎여 알아볼 수 없을 정도였다. 대략 소정방이 백제를 친 일에 대한 기록이었다. 오후에는 정산수령과 말을 달려 이인역(利仁驛)에 도착했는데, 판관이 나와 일행을 맞이하였다. 이곳에서 또 술자리를 하고는 공주에는 저녁 때 도착하였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초간일기(草澗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권문해(權文海)
주제 : 풍류, 여행, 뱃놀이
시기 : 1581-05-19 ~ 1581-05-21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충청남도 부여군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권문해, 홍인범, 홍적, 석성수령, 부여수령, 정산수령, 판관
참고자료링크 :
웹진 담談 2호
웹진 담談 2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권문해
◆ 부여의 경승지
경승지(景勝地)란 경치가 빼어난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다. 옛 백제의 수도이기도 하였던 부여에는 많은 경승지가 존재한다. 부여에는 아름다운 8가지 경치를 의미하는 부여팔경(夫餘八景)이 있는데, 백제탑의 저녁노을, 수북정에서 바라보는 봄날 백마강가 아지랑이, 고란사의 은은한 풍경소리, 노을 진 부소산에 간간이 내리는 부슬비, 낙화암에서 애달프게 우는 소쩍새, 백마강에 고요히 잠긴 달빛, 구룡 평야에 내려앉은 기러기 떼, 규암나루에 들어오는 돛단배 등이 이에 속한다. 부여의 경승지 중 가장 아름다운 장소로 꼽히는 것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구교리 일대의 부여구두래일원(夫餘一一圓)이다. 부여구두래일원은 사적 및 명승 제6호이며, 지정면적 2980만 175㎡이다. 부여구두래일원 내에는 부소산(扶蘇山)에 접한 백마강 강역과 조룡대(釣龍臺)·부산성(浮山城)·나성(羅城)·대재각(大哉閣)·수북정(水北亭)·자온대(自溫臺)·왕흥사지(王興寺址) 등이 포함된다. 구두래는 부소산 서쪽 백마강나루터를 가리켜 부르는 지명이다. 백마강은 『삼국사기』에 사비하(泗沘河) 또는 백강(白江)이라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에는 사자하(泗泚河)로 기록되어 있는데, 오늘의 금강이 부여읍을 우회해 흐르는 부분에 대한 이름이다. 사자(泗泚)는 사비(泗沘)의 오기로 보고 있다. 구두래일원은 백제 고도 부여의 가장 아름다운 경승지이다. 백제 때는 제왕들이 뱃놀이를 하고 잔치를 벌여 춤추고 노래하던 유연(遊宴)의 장소이기도 하였다. 소정방이 용을 낚았다는 조룡대, 신선이 노닌다는 부산(浮山), 왕이 부처를 망배하던 자온대 등의 유적이 백마강과 부소산의 기암절벽과 어우러져 백제 고도의 역사적 명승을 이루고 있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581년 5월 19일 맑음. 그곳[林川郡]의 수령 및 태고[太古, 홍적(洪迪)]와 대취하도록 마셨다. 태고(太古)와 같이 고란사(高蘭寺)에 가기로 약속하였는데, 내가 중도에서 취하여 길바닥에 눕는 바람에 태고(太古)가 부축하느라 애를 먹었다. 저녁에 마암진(馬岩津)에 도착하였다. 석성 수령[石城倅] 이중성(李仲成), 부여 수령[扶餘倅] 최수원(崔粹源), 정산 수령[定山倅] 조덕수[曺德綏, 조윤희(曺胤禧)]가 먼저 도착하여 맞아주었다. 밤이 되었는데도 물결을 거슬러 올라가 자온대(自溫臺) 아래에 정박하였다. 이경(二更) 초에 고란사에 도착하여 묵었다. 1581년 5월 20일 맑음. 아침에 태고[太古, 홍적(洪迪)]와 술을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식후에 조룡대(釣龍臺)에 올랐다. 부여(扶餘)․이산(尼山)․정산(定山)의 수령들과 둘러앉아 어지럽게 술잔을 돌려가며 마셨다. 어부를 시켜 그물로 고기를 잡게 하였는데, 모랫바닥으로 꺼낸 은빛비늘 하얀 물고기[銀鱗玉尺]가 사자(沙觜, 물 가운데로 돌출된 모래톱)에서 뛰어오르는 것 또한 하나의 기이한 볼거리였다. 오시(午時)에 낙화암(落花岩) 아래로 옮겨 정박하였다. 태고와 걸어서 이은암(吏隱岩)에 올랐는데, 전 태수(前太守) 홍가신(洪可臣)의 자호(自號)이다. 정자만 있고 중은 없는데, 창문만 부질없이 닫혀 있다. 위태로운 돌 비탈길은 강에 닿아 있어, 두려운 마음이 들어 억지로 오르기가 어렵다. 태고가 먼저 절구 한 수를 지었다. 이은암기(吏隱菴記)는 누가 지었던가 吏隱菴誰記 조각배 타고 새 사군(使君)이 찾아오셨네 扁舟更使君 삼경(三更)에 하늘 개어 달빛이 떨어지니 三更晴月落 백구(白鷗)와 더불어 대화를 나눌 만하네 可與白鷗言 홍태고의 이은암시에 차운하여[次太古吏隱岩韻] 깨끗한 암자 물가에 자리하였는데 淨舍臨無地 그 이름은 옛날 사군(使君)이 붙인 것이라네 名編舊使君 사군은 어디로 가셨는가 使君何處去 물고기와 새 또한 말이 없네 魚鳥亦無言 초간(草澗) ‘백마강정선’시에 차운하여 홍태고에게 드림[次白馬江亭舡韻 贈洪太古] 옛 땅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곳에 故園千年地 시인이 작은 배를 타고 찾아왔네 騷仙一小舟 강산은 온통 예나 지금이나 그대로인 듯하고 江山渾似昨 물고기와 새는 걱정을 모르네 魚鳥不知愁 오래된 낙화암의 꽃은 다 떨어지고 岩老花皆落 용은 사라졌는데 물은 그대로 흐르네 龍亡水自流 고란(高蘭)의 터는 여전히 남아 高蘭基尙在 후인에게 부끄러웠던 역사를 말해주네 留作後人羞 강 위에 고란사가 있는데, 백제왕이 옛날에 놀던 곳이다. 초간(草澗) 저녁에 자온대(自溫臺) 아래에 정박하고, 같이 대 위로 올랐다. 태고는 술을 마시고 몹시[深] 취하여 작은 배를 타고 임천(林川)으로 도망갔다. 제군(諸君)들과 부여(扶餘)에 들어가 숙박하였다. 1581년 5월 21일 아침에 비가 내렸다. 식후에 소정방비(蘇定方碑)를 가서 보았다. 비석은 들판 가운데 있는데, 석탑으로 된 부도이다. 하층의 사방에 비문을 새겨 두었으나 세월이 오래되고 바람에 깎이어 글자를 알아볼 수 없었다. 대략적으로 소정방이 백제를 친 일을 기록하였다. 오후에 정산 수령[定山倅]과 말을 달려 이인역(利仁驛)에 도착하였는데, 반자(半刺)가 나와서 맞이하였다. 우백(郵伯) 김거경[金居敬, 김흠(金欽)]과 한참 동안 술을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저녁 때 공주(公州)에 도착하였다. 이날부터 유생(儒生)들이 도회(都會)를 위하여 거접(居接)을 시작하였다.
이미지
고기잡이, 《단원 풍속도...
낙화암 가는 길
낙화암 시비
낙화암 안내석
낙화암 백화정
낙화암 백화정 안내판
낙화암 백화정
낙화암
낙화암
낙화암
낙화암
낙화암 안내판
낙화암
낙화암
낙화암
낙화암
고란사 가는 길
고란사 전경
고란사 안내판
고란사
고란사
고란사 진공묘유 현판
고란사 회고루 현판
고란사
고란사 극락보전 현판
고란사 현판
고란사
고란사 영종각
고란사 영종각
고란사 삼성각
고란사 고란약수 안내판
고란사 고란정 내부
고란사 공포
고란사 전경
조룡대 안내판
조룡대
조룡대
조룡대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사냥과 낚시를 즐기는 사행길
1645-03-18
2
사교와 풍류의 장, 정자 - 낚시와 술, 문학이 어우러지다
1603-07-02
경상북도 안동시
3
낚시하며 놀고 먹으며 어울리다
1625-04-02
경상북도 예천군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