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이웃과 어울리는 삶
자연재해와 지역사회의 대응
주고받는 호의와 재화
죽은 자에 대한 기억과 예의
즐거운 경사와 잔치
지역사회의 공간 정비
학문으로 맺은 인연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공동체
> 즐거운 경사와 잔치
페이스북
스크랩
17세기 초 추석 풍경 - 소 잡는 이웃집에서 제육 얻어 제사드리고, 성묘와 벌초를 하다
1616년 8월 14일, 김택룡의 조카 김형과 누님의 집에서
절사(節祀)
를 지낸 음식을 나누어주었다.
8월 15일, 김택룡은 가동(檟洞)의 선조 무덤에 제사를 지내므로 직접 그곳으로 갔다. 그리고 조카 김형을 시켜 수록동(水綠洞) 왕부[王父, 조부] 묘소를 벌초하게 하고 음식을 올리도록 했다. 가동에서 합제[合祭, 여러 사람에게 제사를 함께 지냄]를 지냈는데, 영해 외조부모도 함께 제사를 지냈다. 김택룡이 들으니, 능운대 증조부모 제사는 송필이 묘소에서 지냈다고 하였다. 가동의 제사에는 범금(范金)과 임인이 술을 가지고 와 올렸다. 제사에 참여한 사람은 조카 김형 · 아들 김각 · 손자 중길 · 해응(海膺) · 조술(祖述) · 대달(大達) 등인데 모두 참여하여 도왔다.
1617년 8월 12일, 김택룡의 큰 아들 숙이 덕현(德峴)의 풀 베는 곳에 갔다. 절기가 추석 제사에 가까우나 제육(祭肉)을 얻지 못했는데, 김택룡이 들으니 권전룡(자는 응상)이 소를 잡는다고 해서 조카 김형을 보내어 얻어 왔다. 천실도 와서 선조 무덤의 벌초 일을 아뢰었다.
8월 13일, 김택룡의 아들 김숙이 제 외조부와 제 죽은 어머니 제사를 지내기 위해 요산에 갔다. 논복도 함께 나갔다가, 제 부모 무덤을 벌초하러 돌아갔다. 변전이 김택룡을 찾아와서 만나고 제 장인 산소에 제사 지내러 간다며 인사하고 돌아갔다. 김택룡은 은종을 시켜 포태[泡太, 두부를 만드는 데 쓰는 콩]를 자신의 누님에게 보냈다. 내일 누님이 가동(檟洞)의 선조 무덤에 함께 가려 하시기 때문이었다.
8월 14일, 어제 아침 정리에 있는 능금이 김택룡에게 쇠고기를 보냈고, 또 권전룡의 집에서도 조금 보내왔다. 김택룡은 누님 집에 있다가 가동과 수륙동(水陸洞)
절제(節祭)
를 지내기 위하여 무덤에 올라가려 했으나 빗줄기가 그치지 않아, 하는 수없이 큰 아들 숙의 집 청사(廳事)에 신주를 모시고 지냈다. 제사를 파하고는 생질 정득의 집에서 제사음식을 음복하였다. 그 때, 김몽서(金夢瑞)가 마침 와서 참여하고 음복했다.
8월 15일, 김택룡이 자신의 외조부모 제사를 상방(上房)에서 지냈다. 김택룡의 생질 정득 무리는 수록동(水綠洞)에서 벌초했다. 또 김택룡은 술과 과일을 마련하여 생질 정득 · 조카 김형 · 손자 괴를 데리고 가동(檟洞)에 올라가 선조 무덤에 잔을 올려 절하고, 또 제물을 나누어 영해 장인 산소에도 절했다. 조카 김형은 제 어머니 무덤에 절했다. 남은 제물을 요절한 손자, 손녀 무덤에도 뿌렸다. 천실에게 떡을 주고, 술과 과일은 같이 간 사람들에게 나누어 먹였다. 천실도 탁료주를 가져와서 사람들에게 먹였다.
해질 무렵 헤어져 돌아왔다. 김택룡의 아내와 누님 · 김숙의 처 · 김택룡의 형수 · 김택룡의 아들 각과 손자 중렴 등은 제물을 마련하여 죽은 아들 김적의 무덤에 올라가 제사를 지내고 왔다. 산양의 사람들은 오지 않았는데, 물이 불어 못 오는 것 같았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조성당일기(操省堂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김택룡(金澤龍)
주제 : 가족과 친족, 제사와 차례
시기 : 1616-08-14 ~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김택룡
참고자료링크 :
웹진 담談 7호
웹진 담談 7호
조선왕조실록
◆ 조선시대 추석 차례의 풍경
일기란 누가 쓰느냐에 따라 같은 상황에서도 다른 시각의 묘사가 담긴다. 위의 장면은 조선 중기 노성한 학자의 시각에 비친 추석의 풍경일 것이다. 그에게는 성묘와 벌초, 그리고 제사에 올릴 음식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큰 관심사였을 것이다. 아마도 부녀자가 추석이라는 명절을 보내며 일기를 기록했다면, 명절 음식 준비에 관한 이야기가 많았으리라 예상되는 것처럼.
조선 중기까지만 해도 윤회봉사와 외손봉사의 풍속이 살아있었기 때문에, 김택룡이 성묘하는 범위가 매우 다양함을 볼 수 있다. 또한 꼭 추석당일이 아니라 전날부터 무덤을 찾아가 절제(節祭)를 지내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날씨 때문에 무덤에 가는 것이 여의치 않을 때엔 집에서 그에 대신하는 제사를 지낸 것도 알 수 있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616년 8월 14일 맑음 조카 김형과 누님의 집에서 절사節祀 절사(節祀) : 절기나 명절에 지내는 제사. 를 지낸 음식을 나누어주었다. 변전이 와서 자기 아버지의 뜻을 전달하였다. 1616년 8월 15일 맑음 가동檟洞의 선영에 제사지내서 내가 직접 갔다. 조카 김형을 시켜 수록동水綠洞 왕부(王父:조부) 묘소를 벌초하고 음식을 올리도록 했다. 가동에서 합제合祭를 지냈는데, 영해 외조부모도 함께 제사를 지냈다. 능운대 증조부모 제사는 송필(자는 단석)이 묘소에서 지냈다고 하였다. 가동의 제사에 범금范金·임인이 술을 가지고 와 올렸다. 제사에 참여한 사람은 조카 김형·아들 김각·손자 중길·해응海膺·조술祖述·대달大達 등인데 모두 참여하여 도왔다. 금옥아金玉兒도 가서 저녁나절에 돌아왔다. 1617년 8월 12일 맑음 황유문이 와서 만났다. 숙은 덕현德峴 풀 베는 곳에 갔다. 절기가 추석 제사에 가까우나 제육祭肉을 얻지 못했는데, 들으니 권전룡(자는 응상)이 소를 잡는다고 해서 조카 김형을 보내어 얻어 왔다. 천실도 와서 선영 벌초 일을 사뢰었다. 1617년 8월 13일 흐리고 간혹 맑음 숙이 제 외조부와 제 죽은 어머니 제사 지내려 요산에 갔다. 논복도 함께 나가서 제 부모 무덤을 벌초하러 돌아갔다. 도산서원에 단자單子를 썼는데, 개창疥瘡으로 향사에 불참하기 때문이다. 변전이 와서 만나고 제 장인 산소에 제사지내러 간다며 인사하고 돌아갔다. 은종에게 포태泡太를 보냈다. 내일 누님이 가동檟洞 선영에 가려 하시기 때문에 보내라고 했다. 1617년 8월 14일 비 오다가 오후 늦게 갬 어제 아침 정리 집의 능금이 쇠고기를 보냈고 권전룡(자는 응상) 집에서도 조금 보냈다. 누님 집에서 가동과 수륙동水陸洞 절제節祭를 지내기 위하여 무덤에 올라가려 했으나 빗줄기가 그치지 않아 하는 수 없이 숙아 집 청사廳事에 신주를 모시고 지냈다. 제사를 파하고 생질 정득 집에서 제사음식을 먹었다. 김몽서金夢瑞가 마침 와서 참여하고 음복했다. 1617년 8월 15일 흐리고 간혹 맑음 우리 집 외조부모 제사를 상방上房에서 지냈다. 생질 정득 무리가 수록동水綠洞에서 벌초했다. 또 나는 술과 과일을 마련하여 생질 정득·조카 김형·손자 괴를 데리고 가동檟洞에 올라가 선영에 잔을 올려 절하고, 또 제물을 나누어 영해 장인 산소에도 절했다. 조카 김형은 제 어머니 무덤에 절했다. 남은 제물을 요절한 손자, 손녀 무덤에도 뿌렸다. 천실에게 떡을 주고, 술과 과일은 같이 간 사람들에게 나누어 먹였다. 천실도 탁료주를 가져와서 사람들에게 먹였다. 해질 무렵 헤어져 돌아왔다. 처와 누님·숙의 처·형의 처·아들 각·손자 중렴 등이 제물을 마련하여 적의 무덤에 올라가 제사를 지내고 왔다. 산양 사람은 오지 않았는데, 물이 불어 못 오는 것 같다. 저녁에 심신 아재가 사람을 보내 역정櫟亭의 송붕松棚에서 술을 준비하여 초대한다고 해서 나갔더니, 태동胎洞에 위요圍繞한 주과酒果를 대접했다. 심 봉사·심학해·만해·아들 각·손자 중길 등이 자리를 함께 했다. 와운대臥雲臺 위요는 아우 덕룡이 했는데, 묘 아래 제물을 가져가 제사지내고 벌초도 했다고 한다.
이미지
영해평야
3D
목두
죽변
희준(犧尊)
상준(象尊)
목어(木魚)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관련 이야기 소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