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경제
> 고달픈 세금과 부역
페이스북
스크랩
밭을 샀을 뿐인데… 군역 면제금을 대신 내라니! - 세금을 내지 않고 도망간 밭주인
1616년 8월 6일, 손흥문과 권중평이 김택룡의 집을 찾아왔다. 와서 말하길 반유실이 도망가서 그의 군역 면제금[
번가(番價)
]을 반유실의 밭을 경작하는 사람들에게 무명을 나누어 부과해 거두기로 정했다고 했다. 손흥문은 자신이 고소를 했기 때문에 내일까지 변론서를 올려야만[
정변(呈辨)
]한다고 했다. 택룡도 그들과 함께 변론서를 올려야겠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택룡도 얼마 전 반유실에게 밭을 샀기 때문이었다.
다음 날 아침 손흥문과 권전룡 두 사람이 또 찾아왔다. 택룡은 일단 관(官)에서 정해준 무명 2필을 납부해 반유실의 번가를 맞추어 주기로 했다. 그러나 택룡은 의문이 들었다. 반유실은 이미 나이가 들어 군역에서 면제된 자[
노제(老除)
]였기 때문이다. 이리저리 사정을 들어보니, 무슨 이유에서였는지는 몰라도
청송부(靑松府)
- 당시
이영도(李詠道)
가 府使로 재직 중이었다 - 에 거주하는 윤학년이란 사람 대신 군역에 징발되어 현역복무를 대신하는 베[
군포(軍布)
]를 여러 번 납부하고 있었다 한다. 그런데 이 반유실이 도망을 간 것이다. 그래서 관(官)에서는 반유실에게 추징할 군역 면제금[번가(番價)]을 다시 독촉하기 위해 단자(單子)를 써서 반유실이 소유했던 밭 앞으로 보낸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에 택룡은 묘하게 끼여 있었다. 얼마 전 택룡이 반유실에게 밭을 살 때, 반유실은 밭을 파는 사정에 대해 ‘내 일족 반숙의 군역 면제금을 대신 납부해 줘야 된다’고 했었다. 결국 택룡은 반유실에게 속아서 밭을 샀던 것이며, 이제 반유실이 도망가 내지 않은 군역 면제금을 뒤집어쓰게 되었다. 권전룡과 손흥문도 이렇게 반유실에게 밭을 사서 그의 군역 면제금을 뒤집어 쓴 것이었고, 이것이 억울해서 소장을 올리고 변론서를 써서 관청의 판결을 바꾸려 한 것이었다. 이 날 두 사람은 단자(單子)를 써서 반유실이 내지 않은 군역 면제금은 윤학년이 책임져야 한다고 그 이유를 진술해서 가지고 갔지만, 별 이득 없이 돌아왔다.
엿새 뒤 13일에 택룡의 마을 책임 관리[
이정(里正)
]가 택룡의 집에 와서 반유실의 군역 면제금[
가포(價布)
]과 송이버섯을 독촉하였다. 택룡은 납부를 약속하는 답장을 관에다 보냈다. 결국 18일이 되어서 택룡은 가포(價布) 1필을 관에 바치도록 하인들에게 명령하였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조성당일기(操省堂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김택룡(金澤龍)
주제 : 경제와 재테크, 세금 부과
시기 : 1616-08-06 ~ 1616-08-13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손흥문, 권중평, 김택룡, 반유실, 이영도, 윤학년
참고자료링크 :
웹진 담談 15호
조선왕조실록
◆ 조선시대 군역
이 장면은 반유실이란 자가 자신이 납부하던 군역 면제금을 체납하고 도망갔는데, 그 체납금을 관청에서 그가 소유했던 땅에 부과하여 징수하려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여기 등장하는 김택룡이나 손흥문, 권중평 등은 반유실에게 밭을 샀다가 애꿎게 반유실의 체납금을 덮어써서 억울해하고 있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군역의무 대상자에게 현역복무 대신 세금[베나 쌀]을 거두는 방식의 제도가 확산되었고, 국가는 이를 통해 재정을 확보하려하였다. 이 장면은 당시 관청이 군역세금의 체납금을 징수하기 위해 납부자의 땅에 체납 세금을 물린 것이며, 소유주가 바뀐 상황에서는 그 바뀐 소유주에게 체납세금 납부 의무를 부과하여 독촉한 것이다.
※ 조선시대 군역제도 : 조선시대에는 직접 군사 활동을 수행하는 정군(正軍)이 군복무를 하면, 봉족[奉足: 정군을 재정적으로 도와주는 사람으로 보인(保人)이라고도 불렀음]이 정군(正軍)의 집에 경제적 지원을 하는 체재였다. 양인개병제(良人皆兵制) 원칙 아래 16~60세까지의 양인(良人) 남자면 군역의 의무를 반드시 이행해야 했으며, 국가는 정군(正軍)과 봉족(奉足)으로 나뉘어진 군호[軍戶: 한 명의 군인을 내보내도록 책임지던 가장 작은 단위]를 기초단위로 군인명부[군적(軍籍)] 작성해서 운영하였다. 정군은 군역 이행의 차례에 따라 일정기간 서울에 올라가 군복무를 하거나 또는 지방 주요 군사기지에 배치되어 군복무[유방(留防)]를 하였다. 이 때 봉족은 정군의 집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의무를 졌다. 군복무 기간은 16세부터 만 60세까지 1년에 2개월 또는 6개월 정도였으며 군대 복무를 하지 않을 때에는 농업에 종사하였다. 만 60세 이상이 되면 공식적으로 군역이 면제되었다.
※ 군적수포(軍籍收布) : 조선 중기 이후에 실시된 군역수취(軍役收取) 방식의 하나로서 국가가 군인장부[군적(軍籍)]에 파악된 군역의무 대상자에게 현역 복무 대신 포(布)를 납부하게 한 제도이다.
※ 방군수포(放軍收布) : 조선 전기 이래 복무해야 할 지방의 군병들을 돌려보내고 대신 베[포(布)]나 쌀[미(米)]을 받던 일을 말한다. 특히 16세기 이후에는 군역의 담당자에게 세금을 거두어서 국가재정을 확보하려하였으므로, 이 시기 군역제는 실제로 복무하는 것보다 베를 납부하는[포납(布納)] 방향으로 변동되어 방군수포 현상이 점차 늘어갔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616년 8월 6일 맑음
손흥문과 권중평이 왔다. 반유실이 도망가서 노제번가老除番價를 반유실의 전지田地를 경작하는 사람들에게 목화[木綜]로 나누어 정했다고 한다. 손흥문이 고소했기 때문이다. 내일 정변呈辨해야겠다. 나도 반유실의 밭을 샀기 때문이다.
1616년 8월 7일 비
권전룡과 손흥문 두 사람이 또 왔다. 우리 집에서도 정해진 무명 2필을 내어 반유실의 번가를 맞추기로 했다. 이 반유실은 이미 노제老除되었는데, 청송 이영도의 호戶의 윤학년尹鶴年이란 사람 대신 군역에 충정되어 여러 번 납부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반유실에게 추징할 번가를 다시 독촉해서 단자單子를 반유실 소유의 밭 앞으로 보낸 것이다. 반유실이란 놈은 일족인 반숙潘叔의 번가를 대신 납부하기 위해서라고 하여 밭을 나에게 팔아버린 것이다. 권전룡과 손흥문 두 사람이 단자를 써서 윤학년에게 추송推送해야 한다고 정변呈卞을 써서 갔는데, 모두 지고 돌아왔다고 한다.
1616년 8월 13일 맑고 흐림
아들 김숙이 요산으로 갔다. 중소도 갔다. 중소의 아버지와 유천柳川의 딸에게 편지를 썼다. 세복世福도 이날 나갔다. 내성奈城에서 아버지 제사를 지낸 후 산장으로 간다고 한다. 심신·심지 두 아재와 손흥선이 만나러 와서 백료주 몇 잔을 대접했다. 아침에 정리의 집에서 보낸 술이다. 이정里正이 와서 반유실의 가포價布와 송이버섯을 독촉했다. 주어서 보냈다.
이미지
『광여도』 청송부
애니메이션
조선시대 세금의 부과대상...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값을 무명 20필로 깎아주시오! - 지팡이 짚고 오가며 밭...
1612-01-17
경상북도 안동시
2
토지세 과다부과사건의 전말 - 담당 아전의 농간으로 드러나...
1617-03-13
경상북도 안동시
3
납세 정지 상소를 올리다 거절당하다
1720-11-04
서울특별시
4
나라에 양전이 실시된다고 한다
1625-11-05
경상북도 안동시
5
대동면포의 미납자를 찾아낸다 하여 고을이 어수선하다
1628-09-24
경상북도 안동시
6
예안현감의 형편없는 세금운영을 전해듣다
1629-04-02
경상북도 안동시
7
세금 때문에 감사가 예안 현감을 잡아가두다
1631-05-03
경상북도 안동시
8
동약소 사람 중에 작부를 선발하다
1758-11-10
대구광역시
9
신임 성주가 가좌책을 만들려하다
1761-06-26
대구광역시
10
마을에 공전비를 세우다
1765-06-29
대구광역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