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말도둑과 도둑을 죽인 자, 누구의 잘못이 더 큰가? - 현감과 대치한 채 분주하게 소송을 준비하다
1616년 7월 11일, 택룡의 큰 아들 김숙이 ‘말도둑 사건’ 처리 문제로 다시 관아에 들어가 현감을 만났다. 그리고 잡히는 과정에서 막복이 쏜 화살에 상처를 입었던 춘금이가 밤사이 숨을 거두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미 현감은 춘금의 어미와 친족들을 모두 불러 이 사실을 전달하였으며, 관찰사에게 보고할 준비를 갖추고 있었다.
김숙은 일이 간단치 않음을 직감하고 현감을 설득하려 하였으나 그는 고집을 꺾지 않았다. 달리 방도가 없어 이 날은 그냥 돌아와 아버지인 택룡에게 걱정만 늘어놓았다.

다음 날 택룡의 큰 아들은 수심에 찬 채로 다시 현감을 만나러 갔다. 현감은 더 강경하게 나왔다. 활을 쏜 막복을 살인자라고 감옥에 가두고, 이웃의 영천 군수에게 춘금의 검시까지 요청하였으며, 관찰사에게 보고해서 처리하겠다고 하였다.
말도둑 사건은 관심이 없고, 춘금의 죽음을 살인 사건으로 몰아 법적 절차대로 해결하려 했다. 택룡의 큰 아들이 수차례 설득하고 상황을 설명했지만, 현감은 듣지 않았다. 결국 이 날도 합의를 보지 못했다. 택룡과 그의 큰 아들은 다른 대책을 세워야만 했다.

다음 날 아침 일찍 택룡은 말도둑 사건의 경위를 낱낱이 쓴 공초[供草, 죄인 신문 내용을 기록한 문서]와 관찰사에게 쓴 편지를 세복이에게 주어 현감에게로 보냈다. 잠시 뒤 택룡은 관아의 향리가 보낸 편지를 받았는데, 거기에는 관찰사에게 보고하는 일은 현감이 택룡의 큰 아들과 직접 만나 상의한 후에 결정할 것이라고 쓰여 있었다.
택룡은 일단 급한 불은 껐다 싶어 한숨을 놓았다. 그는 큰 아들과 아우가 돌아오면 향후 일을 다시 논의할 참이었다. 그런데 내부공모자였던 운학과 축생의 상전이 두 놈을 풀어주기를 간청했다는 소식을 접하고는, 택룡은 또 마음이 급해 우선 말도둑 범죄 추궁이라도 문의하려고 고소장[所志(소지)]를 급하게 작성해서 보냈다. 택룡이 착잡한 마음으로 기다리는데, 저물 무렵 그의 아우가 와서 현감이 화해할 뜻이 있는 것 같다고 말해주었다. 택룡은 다소 안심하긴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이었다. 택룡의 큰 아들은 만약을 대비해 관찰사에게 올릴 의송[議送, 백성이 고을 수령에게 패소하고 다시 관찰사에게 올리는 항소]을 작성하려고 향교로 갔다.
준비를 단단히 하기 위해서였다. 택룡은 마음이 복잡하였다. 말도둑질을 한 춘금이 놈 잘못이 더 큰데 자신의 노비인 막복이 놈이 살인죄를 덮어썼으니 억울했다. 잠자리에 누웠지만 쉽게 잠이 올 리 만무했다.

다음 날 택룡은 눈을 뜨자마자 영천에 사는 박진사에게 편지를 써서 이손(李孫)이 편에 보냈다. 박진사에게 영천군수를 만나 검시 진행을 재촉해달라고 부탁하기 위해서였다. 시간이 조금 지났을까 택룡의 큰 아들이 향교에서 택룡에게 전갈을 보내왔는데, 관찰사가 그대로 유임[잉임(仍任)]될 것이라는 소식이었다.
택룡은 관찰사에게 보낼 서장(書狀)을 고쳐 써야 하나 싶어 기다리고 있었는데, 관찰사 유임 소식을 전해 듣고는 막복이의 구제를 위해 썼던 편지를 바로 아들에게로 보내주었다. 또 잠시 뒤에는 운학과 축생이 겨우 곤장 30대만 맞고 풀려났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택룡은 괘씸하고 분했지만 별 수 없는 일이었다. 택룡은 저녁이 되길 기다렸다가 자기 집으로 돌아간 큰 아들에게 기별해서 관찰사에게 보낼 의송(議送)과 편지를 어떻게 했는지 확인하였다. 택룡의 아들은 아직 준비가 덜 되어 모두 보내지 않았다고 전해왔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