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사람들과의 교유와 어울림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지방관, 관청과의 공조와 대립
지역 사업의 추진과 운영
지역사회내의 정치와 갈등
지역사회의 사건과 재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질병과 의료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사람들과의 교유와 어울림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지방관, 관청과의 공조와 대립
지역 사업의 추진과 운영
지역사회내의 정치와 갈등
지역사회의 사건과 재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공동체
> 지역사회의 사건과 재해
페이스북
스크랩
말도둑을 뒤쫓다 쏜 화살 - 도둑은 사자(死者)가 되고, 도둑 쫓던 자는 살인자가 되다
1616년 7월 7일, 이 날 김택룡은 입석천(立石川) 가에서 열린 칠석 모임에 참석했다가 저녁 무렵에야 집에 돌아왔다. 피로에 지친 탓이었을까? 깊은 잠에 빠졌다가 새벽녘에 언뜻 깨었는데, 밖이 소란스럽다. 하인이 달려와 간밤에 도둑이 들어 택룡이 타던 말을 훔쳐 갔다고 고한다. 마구간의 문짝을 통째로 떼어내고 훔쳐 갔단다. 택룡은 속이 상해 더 이상 잠을 이루지 못하고 뒤척거렸다. 날이 밝자마자 두 아들과 조카 그리고 마을 사람들을 불러 모아 땅에 남은 말발자국을 추적했다. 얼마쯤 뒤따라가니 말발자국이 고운암(孤雲巖)을 지나 안동 가는 길로 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택룡의 큰 아들 숙이가 급한 마음에 정정(鼎井)의 자기 집으로 달려가 막복이 · 일년이 · 개석이 등 자기 집 노비 세 명을 데리고 말도둑 뒤를 부랴부랴 쫓아갔다. 그리고 택룡의 아우와 조카, 또 그의 노비 두어 명이 양식을 메고 큰 아들 일행을 뒤쫓아 안동 방향으로 갔다. 동네 사람들이 모두 모여와서 상심한 택룡을 위로했다. 택룡은 소경 점쟁이를 불러 말을 찾을 수 있을지 점을 쳤다. 소경 점쟁이가 점괘가 길하므로 아마도 찾을 수 있을 거라고 말해줬다. 이틀 뒤 아침, 말도둑을 쫓아갔던 택룡의 조카가 택룡에게 와서 도둑을 잡았다고 말했다.
“아재, 말도둑놈은 우리 집 춘금이 놈이더구만요. 의성과 안동 경계쯤에서 춘금이와 도둑맞은 말을 결국 잡았습니다. 큰 형님 일행이 먼저 잡아놓고 기다리고 있기에 우리가 합류해서 끌고 왔죠. 근데 오는 길에 하필 날이 저물어 인근에 묵었다가 춘금이를 놓칠 뻔했어요. 아 이 놈이 묶어놓았는데도 간밤에 용케 도망을 쳤지 뭡니까. 새벽에 알아채고 그 놈 발자국을 또 쫓아갔는데, 멀리 보여서 막복이가 활을 쏘아 맞혔어요. 활에 맞아 넘어진 놈을 결박해서 겨우 붙잡아왔습니다.”
택룡은 춘금이를 보자마자 호통치며 물었다.
“네 혼자 훔쳐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분명히 내부 공모자가 있었을 터, 그게 누구냐?”
춘금이가 우물쭈물 운학이와 축생이 두 놈 이름을 대었다. 베 두 필씩으로 꼬드겼더니 두 놈이 얼싸구나하고 말을 나루터까지 끌어내주었다는 것이다. 택룡은 괘씸해서 씩씩대며, 사람을 시켜 밭 갈러 가있던 두 종놈을 끌고 오게 했다. 춘금이와 운학이 축생이를 한 자리에 모아놓고 대질을 시작하니, 동네 사람들이 꾸역꾸역 모여들어 담처럼 둘러싸고 구경하였다. 한참을 대질한 후에 택룡의 큰 아들 숙이가 세 놈을 관아에 넘기기 위해 직접 데리고 갔다. 그런데 마침
국기일(國忌日)
이라 범인진술[
공초(供招)
]과 심문[
장문(杖問)
]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칼을 씌어 단단히 가두는 것만 보고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다음 날 택룡의 큰 아들이 관아로 가서 현감을 만났더니, 밤사이에 춘금이 죽었다고 하였다. 막복이 쏜 화살 때문이었다. 현감은 춘금의 죽음을 살인 사건으로 몰아갔다. 그리고는 춘금의 어머니와 가족들을 불러 사건을 설명하고 관찰사에게 보고하려 하였다. 순식간에 말도둑 사건이 살인 사건으로 비화되었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조성당일기(操省堂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김택룡(金澤龍)
주제 : 분쟁과 조정, 사건 처리
시기 : 1612-07-07 ~ 1612-07-10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김택룡, 김숙, 막복이, 일년이, 개석이, 춘금이, 소경 점쟁이
참고자료링크 :
조선왕조실록
◆ 조선시대 수령의 권한
조선시대 정부는 지방 수령의 사법권 행사를 법적으로 일정하게 규제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실제 업무에 있어서 수령은 군현에서 매일 매일 올라오는 백성들의 소장(訴狀)을 처리해야 했으며, 담당 고을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의 검시 뿐 아니라 이웃 고을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의 검시관으로 파견되기도 하는 등 결과적으로는 고을 내에서 발생한 소송과 각종 형사사건에 대한 1차적인 모든 처리를 담당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수령의 재판권과 형벌권은 지방 향촌에 미칠 수 있는 국가 공권력의 거의 전부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령의 재판권 및 형벌권과 동시에 고려해야 할 것은 재지사족들의 자치권이다. 향촌사회 유력 가문의 양반들은 향약을 통하여 일반 백성에 대한 재판권과 형벌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향약(鄕約)의 ‘과실상규(過失相規)’조에 실린 처벌 조항에 이 시기 재지사족의 자체 처결권과 재판권이 잘 드러난다. 당시 재지사족들의 형벌권은 단순히 명분적 질서유지 차원에 제한되지 않고 수령의 묵인 아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가벼운 범죄까지도 자체 처벌할 수 있는 권한이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서 김택룡은 절도 사건이 발생하자 우선 개인적으로 체포조를 조직하여 도둑을 추격하여 잡고 있다. 도둑을 잡고 말을 되찾아 사건을 해결하고 나서야 관아에 범인들을 넘겼다. 재판 및 형벌의 법적 처리는 관아에서 이루어졌지만, 범인 검거는 김택룡 단독으로 시행했던 것이다. 그러나 범인 검거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이 때문에 범인이 도중에 사망하자, 사건 담당자 현감은 자신의 책임이 무거워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결국 절도사건을 살인사건으로 확대하여 모든 것을 공식적으로 처리하려 마음먹는다. 이때부터 현감과 김택룡의 관계가 삐걱거리며 갈등이 시작되었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616년 7월 7일 맑음
입석천立石川 가에서 열린 모임에 갔다. 심인·심지 두 아재·심운해·심학해·황유문·아들 김숙·이춘발·박선윤·심풍수 등이다. 정득이 벌을 행하고 들어왔다. 심몽현沈夢賢·김익청·변전도 여기 와 있어 초청했으나 오지 않았다. 저녁이 되어 집으로 돌아왔다. 이날 밤 타던 말을 도둑맞아 잃어버렸다. 마구간의 문짝을 떼어내고 훔쳐갔는데, 새벽이 되어서야 알아차렸다.
1616년 7월 8일 맑음
아들 김숙·조카 김형·아들 김각과 마을 사람들이 모두 모여 말발자국을 뒤따라갔다. 발자국은 고운암孤雲巖을 거쳐 안동으로 가는 길로 향하고 있었다. 숙이 정정[鼎井]으로 가서 막복莫福·일년·개석을 불러 모아 뒤를 쫒아 먼저 갔다. 여기서는 아우 덕룡·조카 김형·세복世福·개석과 덕현德峴 사람이 양식을 메고 앞서 간 사람들을 뒤쫓아 갔다. 안동 방향으로 갔다. 동네 사람들이 모두 모여 와서 위로했다. 송필宋必(자는 단석) 송필(宋必) : 이후의 기록에는 모두 송필(宋必)로 나오는데, 1612년 2월 25일자에는 송필(宋弼)로 되어 있다. 자가 단석(丹碩)으로 같기 때문에 동일인으로 보이지만, 어느 것이 맞는지는 알 수 없다.
도 와서 위로했다. 고사瞽師 연수連守가 와서 말의 득실에 대해 점을 쳤더니, 길하며 흉조는 없다고 한다.
1616년 7월 9일 맑음
이향손李香孫(자는 팽년彭年)이 와서 위로했다. 이날은 천렵하기로 약속한 날이다. 잡은 물고기는 여러 사람들에게 나누어 보냈다. 저녁에 입석천 가에서 모였다. 심신·심지 두 아재와 나·심운해·생질 정득·아들 김숙·황유문·심부해·심룡해 및 젊은이 5, 6 명이다. 윤동로尹東老와 윤동창도 서면西面에서 영양으로 들어가다가 들러서 함께 먹었다. 날이 저물어 심 봉사의 집에 들어가 숙박했다.
1616년 7월 10일 흐리고 때때로 가랑비
아침에 조카 김형이 와서 말하기를, “잃어버린 말은 의성과 안동 경계에서 잡았습니다. 막복·일년·개석·수守 등이 먼저 가서 잡았는데, 뒤에 도달한 사람들도 함께 모여서 끌고 왔습니다. 날이 저물어 지곡紙谷의 김윤룡金允龍의 집에서 묵었습니다. 도둑놈을 묶고 보니 춘금이었습니다. -이 놈은 아우 덕룡의 노이다.- 그런데 밤사이에 도망쳐 새벽이 되어서야 알아채고 발자국을 따라 뒤쫓았습니다. 막복이 활을 쏘아 넘어뜨려 붙잡아 결박하여 돌아왔습니다.”라고 하였다. 훔쳐 낼 수 있었던 내부 공모자를 물으니, 운학雲鶴과 축생丑生 두 놈이었다. 이들이 말을 천변의 나루터로 끌어내어 춘금에게 넘겼다. 이 두 사람 앞으로 준 것은 훔친 베 두 필 씩이었다고 한다. 이 때 두 놈은 밭가는 일로 가동可洞에 올라가 있었는데, 생질 정득과 숙아를 시켜 먼저 가서 끌고 오게 하였다. 잠시 후 여러 사람이 춘금을 끌고 왔다. 동네 사람들이 모여 구경하며 담처럼 빙 둘러싸고 두 놈과 함께 대질을 하였다. 이윽고 현으로 들어가 현감에게 넘겼다. 숙이 직접 데리고 갔는데, 국기國忌가 있어 공초나 장문杖問은 하지 않고 칼을 씌워 단단히 가두고 돌아왔다. 이날 동네의 대소 제원諸員을 임명했다. 권대중權大中·권시중·손흥문도 왔다.
1616년 7월 11일 맑음. 잠깐 비.
숙이 현으로 들어가 현감을 만났다. 춘금이 밤사이 죽었다고 한다. 그 어머니와 친족들이 모두 들어가 현감의 판결을 들었는데, 현감은 관찰사에게 보고하려 한다고 한다. 숙이 밤에 돌아왔다.
이미지
곤장(棍杖)
신장(訊杖)
신장(訊杖)
곤장(棍杖)
칼(枷)
양마도
어자조마
파안흥취
깍지와촉도리
화살과통
활
3D
조선시대 무기류
나루터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말도둑과 도둑을 죽인 자, 누구의 잘못이 더 큰가? - 현...
1616-07-11
경상북도 안동시
2
예안현감이 소도둑을 풀어주다
1630-04-14
경상북도 안동시
3
소를 가둔 죄로 파직당한 나무송(羅茂松)의 이야기
1631-08-30
경상북도 안동시
4
장물인 말을 사들이다
1597-02-18
강원도 평강군
5
한복이란 자가 말을 훔쳐 도망하다
1597-06-26
강원도 평강군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