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단오(端午)날에 씨름을 구경하다
1618년 5월 5일, 양경우(梁慶遇)는 이날 잠자리에서 일어나 식사를 한 후 길을 나서려고 하였다. 그런데 흥양(고흥의 옛 이름)의 수령인 박유귀(朴惟僮)가 와서 출발을 늦춰달라고 했다. 박유귀는 무관 출신의 수령이기는 하나 공부를 나름 하였던 사람이라 말이 통해서 예전부터 친하던 사이였다. 그가 말하길 “오늘은 오월 오일로 명절(단오(端午))입니다. 저희 고을에 비록 자랑할 만한 맛있는 음식은 없지만 어찌 공에게 하루 대접할 음식을 걱정할 정도겠습니까.”라고 했다. 양경우는 하루 더 머물기로 하였다.

문 밖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보니 사람들이 웃고 떠들고 있었다. 박유귀가 하인에게 문을 열라고 하였다. 그러니 고을 백성 백여 명이 마당으로 들어왔다. 박유귀가 자초지종을 설명해주었다. “이 고을에서는 단오 때 각저희(角觗戲 : 씨름)를 합니다. 그렇게 해온 전통이 오래되었습니다. 우리 고을을 방문한 손님께 보여드리기 위해 이렇게 자리를 마련한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박유귀의 말이 마치기도 전에 씨름판이 벌어졌다. 몇 차례 승부가 이어졌는데 그 가운데 피부색이 검고 키가 큰 사람의 실력이 뛰어났다. 다리가 마치 기둥과 같이 튼튼했는데, 연속해서 7, 8명을 이겼다. 더 이상 그에게 승부할 사람이 없어졌다. 양경우 등이 관람하고 있는 곳의 계단 아래에 그가 엎드려 “놀이가 다 끝났습니다.”라고 하니, 박유귀가 부일목(浮一木)이라는 나무로 만든 사발을 상으로 주었다.

그런데 갑자기 키가 작고 말랐으며 얼굴이 하얀 것이 마치 유생(儒生)과 같은 어린 나이의 사람이 나오더니 “저 사람과 겨루게 해주십시오”라고 요청했다.

박유귀가 놀라서 물러가게 하려고 했으나 씨름하던 사람들의 간청에 경기를 하게 하였다. 승부가 시작되어 서로 어깨를 붙이고 겨루기에 들어갔다. 바라보니 마치 개미가 나무를 흔드는 것처럼 보였다. 구경하던 백여 명이 모두 서로 바라보며 웃었다. 그러던 그 때, 갑자기 작은 쪽이 기합을 지르며 힘을 줬다. 큰 사람이 그에 대응하여 움직였다. 한참 그렇게 대치하며 씨름장을 빙빙 돌다가 두 사람이 함께 쓰러졌다. 모래 먼지가 가득 피어올랐다. 먼지가 가라 앉자 작은 사람이 큰 사람을 깔고 쓰러져 있었다. 작은 사람이 이긴 것이다. 양경우는 박유귀와 함께 환호하고 크게 웃으며 작은 사람을 앞으로 나오게 했다. 나이를 물어보니 큰 사람보다 한 살 어리다고 했다.

박유귀가 말하길 “이 사람은 서울의 시장에서 장사하는 사람인데, 장사를 위해 이 마을에 왕래하여 안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힘이 쎈 사람인 줄은 몰랐습니다.”라고 했다. 그리고는 작은 사람에게 쌀과 베를 상으로 줬다. 이렇게 씨름 경기가 끝났다.
방에 들어오니 문을 열고 관기(官妓) 한 명이 들어왔다. 이름이 몽접(夢蝶)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얼굴을 보니 예전에 남원에서 3년간 양경우의 거처에 함께 있던 이였다. 그녀는 어렸을 때 노래를 잘 부르는 기생이었다. 임진왜란으로 이곳저곳을 떠돌게 되어 양경우도 그 생사를 몰랐는데 20년 만에 고흥에서 다시 만난 것이다. 세상일에 우연이 많다고 느꼈다. 서로 옛날 이야기를 했고 또 그녀에게 노래를 부르게 하였다. 들어보니 옛날과 같이 가냘픈 목소리로 노래를 잘했다. 박유귀가 이렇게 마련한 술자리로 밤늦게까지 즐겁게 이야기를 나누었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