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사람들과의 교유와 어울림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지방관, 관청과의 공조와 대립
지역 사업의 추진과 운영
지역사회내의 정치와 갈등
지역사회의 사건과 재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질병과 의료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Home
>
테마스토리
>
학문과 과거
>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페이스북
스크랩
말과 붓, 종이를 분주히 준비하다 - 아들의 과거 시험을 위해 애쓰다
1617년 6월 21일, 김택룡은 하인 어질동과 조복중(曺福中)의 아들을 불러 과거시험 장소[시소(試所)]인 의흥(義興)으로 보냈다. 아들 김각이 시험을 보러 가기 때문에 미리 살펴두기 위해서였다. 다음 날 택룡은
신안현감(新安縣監)
김중청(金中淸)
에게 편지를 썼다. 황유문이 향시(鄕試)를 보기 위해 경상우도의 시험장소로 결정된 신안(新安, 현재의 星州)으로 가기 때문에 그를 부탁하기 위해서였다. 황유문은 이 날 택룡에게 들러 인사하고 신안으로 떠났다. 또 같은 날, 고모(皐母)가 대평이 기르던 말을 몰고 택룡의 영천 산장으로 왔다. 김각이 향시를 보러 갈 때 타고 가기 위해서였다.
사흘 뒤, 6월 25일 택룡은 아들에게 줄 시험에 쓸 붓[시필(試筆)]을 빌리기 위해
이영도(李詠道)
에게 편지를 썼다. 그리고
역동서원
에 가는 길에, 그 곳 사람에게 부탁하여 이영도에게 전하도록 하고 또 답장을 받아달라고 했다. 그리고 택룡은 다음 날 제사를 위해 재계하고 제물(祭物)을 점검하고 준비하였다. 제사 준비를 마친 후, 택룡은 사랑채에 들어가 명지[名紙, 과거답안을 쓰기 위해 준비하는 종이]를 잘라서 아들 김각의 녹명단자(錄名單子)를 쓰고 피봉을 만들었다. 그리고는 이어서 심학해 · 심용해 · 심이달의 명지(名紙)도 모두 각의 것과 같이 마름질하였다. 이들은 모두 다음 날 출발할 계획이었다. 저녁에 택룡은 이영도의 답장을 받았는데, 사정이 있어서인지 붓을 보내주지 않았다.
6월 26일, 먼동이 틀 무렵 택룡은 어머니 신주를 사묘(祠廟)에서 모셔 내어 제사를 지냈다. 택룡의 아들 김숙 · 김각 · 생질 정득 그리고 여러 손자들이 제사에 참례하였다. 해거름 무렵에 김각 · 심학해 · 심용해 · 심이달 · 손흥선 등이 향시(鄕試)를 보기 위해 의흥(義興)으로 떠났다. 택룡은 의흥현감 이유청(李幼淸)에게 편지를 써서 이들에게 객지의 불편함을 면하게 해 주면 좋겠다고 부탁했다. 그러나 택룡은 그가 그렇게 해 줄지 확신은 할 수 없었다.
7월 2일 의흥 과거 시험날이 지나갔다. 그리고 4일 뒤 7월 6일이 되자 의흥에 과거 보러 갔던 사람들이 돌아오고, 택룡의 아들 김각도 돌아왔다. 7월 9일 택룡은 과거 합격자 소식을 들었다. 예안에서 합격한 사람은 13명이라고 하는데, 아쉽게도 아들 김각은 실패했다. 이유도가 생원시에 장원을 했다고 하였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조성당일기(操省堂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김택룡(金澤龍)
주제 : 공부와 시험, 과거시험 준비
시기 : 1617-06-21 ~ 1617-07-09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군위군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김택룡, 어질동, 조복중, 김각, 김중청, 황유문, 이영도, 김숙, 김각, 정득, 심학해, 심용해, 심이달, 손흥선, 이유청
참고자료링크 :
조선왕조실록
◆ 조선시대 과거 시험 준비 사항
과거시험을 치르기 전에 응시자들은 필기도구와 답안을 작성할 종이를 손수 마련해야 했다. 명지(名紙)라 불리는 시험지는 다듬잇돌에 반듯하게 다듬은 종이를 사용했는데, 이는 응시자가 개인적으로 창호지 등에 작성함으로써 채점 부정이 생기는 일을 막기 위해서였다. 부유한 사람들은 규정을 어기고 고급 종이를 사용하다 실격 처리되는 일도 더러 있었다고 한다. 응시자들은 손수 준비한 시험지에 녹명(錄名)과 동일한 사항을 기록하여 그 위를 종이로 봉해 당국에 제출하여 종이의 지질·규격과 각종의 기재사항을 검증받아야 했다. 결국 응시자는 이 시험지를 가지고 시험에 응했고, 이렇게 사전 검인을 받은 시험지라야 채점의 대상이 될 수 있었다.
더불어 응시자들은 녹명(錄名)이라 하여 응시자 본인,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외할아버지의 관직과 성명, 본관, 거주지 등을 기록한 사조단자(四祖單子)와 6품 이상의 조관이 서명날인한 일종의 신원보증서라고 할 수 있는 보단자(保單子)를 시험 열흘 전쯤에 제출해야 했다. 사조(四祖) 가운데 『경국대전』이 규정한 결격사유가 없어야 응시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중종실록』에는 이와 관련하여 “과거를 볼 때는 반드시 내외사조와 당사자에게 흠이 있는지 고찰해 과거에 응시하게 하는 것이 관례다”라는 기록이 있다.
김택룡은 아들 김각이 과거시험을 보러 가는 데 필요한 준비물을 챙겨주기 위해 신경 쓰고 있다. 이영도에게 시험에 쓸 붓을 부탁하는가 하면, 시험답안을 작성할 종이를 직접 다듬질하고 또 제출해야 하는 사조단자(四祖單子)를 작성하고 있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617년 6월 21일 맑고 몹시 더움
어질동과 조복중曺福中의 아들을 불러 의흥義興 시소試所로 보냈다. 아들 김각이 가기 때문이다.
1617년 6월 22일 맑음
황유문이 향시鄕試를 보러 신안新安에 가기에 주쉬 김중청(자는 이화)에게 편지를 썼다. 황공黃公이 와서 인사하고 갔다. 역정에 나가 봉사 백·중씨 형제와 함께 이야기했다.
1617년 6월 23일 맑고 몹시 더움
역정에 나가 심신 아재와 이야기했다. 증조부 제삿날이기 때문에 좌재坐齋했다.
1617년 6월 25일 맑음
시필試筆을 빌리기 위하여 이영도(자는 성여)에게 편지를 써서 역동서원에 들러 전하고, 역동서원 사람으로 하여금 전하고 답장을 받아오게 했다. 이날도 재계하기 위하여 역정에 나가지 않고, 전물을 점검하고 준비했다. 또 명저名楮를 잘라서 아들 김각의 피봉과 녹명단자錄名單子를 쓰고 심학해·심용해·심이달의 명저도 모두 사랑에서 각의 것과 같이 마름질했다. 내일 출발할 계획이다. 저녁에 이영도의 답장이 왔으나 붓은 안 왔다.
1617년 6월 26일 맑음
먼동이 틀 무렵 어머니 신주를 사묘祠廟에서 모셔 내어 숙의 청사廳事에 제사를 차렸다. 아들 김숙·각·생질 정득 그리고 여러 손자가 제사에 참례했다. 중렴重澰은 이증痢証으로 불참했다. 실내室內와 전낭도 심히 편치 않은데, 전낭은 이질을 심하게 앓았다. 해거름에 각·심학해·심용해·심이달·손흥선 제공이 향시를 보기 위하여 의흥義興으로 떠났다. 의흥 주쉬 이유청李幼淸에게 편지를 써서 객지의 불편함을 면하게 해 주라고 했으나, 그렇게 해 줄지 모르겠다.
1617년 7월 2일 먹구름
이 날이 의흥 과거 시험 날이다.
1617년 7월 6일 맑음
의흥에 과거 보러 갔던 사람들이 돌아왔다. 각도 돌아왔다.
1617년 7월 9일
조수붕이 와서 만났다. 과거 합격자 소식을 들었다. 예안에서 합격한 사람이 13명인데, 각은 실패했다. 이유도(자는 치원)가 생원시에 장원을 했다.
이미지
1812년 김헌 사조단자...
이은택 사조단자
필방
그래픽
과거시험용 종이를 준비하...
3D
과거시험 준비물
다듬잇돌
목두
죽변
희준(犧尊)
상준(象尊)
목어(木魚)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과거시험을 앞둔 아들과 사위에게 편지를 보내다 - 입시생을...
1612-04-06
경상북도 봉화군
2
과거시험에 낙방한 자의 아버지, 청탁으로 부정합격한 자들을...
1617-07-24
경상북도 안동시
3
시험도구를 챙겨준 아버지, 아들이 과거시험장에서 돌아오기를...
1617-07-13
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4
시험을 치룰 준비를 하다
1605-09-13
경상북도 안동시
5
과거 보러 한양까지 가는 길의 고단함
1605-11-04
경상북도 안동시
6
경술년 과거시험을 보기 위해 길을 나서다
1610-03-02
경상북도 안동시
7
침락서당에 머물다 과거길에 오르다
1615-09-13
경상북도 안동시
8
거자들의 고시원, 백운동서원
1561-05-24
경상북도 영주시
9
길 나선 김에 장원급제까지
1561-07-07
경상북도 안동시
10
음악소리 그친 장악원 안의 선비들
1561-08-04
서울특별시 중구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