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나라의 정치
> 조정의 갈등과 대립
페이스북
스크랩
율곡 이이의 죽음으로 조정에서 밀려난 동인(東人)
1575년 시작된 동인과 서인의 갈등은 계속되었다. 그러던 1584년 1월 16일, 서인세력의 정신적 버팀목이었던 이이(李珥)가 갑작스럽게 죽음을 맞이하자, 조정은 더 혼란스러워졌다. 병조판서 이이의 죽음은 선조에게도 큰 충격이자 아픔이었다. 더욱이 서인들은 이이의 죽음의 탓을 동인에 돌리며 모함과 질타가 끊이질 않았고, 이에 선조는 조정의 주요 요직에 있는 동인을 지방의 외직으로 보낸다. 이에 동인들의 한탄 또한 끊이질 않았다. 권문해 또한 명사(名士)들이 쫓겨나는 상황을 한스럽게 바라보았다.
김효원(金孝元)
과
홍적(洪迪)
은 이미 황해도의 안악(安岳)과 장연(長淵)으로 보내졌으며 대사헌
이기(李墍)
는 전라남도 장흥으로, 승지였던 김응남(金應南)은 제주도로 보내졌다.
그러던 1584년 5월 27일, 태평관(太平館)에 벽서가 한 장 붙었다.
밝은 시대 누가 군자의 붕이라 말하였던가 昭代誰云君子朋
다만 지사로 하여금 마음 무너지게 하는구나 徒令志士寸心崩
조정 신하가 붕당을 나눈 것이 아니건만 朝臣不是分朋黨
임금께선 어찌하여 유독 아끼고 싫어하시는가 聖主如何獨愛憎
서해의 텅 빈 누각에 천 길 나는 봉황 있고 西海空樓千仞鳳
남명에 부질없이 한 조각 얼음 던지누나 南冥虛擲一條氷
파산의 한 밤에 요사스런 소 울음소리 巴山半夜妖牛吼
이 나라 뿌리를 머리털 있는 중이 흔드네 仙李根搖有髮僧
이 시는 곧 권문해에게도 전해졌는데, 그 시를 보자 권문해는 조정의 주요 관리들이 죽은 이이 때문에 한양을 떠나 멀리 좌천되는 안타까움에 크게 공감했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초간일기(草澗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권문해(權文海)
주제 : 예천, 정치관계, 동인 모함 사건
시기 : 1584-01-16 ~ 1584-05-27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서울특별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김효원, 홍적, 이기, 김응남, 권문해
참고자료링크 :
웹진 담談 38호
조선왕조실록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권문해
◆ 태평관에 붙은 벽서에 대한 권문해의 해석
1584년 이이가 죽고 조정에 동인세력들이 대거 지방의 외직으로 물러났다. 특히 김효원, 홍적, 이기가 각각 함경도 안악과 장연 그리고 장흥으로 떠나자 임금과 죽은 율곡 이이를 원망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러한 시기에 태평관에 벽서가 붙었고, 그 벽서에는 그 시대를 잘 보여주었다. 특히 이시에는 김효원과 홍적, 이기, 김응남을 간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며, 율곡 이이에 대해서도 상징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시의 내용은 “밝은 시대 누구 군자의 붕(朋)이라 말하였던가. 다만 지사로 하여금 마음 무너지게 하는구나. 조정 신하가 붕당을 나눈 것이 아니건만 임금께선 어찌하여 유독 아끼고 싫어하시는가. 서해(西海)의 텅 빈 누각에 천 길 나는 봉황 있고, 남명(南明)에 부질없는 한 조각 얼음 던지누나. 파산(巴山)의 한 밤에 요사스런 소 울음소리 이 나라 뿌리를 머리털 있는 중이 흔드네.” 이다. 권문해는 이 시를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천 길을 나는 봉황’은 김효원과 홍적을 가리키는 것이며, ‘요사스러운 소’는 우계(牛溪) 성혼(成渾)을 가리키는 것이다. 성혼은 이이와 평생지기로 지냈으며, 이황을 뵙고서 깊은 영향을 받았다. 이이가 죽은 뒤 서인의 영수 가운데 중진 지도자가 된 인물이다. 또 ‘머리털 있는 중’은 율곡 이이를 가리키는데, 율곡이 젊어서 산에 들어가 머리털을 깎고 스스로 의암(義菴)이라 불렀기 때문이라고 한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584년 5월 27일 맑음. 가뭄이 연일 심하여 곡식이 반 넘게 타고 마르니 시사(時事)가 어렵고 위급하며, 인심은 흉흉하고 두려워함이 날로 심해져갔다. 전날의 명사(名士)는 모두 쫓겨나서 외직을 채우고 있으니 (조정에) 남은 자가 거의 없다. 어떤 사람이 태평관(太平館)의 벽에 글을 써서 말하였다. 밝은 시대 누가 군자의 붕이라 말하였던가 昭代誰云君子朋 다만 지사로 하여금 마음 무너지게 하는구나 徒令志士寸心崩 조정 신하가 붕당을 나눈 것이 아니건만 朝臣不是分朋黨 임금께선 어찌하여 유독 아끼고 싫어하시는가 聖主如何獨愛憎 서해의 텅 빈 누각에 천 길 나는 봉황 있고 西海空樓千仞鳳 남명에 부질없이 한 조각 얼음 던지누나 南冥虛擲一條氷 파산의 한 밤에 요사스런 소 울음소리 巴山半夜妖牛吼 이 나라 뿌리를 머리털 있는 중이 흔드네 仙李根搖有髮僧 이 당시 ‘천인봉(千仞鳳)’은 김인백(金仁伯, 김효원(金孝元))과 홍태고(洪太古, 홍적(洪迪))를 가리킨다. 인백(仁伯)은 안악(安岳)에 있고, 태고(太古)는 장연(長淵)에 있으며, 대사헌[大憲]이었던 이가의(李可依, 이기(李墍))는 장흥(長興)에 있었고, 승지(承旨)였던 김중숙(金重叔, 김응남(金應男))은 제주(濟州)에 있었다. ‘한 조각 얼음’은 이·김의 두 영공(令公)을 말하는 것이며, ‘요사스런 소’는 우계(牛溪, 성혼(成渾))를 가리키는 것이다. ‘머리카락 있는 중’은 율곡(栗谷)을 가리키는데, 율곡이 젊어서 산에 들어가 머리털을 깎고 스스로 의암(義岩)이라 불렀기 때문이다.
이미지
이이유적지 입구
이이유적지 안내판
이이유적지 안내도
율곡이이 신사임당 동상 ...
율곡이이 동상
신사임당 동상
율곡전서
격몽요결
동호문답
이이가 사용하던 벼루
소현서원 안내판
소현서원 모형
소현서원 청계당 모형
자운서원 전경
자운서원 입구
자운서원 표지석
자운서원 자운문
자운서원 자운문 현판
자운서원 입지재 안내판
자운서원 입지재
자운서원 입지재 현판
자운서원 수양재 안내판
자운서원 수양재
자운서원 수양재 현판
자운서원 강인당 표지판
자운서원 강인당 전경
자운서원 강인당
자운서원 강인당 현판
자운서원 강인당 내부
자운서원 묘정비 안내판
자운서원 묘정비 안내석
자운서원 묘정비 정면
자운서원 묘정비 후면
자운서원 묘정비 좌측면
자운서원 묘정비 우측면
자운서원 내삼문
자운서원 문정사 안내판
자운서원 문정사 전경
자운서원 문성사
자운서원 문성사 현판
자운서원 문성사 내부
자운서원 문성사 내부 좌...
자운서원 문성사 내부 우...
자운서원 문성사 관세위
자운서원 문성사 망료위
이이 신도비 안내판
이이 신도비각 전경
이이 신도비각
이이 신도비 정면
이이 신도비 후면
이이 신도비 좌측면
이이 신도비 우측면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골이 깊어진 동인과 서인의 갈등
1583-03-19
서울특별시
2
동인(東人)을 제거하라는 익명의 상소문
1584-05-08
경상북도 상주시
3
채진후가 과거 응시 자격을 박탈당하다
1635-05-29
경상북도 안동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