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말과 붓, 종이를 분주히 준비하다 - 아들의 과거 시험을 위해 애쓰다
1617년 6월 21일, 김택룡은 하인 어질동과 조복중(曺福中)의 아들을 불러 과거시험 장소[시소(試所)]인 의흥(義興)으로 보냈다. 아들 김각이 시험을 보러 가기 때문에 미리 살펴두기 위해서였다. 다음 날 택룡은 신안현감(新安縣監) 김중청(金中淸)에게 편지를 썼다. 황유문이 향시(鄕試)를 보기 위해 경상우도의 시험장소로 결정된 신안(新安, 현재의 星州)으로 가기 때문에 그를 부탁하기 위해서였다. 황유문은 이 날 택룡에게 들러 인사하고 신안으로 떠났다. 또 같은 날, 고모(皐母)가 대평이 기르던 말을 몰고 택룡의 영천 산장으로 왔다. 김각이 향시를 보러 갈 때 타고 가기 위해서였다.
사흘 뒤, 6월 25일 택룡은 아들에게 줄 시험에 쓸 붓[시필(試筆)]을 빌리기 위해 이영도(李詠道)에게 편지를 썼다. 그리고 역동서원에 가는 길에, 그 곳 사람에게 부탁하여 이영도에게 전하도록 하고 또 답장을 받아달라고 했다. 그리고 택룡은 다음 날 제사를 위해 재계하고 제물(祭物)을 점검하고 준비하였다. 제사 준비를 마친 후, 택룡은 사랑채에 들어가 명지[名紙, 과거답안을 쓰기 위해 준비하는 종이]를 잘라서 아들 김각의 녹명단자(錄名單子)를 쓰고 피봉을 만들었다. 그리고는 이어서 심학해 · 심용해 · 심이달의 명지(名紙)도 모두 각의 것과 같이 마름질하였다. 이들은 모두 다음 날 출발할 계획이었다. 저녁에 택룡은 이영도의 답장을 받았는데, 사정이 있어서인지 붓을 보내주지 않았다.
6월 26일, 먼동이 틀 무렵 택룡은 어머니 신주를 사묘(祠廟)에서 모셔 내어 제사를 지냈다. 택룡의 아들 김숙 · 김각 · 생질 정득 그리고 여러 손자들이 제사에 참례하였다. 해거름 무렵에 김각 · 심학해 · 심용해 · 심이달 · 손흥선 등이 향시(鄕試)를 보기 위해 의흥(義興)으로 떠났다. 택룡은 의흥현감 이유청(李幼淸)에게 편지를 써서 이들에게 객지의 불편함을 면하게 해 주면 좋겠다고 부탁했다. 그러나 택룡은 그가 그렇게 해 줄지 확신은 할 수 없었다.
7월 2일 의흥 과거 시험날이 지나갔다. 그리고 4일 뒤 7월 6일이 되자 의흥에 과거 보러 갔던 사람들이 돌아오고, 택룡의 아들 김각도 돌아왔다. 7월 9일 택룡은 과거 합격자 소식을 들었다. 예안에서 합격한 사람은 13명이라고 하는데, 아쉽게도 아들 김각은 실패했다. 이유도가 생원시에 장원을 했다고 하였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