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전쟁, 혼란의 기록
>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페이스북
스크랩
왕의 뜻을 따를 수 없어 황공하나이다 - 왕과 왕세자의 엇갈린 인사 발령
1592년 8월 1일 왕세자(광해군) 일행은
성천(成川)
으로 가는 도중
곡산(谷山)
에 잠시 머물렀다. 일행이 곡산에 머무는 도중 의주에 있는 행재소에서 인사를 발령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런데 행재소에서 인사 발령을 한 사람은 바로 왕세자를 호위하는 장수인
김우고(金友皐)
였다. 김우고 이외에도 왕세자를 호위하는 장수들은
이시언(李時言)
,
이일(李鎰)
,
정희현(鄭希賢)
등이 있었다. 하지만 전시(戰時)의 다급함과 백성들을 호응에 보답하기 위해 왕세자는 자신의 호위 장수들을 대부분을 다른 직책 또는 전투에 임하게 하였다. 7월에는 이시언을 황해도방어사(黃海道防禦使)에 임명하였다. 또한 이일은 평양을 들도 재탈환하기 위해 그를 따르는 많은 부하 장수들과 함께 7월 4일 평양 인근으로 파견하였다. 그리고 정희현은 근자에
강동(江東)
의 여울물이 점차 얕아 져 왜적이 그 쪽으로 침입할까 염려스러워 군사들을 이끌고 가 강동을 방어하라고 명령을 내린다.
하지만 이때는 왕세자 그 자신도 선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조정(朝廷)이었다. 더욱이 왜적들에게 둘러싸인 왕세자의 호위는 매우 중요하였다. 왕세자는 김우고를 제외하고 자신을 호위하고 있는 장수 대부분을 왜적에 대한 방어와 공격에 투입하였다. 그런데 행재소의 명령대로 김우고를 함경방어사(咸鏡防禦使)에 임명을 하면 왕세자의 행차를 호위할 장수가 한 사람도 없게 되는 것이다. 신료들은 바로 이 점이 걱정되었다. 또한 이전에 행재소에서는
이천(李薦)
을 황해방어사로 임명한다고 하였고, 그
교지(敎旨)
도 내려왔다. 행재소의 명령을 따르자면 황해도방어사로 왕세자가 파견한 이시언과 이천을 임무 교대시키면 되는 일이기도 하지만, 이천 역시 왜적을 방어하러 갔다가 아직 돌아오지도 못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행재소에서 시행한 인사를 분조에서 그대로 시행하기란 어려웠다.
신료들은 할 수 없이 선조에게 “위급할 때마다 조처하는 일에 대해 하나하나 아뢰지 못하고, 이와 같이 일이 서로 어긋난 경우에 이르렀으니 지극히 황공하나이다”라고 장계를 올렸다. 그럼에도 왕세자가 시행한 인사 정책을 그대로 추진하였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피난행록(避難行錄)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정탁(鄭琢)
주제 : 분쟁과 조정, 국정운영의 갈등
시기 : ( 미상 ) ~ 1592-08-01
장소 : 황해북도 곡산군
일기분류 : 전쟁일기
인물 : 김우고, 이시언, 이일, 정희현
참고자료링크 :
웹진 담談 13호
조선왕조실록
◆ 중복된 인사발령
1592년 7월 말 경 왕세자 광해는 강원도 이천에서 전쟁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때에 왜적들이 왕세자가 있는 곳을 공격해 와 할 수 없이 황해도 성천으로 옮겨갈 생각을 하고 7월 28일 성천으로 출발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8월 1일 곡산현에 이르렀는데, 이때 자신을 호위하고 있는 장수 김우고가 함경방어사에 임명되었다는 소식을 접한다. 왕세자와 왕세자를 따른 신료들은 직접 전쟁을 수행하고 있던 터라 백성들의 민심이나 세세한 정황들을 직접 체험하고 있었다. 이에 근거하여 왕세자와 신료들은 직접 인사를 시행하였다. 물론 주요 핵심 위치의 인사는 의주에 있는 선조에게 모두 보고하였다. 그렇지만 의주 행재소에서 보는 인사의 관점과 왕세자가 보는 인사의 관점은 다를 수밖에 없었고, 이 때문에 인사가 겹치거나 다르게 발령이 되었다. 하지만 이 당시 인사는 대부분 왕세자가 발령하는 대로 되었다. 사실 선조는 이때 왕세자에게 대리섭정을 명한 부분도 있고 또 왕세자가 직접 전쟁 수행을 담당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후 이 부분에 대한 문책 등은 없었다. 그리고 또 중요한 자리에 대한 인사를 왕세자는 대부분 임시 발령으로 임명하였고 이후 선조도 정식 발령을 내리기도 한다. 이 일이 있고 나서도 왕세자와 행재소 간에 서로 다른 인사가 종종 발생한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592년 8월 1일(무자)
八月初一日戊子.
출발하여 곡산(谷山)에 묵었다.
發行, 宿于谷山.
이 날, 다시 장계 두 편을 행재소에 올렸다.
○是日. 又封狀啓二道于行在所.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의 계본(啓本: 장계)이 지나가는 길에 변경의 위급한 소식을 알고자 함에 급하여 동궁께 아뢰고 열어 보고 다시 봉하여 올려 보냈으니 지극히 황송하나이다. 호성감(湖城監) 이주(李柱)와 도검찰사(都檢察使) 이양원(李陽元)이 처결하여 올린 첩정(牒呈)에 서몽린(徐夢麟)이 반역을 꾀했다는 항목은 사태가 중대한 것이므로 함께 봉하여 올립니다.
내의원(內醫院) 의관 남응명(南應命)의 말에서는 개천(价川) 땅에 이르러 말이 없어 낙후한 뒤에 동행인 조영선(趙英璿) 및 내의원 고직(庫直: 고지기, 창고지기)과 서로 헤어져 오직 탕약기(湯藥器)인 은솥[銀鼎] 하나, 천자은탕관(天字銀湯罐) 하나, 황자은평초아(黃字銀平招兒) 하나, 은쇄초아(銀鎖招兒) 하나를 가지고 와 행재소에 올리려 했다고 하나, 군적(群賊)들이 사방에 가득한 시기에 행여 적을 만나 이를 잃을까 염려하여 남응명이 가지고 있다가 잠시 보관하여 두었다고 합니다.
상서 부직장(尙瑞副直長) 성오(成澳)가 부험(符驗)을 가지고 왔다가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 한응례(韓應禮)와 일시에 그것을 가지고 돌아갔다고 하니, 무사히 도착했는지 알지 못하여 매우 근심스럽습니다.
○全羅道觀察使啓本來過, 急於欲知邊報, 稟于東宮, 開見, 還封授送, 至爲惶恐. 湖城監柱·都檢察使李陽元處秘密牒呈內, 徐夢麟謀逆一款, 事繫重大, 故同封上送. 內醫院官南應命言內, 到价川地, 無馬落後, 與同行趙英璿及本院庫直相失, 渠獨湯藥器銀鼎一·天字銀湯罐一·黃字銀平招兒一·銀鎖招兒一, 齎持來納云, 欲爲入送, 而當此群賊, 遍滿之時, 恐有逢賊見失之患, 還授應命, 姑爲留置. 尙瑞副直長成澳, 持符驗來現, 與義禁府都事韓應禮, 一時入送, 未知無事得達與否, 至爲憫慮.
삼가 겸 사복(兼司僕) 이희정(李希貞)이 지닌 문서를 살펴보니 김우고(金友皐)를 함경 방어사(咸鏡防禦使)로 임명하신다 하였습니다. 그런데 동궁의 행차를 따르며 배행한 장관 이시언(李時言)은 이전에 본도(本道)의 민심을 때문에 황해도 방어사(黃海道防禦使)로 파견하였고, 이일(李鎰)이 이끄는 부하 장수들은 평양의 적들을 협공하려 전달 4일 이미 떠났으며, 정희현(鄭希賢)은 근자에 강동(江東)의 여울물이 점차 얕아져 적의 진로가 염려스럽다고 하여 그로 하여금 군대를 이끌어 방어하라 하였으며 또한 사태를 주시하며 나아가고 물러나라며 영을 내렸습니다.
행차를 호위하는 장수는 다만 김우고 한 사람에게 달려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만약 그를 함경도로 보낸다면 행차는 외롭고 위태로워 매우 염려가 됩니다. 이천(李薦)이 이천(伊川) 땅에서 낙후된 뒤 오지 못한 이유는 이미 장계를 올려 아뢰었습니다. 그런데 전에 보니 함경도 순찰사(咸鏡道巡察使) 송언신(宋言愼) 이천의 아들 이희성(李希聖)으로 하여금 그의 아버지를 재촉하여 곧장 영흥부(永興府)에 부임하라고 하였다고 하는데, 도로가 막히고 멀다고 합니다. 위급할 때마다 조처하는 일에 대해 하나하나 아뢰지 못하고 이와 같이 일이 서로 어긋난 경우에 이른 것도 있으니 지극히 황공스럽습니다. 이천을 황해 방어사(黃海防禦使)로 임명한다는 교지는 우선 여기에 보관하고 있다가 조정의 조처를 기다리겠습니다. 다른 문서는 황해도 감사(黃海道監司)가 있는 곳으로 바로 보내어 그로 하여금 시행하도록 하겠습니다.
○伏見兼司僕李希貞所持文書, 則金友皐, 咸鏡防禦使差下. 而東宮行次侍陪將官李時言, 前因本道民情黃海道防禦使差送, 李鎰率部下將士, 夾擊平壤之賊, 前四日已爲發行, 鄭希賢近因江東灘水漸淺, 賊路可虞, 使之率軍防守, 亦令相機進退. 行次護衛之將, 只仗友皐一人. 今若發送, 行次孤危, 極爲憫慮. 李薦伊川落後不來之由, 曾已啓聞. 而前見咸鏡道巡察使宋言愼, 則令其子李希聖, 催促其父, 劃卽赴任于永興府云, 而道路阻遠. 臨急措處之事, 不得一一啓稟, 致此牴牾, 極爲惶恐. 李薦黃海防禦使差除諭旨, 姑留于此, 以待朝廷處置. 他文書, 則黃海道監司處, 卽爲馳送, 使之施行矣.
이미지
교지
류성룡 교지
류운룡 교지
그래픽
행재소와 분조의 인사발령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아들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홀로 망명하려던 임금, 갈 곳이 ...
1592-06-13
평안북도 영변군
2
왕은 북쪽으로, 왕세자는 남쪽으로 - 왕세자, 정국의 수습...
1592-06-01
평안남도 평양시, 평안북도...
3
왕세자, 임금의 교서와 인장을 맞이하여 정식으로 예를 행하...
1592-10-02
평안남도 성천군
4
왕세자, 쉴틈없이 전시 상황의 국사를 돌보다
1592-12-29
평안북도 영변군
5
전란 중에 성천에 제 2의 조정이 꾸려지자, 백성들이 찾아...
1592-08-04
평안남도 성천군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