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사람들과의 교유와 어울림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지방관, 관청과의 공조와 대립
지역 사업의 추진과 운영
지역사회내의 정치와 갈등
지역사회의 사건과 재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질병과 의료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사람들과의 교유와 어울림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지방관, 관청과의 공조와 대립
지역 사업의 추진과 운영
지역사회내의 정치와 갈등
지역사회의 사건과 재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공동체
> 지역 사업의 추진과 운영
페이스북
스크랩
140명이 회합하여 서원 건립을 논의하고 통문을 돌리다
1703년 2월 2일에 서원 건립 논의를 위해 각 서원과 사림에서 회합에 참석한 사람이 140명이었다. 진사
김중안(金重安)
·
이성귀(李成龜)
·이속(李(王+束))이
반수(班首)
가 되고, 생원 남초형(南楚衡)·유학 금최(琴最)가 공사원이 되어, 신설하느냐 합향하느냐, 두 가지 의제로 종일 반복 논의하여 마침내 신설하기로 결정하였다. 도내에 통문을 발송하니, 통문을 짓는 일은 이용징(李龍徵)·유석태(柳錫泰)가, 통문을 베끼는 일은 김귀석(金龜錫)·권경운(權景運)이 맡았다. 통문을 작성하여 보내고 이미 서원을 신설하기로 결정되어
이보(李簠)
가 작성한 초안의 끝에 합향의 내용은 제거하고, 신설의 내용으로 고쳐 작성하니, 통문에 서명하는 자가 매우 많아 다 기록할 수가 없다. 이날 모인 자리에서 신설서원의 원장을 추천하였는데
수망(首望)
에 생원
김하진(金夏鎭)
,
부망
에 생원
유경휘(柳慶輝)
, 말망에 생원
이후천(李厚天)
이 추천되어 말망인 이후천이 채택되었다. 이때 진사 이후천은 마침 교촌(校村)에 있었다.
조사(曹司)
에게 관사에
망기(望記)
를 보내고, 서원의 이름을
도연서원(陶淵書院)
으로 결정하였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도연일기(陶淵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미상
주제 : 마을과 서원, 공동 의논
시기 : 1703-02-02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분쟁일기
인물 : 김중안, 이후천
참고자료링크 :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
◆ 조선시대 서원의 신설 논의와 절차
사색당파인 남인(南人)은 동인(東人)에서 분파하였으며, 학문적으로는 이황(李滉)의 학통을 잇고, 지역적으로는 안동을 중심으로 한다. 남인은 현종대 예송(禮訟)을 거친 후 숙종이 즉위하자 정권을 잡았다. 그러다가 1680년(숙종 6), 허적의 아들 허견의 역모 사건으로 권력을 잃었다(庚申換局). 이때 허적·윤휴·이원정·이하진 등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유배되었다. 이 사건 이후로, 당파간의 정권 교체, 정국 변동은 매우 격렬하게 진행되는데, 남인들은 1689년(숙종 15)에 권력을 차지했다가(己巳換局) 1694년에 서인들에게 권력을 잃었다(甲戌換局). 기사환국 후 권력을 장악한 남인의 주요한 인물로는 민암·권대운·김덕원(金德遠)·이담명(李聃命) 등을 들 수 있다. 이 무렵, 활동한 영남 출신의 주요 인물로는 이현일(李玄逸)을 꼽을 수 있다. 그를 대표하는 활동은 무엇보다 이이의 성리설을 비판하고 이황의 학설을 옹호하는 작업을 본격적으로 펼친 점이다. 갑술환국 후 남인의 정권 참여는 대단히 어렵게 되었다. 이때 활약하였던 이현일에게 학문을 배운 사람들을 중심으로하여 김시온의 서원설립 논의가 있었다. 표은(瓢隱) 김시온(金是榲)의 서원을 신설하느냐 합향하느냐의 논의하다가 신설을 결정하였다. 김시온은 퇴계학파로서 유우잠(柳友潛), 이준(李埈), 장흥효(張興孝), 이시명(李時明) 등과 교류하였던 인물이다. 그러므로 안동에서 많은 남인계 사림들의 공의를 얻어 서원을 신설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서원의 이름을 도연서원(陶淵書院)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새로 원장을 채택하였다. 일반적으로 서원의 임원은 원장 1인, 재임 2인을 두는데 서원을 세우기로 결정하고 건립되기전에 원장을 먼저 선출하였다고 한다. 원장은 대외적으로 서원을 실질적으로 대표하고 서원의 대소사를 관장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가벼이 교체해서는 안 되며, 모든 원유(院儒)들이 존경하고 경외해야 할 인물이다. 원장의 임기는 보통 1~2년이었다. 원장은 향중에서 학덕과 명망을 갖춘 생원·진사·참봉 등의 하급 관료와 유학 등에서 선출하였지만, 유학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였다. 원장의 선출은 서원의 유림에 의해 자율적으로 선출되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지방관이 여러 원장을 역임하는 경우도 있었다. 서원을 신설하기로 하고 신설서원의 원장을 추천하였는데 세명을 추천하여 세 번째로 추천된 생원인 이후천(李厚天)이 원장으로 채택되었다. 세명의 후보를 놓고 사림들이 투표방식에 의하여 원장을 채택한 것이다. 그런데 원자우보에 오르고 채택된 이후천은 이 모임에 참석하지 않았었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향교에서 3일은 유고하다 하여 2일로 사림들이 회합하는 날짜를 정하여 향중으로 통지하였다. 이 날이 되자 각 서원과 사림에서 회합에 참석한 사람이 140명이었다. 진사 김중안金重安·이성귀李成龜·이속李이 반수班首가 되고, 생원 남초형南楚衡·유학 금최琴最가 공사원이 되어, 신설하느냐 합향하느냐, 두 가지 의제로 종일 반복 논의하여 마침내 신설하기로 결정하였다. 도내에 통문을 발송하니, 통문을 짓는 일은 이용징李龍徵·유석태柳錫泰가, 통문을 베끼는 일은 김귀석金龜錫·권경운權景運이 맡았다. 그 통문은 다음과 같다.
“우리 표은 김 선생은 태평성대의 훌륭한 자질로 마음이 광풍제월光風霽月 같았으며, 법규를 따르고 명예와 절조를 높이 생각함이, 봉황이 천 길 높이 나는 기상 같았습니다. 병자호란丙子胡亂의 난리를 당하여서는 의분이 북받쳐 눈물을 흘리며 동해에 빠져 죽으려 하였으나 실행하지 못하였다. 표은은 세상에 나아갈 생각을 버리고 영원히 산림에 들어가 은거하며 스스로 자신을 감추고 세상에 드러내지 않으려 하였다. 오직 위기지학爲己之學에 마음을 두고 날마다 낙건洛建의 여러 책들을 탐구하여 학문을 하는 표준으로 삼았다. 그 공부하는 방법은 연평지결延平旨訣에서 본받은 것이 많았습니다. 순수하고 아름다운 용모와 부드럽고 온화한 기운은 듣는 사람은 공경심이 일어나고 보는 사람을 감복시켰습니다. 모두가 사림들이 지켜야 할 법칙이며 사문斯文의 표준이 되었으니, 다만 산림에 은거하여 세상을 피하는 청아한 풍격일 뿐만이 아니었습니다.
관련 멀티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사림의 뜻을 모아 표은 김시온의 서원건립을 발의하다
경상북도 안동시
2
서원을 이루려던 재목, 비에 떠내려가다 - 조정의 서원건립...
1703-06-04
경상북도 안동시
3
목수와 장정 수십 명, 서원 건립을 위해 벌목을 시작하다
1703-03-22
경상북도 안동시
4
서원건립공사 업무 분담 회의 - 각 공사 분담과 담당 간부...
1703-03-21
경상북도 안동시
5
도통 쉽지 않은 기와 제작 - 기와를 굽는 도중 가마가 무...
1723-08-10
경상북도 안동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