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사람들과의 교유와 어울림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지방관, 관청과의 공조와 대립
지역 사업의 추진과 운영
지역사회내의 정치와 갈등
지역사회의 사건과 재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질병과 의료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전쟁, 혼란의 기록
> 피난과 궁핍의 기록
페이스북
스크랩
피난길, 비내리는 5월의 아침에 태어난 왕세자의 아이
1592년 5월 12일, 큰비가 내리고 있었다. 세자(광해군)와
세자빈(柳氏)
은 피란하는 왕실을 따라 평양에 왔다. 이날 사시(巳時) 정삼각(正三刻), 오늘날로 말하자면 10시 45분 왕세자의
빈궁
이 아이를 낳았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피난행록(避難行錄)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정탁(鄭琢)
주제 : 전쟁과 피란, 피란과 출산
시기 : 1592-05-12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평안남도 평양시
일기분류 : 전쟁일기
인물 : 왕세자, 빈궁
참고자료링크 :
조선왕조실록
◆ 광해군의 알려지지 않은 아들
이 기록을 제외하고 어떠한 기록(왕실 족보까지도)에도 왕세자빈이 1592년에 아기를 낳았다는 기록이 없다. 광해군의 아들은 『선조실록』 1598년 12월 5일 세 번째 기사에 ‘원손’(元孫)이 탄생했다는 기록이 있고, 그가 바로 인조반정 후 죽은 광해군의 장자 이지(李?, 1598~1623)이다. 이지가 인조반정 후 폐세자로 격하되고, 강화도의 위리안치 때 땅굴을 파고 도망가려다 들켜 결국은 목을 매고 자결하였다. 이때 폐세자빈 박씨도 자결하고, 어머니 폐비 유씨도 이 해 병이 걸려 죽는다.
일반적으로 알려지기는 광해군에게 세 아들이 있었는데, 장자를 제외하고는 다 어려서 죽었다고 한다. 현재 왕실 족보에 아들은 이지 한 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 둘째 부인 숙의 윤씨에게서 한 명의 딸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약포 정탁의 이 기록도 다른 식으로 해석할 방법이 없다. 이 때 광해군이 18세, 세자빈이 20세, 그리고 1587년 두 사람 간 혼인을 맺은 것으로 보아 충분히 아이를 낳을 수 있다.
정탁의 기록이 정확하다면 이때 딸을 낳았거나, 혹 아들이든 딸이든 낳았어도 1592년 그 해에 죽어 왕실 족보에도 못 올랐을 가능성이 있다. 전쟁 상황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정쟁에 휘말린 대상은 아니었을 것이나, 이날 이후 며칠 되지 않아 왕후와 함께 함흥으로 피란간 점, 그리고 함경도쪽에 왜적이 들어와 다시 왕후는 선조를 따르고 세자빈은 광해군을 따라 험난한 여정을 겪었다는 점 등을 보면 빈궁은 산후 조리도 못했음은 물론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아기가 혹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정탁의 기록은 왕조실록보다 정확할 가능성이 크고(특히 『선조실록』은 전란으로 사초(史草)가 사라져 여러 사람의 기록과 문집을 토대로 함), 그가 왕세자를 직접 호종하였기에 이 사건은 역사에 드러나지 않은 실증 역사일 수 있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정보
十二日辛未.
大雨. 已正三刻, 王世子嬪宮解産.
◆ 원문 번역
5월 12일(신미)
十二日辛未.
큰비가 내렸다. 사시(巳時) 정삼각(正三刻)에 왕세자의 빈궁께서 해산을 하셨다.
大雨. 已正三刻, 王世子嬪宮解産.
신종수(申從壽)가 영변(寧邊)에서 와서 만났는데, 모시로 만든 융의(戎衣: 군복)와 바쳐 입는 옷 한 벌을 주었으며, 병사(兵使) 이윤덕(李潤德)이 하얀 모시 융의(戎衣) 한 벌을 부쳐왔다.
○申從壽自寧邊來見, 與苧戎衣裏衣一襲, 兵使李潤德寄白苧戎衣一襲.
그래픽
광해군 가계도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험난함이 예상되는 왕세자의 앞길, 세자빈이 만나 함께 하다
1592-06-17
평안북도 희천군
2
18세의 세자, 전란을 뚫고 남쪽으로 향하다
1592-06-20
평안남도 영원군
3
광해군이 안동에 온다는 소식을 듣다
1618-06-19
경상북도 안동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