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벼루는 망실되고 시렁 위 천체관측기는 형태만 남아 있구나
1660년 4월 5일, 권경은 도산으로 향했다. 도산(陶山)으로 말하자면 퇴옹(退翁)께서 만년에 은퇴하고 물러나 쉬던 곳이다. 푸른 협곡으로 해서 가는 중에 석천(石川)이 가로로 흐르는데, 물 흐르는 기세가 두려울 정도인지라 마침내 말을 경계하며 건너갔다. 길가에 과실이 있었으니 이 터에서 생겨난 것들이라고 하였다.

도원(陶院)을 찾으려다가 옆 계곡으로 잘못 들어갔다가 다시 나왔다가 들어가며 우경(虞卿)에게 일러 말하기를,
“그대는 이미 이 길에 익숙하다고 말했으면서도 지금 이처럼 잘못 들어서 헤매고 있는가?”
라고 말하곤 서로 더불어 한바탕 웃었다.

해가 저물어서야 작은 고개를 넘으니 큰 강이 비껴 흐르고 푸른 봉우리가 울창하였다. 그 아래로 바로 원택(院宅)이 보였다.

골짜기 아래 돌 위에 덥수룩한 비석 하나에 ‘석간대(石澗臺)’라는 세 글자가 새겨 있었으니, 이것은 바로 선생이 손님을 배웅할 때 늘 여기에 이르러 작별을 했기 때문에 그렇게 표시했던 것이라 한다.

마침내 원기(院祇)에 들어서 상덕사(尙德祠)에 알현하는데 갑자기 동주(洞主) 이가회(李嘉會)가 우리 행차를 듣고서 즉시 들어와서 손을 잡으니, 그 기쁨을 눈으로 표현하자니 말로 형언할 수 없을 정도라 즉시 동주(洞主)와 함께 원택의 제실(諸室)을 두루 완상하였다.

강당(講堂) 북쪽 벽의 편액(扁額)이 전교당(典敎堂), 오른쪽의 편액은 한존재(閑存齋), 이어서 암서헌(巖棲軒)에 가보니 완락재(玩樂齋)로 편액을 하였는데, 당실(堂室)의 넓이가 8척에 지나지 않는데도 선생은 오히려 그것이 지나치게 넓다고 탄식하셨다고 하니 그 검소함의 미덕을 가히 상상할 수 있었다. 명아주 지팡이와 연갑(硯匣)이 있었다고 하나 벼루는 망실되었으며, 시렁 위에는 (천체관측기인) 기형(璣衡)이 있었는데, 모든 고리가 떨어져 나가 지금은 형태와 모양만이 남아있을 따름이다.

마당 아래에는 차가운 물이 솟는 열정(冽井)과 작은 샘(泉)이 있는데 산 정상에서부터 (발원한 물이) 열정으로 흘러들기에 이른바 몽천(蒙泉)이라 한다. 샘의 왼편에는 절우사(節友社)가 있고, 오른편에는 동몽재(童蒙齋)가 있는데 편액이 시습(時習)이고, 푸른 계곡물이 골짜기 입구에 이르러 동쪽으로 꺾이니, 수십 걸음을 걸으면 강에 맞닿아 천연대(天淵臺)가 있다.

누대 앞에는 작은 바위가 있는데 수면 위로 살짝 (그 모습을) 드러내곤 하기에 이른바 반타석(盤陀石)이라 부른다. 그 아래로는 탁영담(濯纓潭)이 있는데 서쪽 편으로 십수 보 정도를 가면 또 운영대(雲影臺)가 있다. 이 모든 것이 선생께서 직접 이름을 지으시고 마음과 학문을 닦으며 노닐고 쉬시던 곳이다. 이르는 곳마다 상상을 하니, 마치 선생이 푸른 산과 맑은 물 사이에서 시원한 모습으로 우춘고슬(雩春鼓瑟)의 뜻을 두었던 것이 더욱 배가 되는 듯하였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