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깊은 골짜기에 자리잡은 엄숙한 공간, 왕실의 족보와 조선의 역사를 보관하는 태백산 사고에 가다
1780년 8월 12일 맑음. 청량산을 유람 중이던 박종은 태백산 사고까지 이르렀다. 사고 밑에 있는 각화사에서 이른 아침에 절 밥을 얻어먹고 젊은 승려로 하여금 앞에서 길을 안내하게 하여 나라의 사책〔國史〕이 보관되어 있는 곳에 올랐다. 비록 기이한 봉우리와 깎아지른 절벽은 없으나 대체로 산세가 높고 커다란 골짜기가 깊게 파여 있다.
골짜기 가운데를 따라 길을 가니 돌계단이 비늘처럼 이어져 공중에 매달려 있다. 누워 있는 소나무와 거꾸로 자라는 잣나무가 위아래로 얽어 있고 오래된 등나무와 늙은 넝쿨나무가 좌우에서 얽어 있다. 바람이 골짜기로 몰려가고 음산한 기운이 마치 어둑한 하늘과 같다. 물소리는 골짜기에서 마치 우레가 다투는 듯 은은히 들려왔다. 고요하여 귀신이 나올까 의심되고, 빽빽하여 호랑이와 표범이 나올까 두려웠다. 엄숙하여 두렵고 위풍이 당당하여 놀랄 만하였다.
10리를 올라가니, 여러 색깔과 무늬로 꾸민 높고 큰 건물이 구름 낀 하늘과 나무 끝 사이로 보인다. 바라보니 마치 하늘 위의 12누대와 같다. 좌우에는 2층의 누대를 지었는데, 오른쪽의 누각은 선원보각(璿源寶閣)이라 편액을 하여 나라 왕실의 족보를 안치하고 있다.
왼편의 누각은 편액이 없는데, 국사(國史)를 안치하고 있다. 곁에는 참봉(參奉)이 거처하는 8, 9간의 행랑채가 있다. 한림(翰林, 왕의 행행 때에 호종하고 왕의 명령을 문서로 꾸미는 일 등을 맡은 정4품 관직)이 책을 말릴 때에 거처하는 별당이 몇 칸 있다. 승려가 말하기를,
“나라에 절목(節目, 법)이 있는데 유람 온 사람은 관람을 금합니다.”
라고 하였다. 박종이 승려를 시켜 참봉(參奉)에게 전하기를,
“나라에서 금하는 것은 잡인을 금한다는 것이지, 어찌 보러온 유생을 금하겠는가?”
라고 하니, 참봉(參奉)이 허락하였다. 드디어 들어가 보니 다른 것은 볼 만한 것이 없는데, 한 승려가 짚신을 삼고 참봉(參奉)은 자리를 짜고 있었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