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김태건과 구운학은 억울하게 살인범 누명을 쓰고 죽었을지도 모른다
1751년 6월 18일, 오후 3~5시경 안음현(安陰坼) 고현면 기찰(譏察)인 김태건(金太巾)과 북리면 기찰인 구운학(具云鶴)이 살인사건이 났음을 신고하였다. 그들의 말에 의하면 도기찰(都譏察) 김한평(金漢平)과 사후(伺侯) 김동학(金東鶴)과 더불어 지대면(知代面) 수망령(水望嶺)을 넘어 관가(官家)에 들어오던 중, 행차가 장수사(長水寺) 뒤에 이르렀을 때에 갑자기 도적 10여 명이 불쑥 나타나 도기찰과 사후를 난타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김태건과 구운학 두 사람은 몸을 피해 달아나 사건을 고할 수 있었으나, 아마도 그 사이에 도기찰 등은 분명히 운명할 지경이 되었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이 말을 들은 안음현감은 매우 놀라 위의 변고(變故)를 고한 김태건과 구운학 등을 우선 잡아가둔 후에 사실을 조사하기에 이른다. 또 한 건의 신고는 같은 날 오후 같은 시간인 3~5시경에 장수사(長水寺) 중의 보고하기를 도기찰(都譏察) 김한평(金漢平)은 장수사 10리쯤에서 죽었고 사후(伺候) 김동학(金東鶴)은 장수사 아래 동구(洞口)에서 죽었다고 한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김한평의 초검결과를 살펴보면 온몸에 칼에 의한 상처가 가득하다는 점이다. 이외에도 찰과상이 온몸에 나 있었다. 무예로 단련된 도기찰에게 이 정도의 상처를 입혔다는 것은 대단한 격투가 벌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후 김동학 역시 온몸에 타박상이 나 있었다. 죽을 정도로 맞았으니 역시 엄청난 격투가 벌어졌을 것이다.
만약 김태건과 구운학이 이들을 죽인 후에 그대로 안음현감에게 찾아가서 고하였다면 그들의 행색은 피투성이여야 했다. 그런데 그들은 그런 의심을 살만한 옷차림이 아니었다. 옷을 갈아입고 왔다고 한다면 그들이 신고한 시각과 장수사 승려가 신고한 시각 사이에 차이가 발생해야 했다.
그런 까닭에 어쩌면 김태건과 구운학이 진범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후 김동학의 김태건과 구운학이 각기 다른 말을 하기 시작한 것은 “도기찰이 너희들의 수장이 되는데 어찌하여 죽음을 멀쩡히 지켜보다가 다만 몸을 피할 계책을 하겠느냐.”면서 그들의 행실을 의심하고 문초한 데에서부터 비롯된다. 자백을 받아내기 위한 고문이 당연시되던 시절이니만큼, 그들의 입을 통해 흘러나온 그릇된 자백이 그들 모두를 죽음으로 몰아간 것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진짜로 김한평과 김동학이 죽은 이유는 무엇일까? 10여 명의 도적이 습격하였다는 것은 사실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김태건과 구운학이 문초를 받은 이후 새롭게 제기한 이유 역시 두 사람의 발언이 일치하는 점을 주목하게 된다. 그것은 사후 김동학이 갑자기 광증을 일으켜 돌덩이를 들고 도기찰 김한평과 더불어 다투다가 김한평이 땅에 엎어졌으며, 사후 김동학은 달아났다는 점이다. 또한 김태건은 자신이 소변을 보느라 뒤에 떨어져서 그 사실을 목도했다고 했는데, 이는 구운학의 증언에서도 김태건이 떨어져서 말렸다는 것과 일치한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