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가야산 정상에서 인간의 욕심에 대해 생각하다
1696년 7월 6일, 가야산을 등반하던 이시선은 쉬다 가다를 반복하다가 마침내 가야산 정상에 올랐다. 그가 오른 봉우리는 장군봉(將軍峰)이었다. 이 봉우리는 적석봉(積石峰)과 장장봉(將將峰)과 마찬가지로 바위보다는 작은 돌들 사이에 소나무들이 자라있는 형태였다. 사람들이 ‘신선이 바둑과 장기를 두던 곳’이라고 일컫는 유명한 장군봉의 자갈밭이었다.

이 자갈밭에는 “이 곳을 유람할 때에는 반드시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한 뒤에 와야만 한다. 아니면 안개가 끼거나 비가 내리거나 다른 나쁜 일이 생긴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시선은 그 말이 사실인지 거짓인지 의심이 들었다. 그러나 일단 행동을 조심하기로 마음먹었다.

안내를 맡은 승려가 또 하나의 옛 이야기를 해주었는데, “바람이 불면 자갈 사이에 바람이 들어가 비파(琵琶)를 연주하는 것 같은 소리가 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비파자갈이라고 합니다. 또 자갈 사이에 복숭아나무가 있는데 이를 신선의 복숭아(仙桃)라고 합니다. 봄에 꽃이 피는 것은 보았으나 열매가 맺는 것은 보지 못했습니다.” 라는 이야기였다.

이번에는 조카 손자들이 자갈밭에서 석이(石耳)버섯을 캐왔다. 석이버섯의 모양을 보니 거칠고 검은 부분은 안에 들어가 있고 매끄럽고 흰 부분은 바깥에 있었다. 이시선은 겉은 부드럽고 속은 거친 모양을 보고 마치 이단(異端)이 참된 가르침을 어지럽히는 모습과 같다고 생각했다.

승려가 이번에는 산등성이의 바위들을 가리키며 말했다. “저 바위에는 석이버섯이 많이 납니다. 옛날에 보림암의 승려가 석이버섯 10여 송이를 캤다고 합니다. 그 후에 제자들을 데리고 석이버섯을 캐러갔습니다. 다른 승려가 따라오자 자신이 석이버섯을 캔 곳이 아닌 다른 곳에 석이버섯이 있다고 하여 보낸 후에 자기들만 석이버섯을 잔뜩 캤습니다. 다른 곳으로 갔던 승려가 멀리서 석이버섯이 그곳에 있는지 큰 소리로 묻자 없다고 거짓말을 하였습니다만 말이 끝나자마자 바위에서 떨어져 결국 죽고 말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석이버섯이 많이 나는 저 바위에는 아무도 가까이 가려하지 않습니다.”
이시선은 당시 세상에도 이 이야기에 나오는 승려처럼 욕심을 탐하는 행동을 취하는 이들이 많다고 생각했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