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전쟁, 혼란의 기록
>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페이스북
스크랩
성난 평양 백성들, 목숨걸고 왕의 피난길을 막아서다
1592년 5월 7일, 선조는 왜적들의 난을 피해 평양에 도착하였다. 그 후 선조는 정치적으로 여러 인사를 단행하였다. 비록 여러 가지로 정세는 어수선했지만 선조는 평양에 머물며 백성들을 위로하는가 하면, 한편으로는 과거를 실시하여 군사들을 충원하려 하였다.
그런데 6월 1일 임진강 방어에 실패했다는 도순찰사(都巡察使)
김명원(金命元)
의 장계가 이르렀다. 행재소의 경계는 삼엄해지고 급한 마음에 선조는 파직했던
유성룡(柳成龍)
을 다시 불러들이기까지 하였다. 그럼에도 아직 여유로운 수가 있었다. 그것은 바로 대동강이 적을 막아주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선조는 마음을 놓을 수만은 없었다.
이에 6월 6일
내전(內殿)
과
세자빈
을 보다 안전한 함흥부(咸興府)로 곡절 끝에 보냈다. 또한 명나라에서 온 관료들을 맞이하여 조선의 상황을 설명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6월 8일 왜적들이 대동강에 나타나자 선조는 덜컥 겁을 먹었다. 선조는 곧장 파천하려 하였다.
다음 날인 6월 9일 대가(大駕, 왕의 행차)가 영변으로 출발하려 하였다. 그러자 평양의 백성들이 왕의 행차를 막아섰다. 비록 왕을 호위하는 무사들이 있었지만 그들은 평양 백성들의 민심 역시 흉흉하고도 사나워 함부로 진압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고, 선조도 그러했다.
6월 6일 내전이 함흥으로 갈 때도 백성들은 내전을 시종하기 위해 먼저 나아가는 하인들을 겁박하고, 호조판서
홍여순(洪汝淳)
은 성난 백성들에게 두들겨 맞아 부축을 받고 돌아오기도 하였다. 이러한 일들은 백성들이 왕의 행차가 떠날까 염려하여 먼저 막은 것이다. 왕의 행차가 평양을 떠나면 평양은 반드시 적들에게 함락될 것이란 것을 백성들은 알고 있었다. 그러므로 백성들의 입장에서는 극렬하고도 난폭하게 왕의 행차를 막아선 것이다.
6월 9일 결국 왕의 행차는 평양을 떠나지 못하였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피난행록(避難行錄)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정탁(鄭琢)
주제 : 분쟁과 조정, 민관 갈등
시기 : 1592-05-07 ~ 1592-06-09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평안남도 평양시
일기분류 : 전쟁일기
인물 : 선조, 유성룡, 김명원, 평양 백성, 홍여순
참고자료링크 :
웹진 담談 35호
웹진 담談 35호
조선왕조실록
◆ 평양에서의 임금 피란
임진왜란 초기 선조가 왜적을 피해 서울을 떠날 때는 백성들이 마을과 거리에서 울거나 통곡을 하였다. 그런데 선조가 평양을 떠날 때 백성들의 행동은 달랐다. 실질적인 행동으로 왕의 행차를 저지한 것이다. 적들이 대동강까지 밀고 오기 전 선조가 6월 6일 왕후를 먼저 피란시키자 평양의 백성들은 왕도 피란할 것임을 예상하였다. 이 때문에 백성들은 왕후를 모시는 신료와 궁녀들 일행에게만 폭력을 가해 이를 저지하려 하였지만 왕후는 피란을 하였다. 그리고 6월 8일 왜적들이 대동강 가에 출몰하자 선조는 6월 9일 곧장 몽진하려 하였다. 평양 백성들은 아예 실력으로 왕의 행차를 저지하였고, 이날 왕의 행차는 평양을 떠나지 못한다. 평양의 백성들은 왕이 피란하면 평양성이 함락되리란 것을 모두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때 선조조차도 백성들을 밀고 나갈 수 없으리란 사실을 알고 행차를 멈추었다. 그러나 이틀 후인 6월 11일 선조는 결국 평양을 따돌린 체 의주로 향했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5월 7일(병인)
初七月丙寅.
상께서 낮에 중화(中和)에 머무셨다가 평양에 묵었으며, 계속 머무셨다.
上午駐中和, 宿平壤仍留.
1592년 6월 1일(기축)
六月初一日己丑.
임진강 방어에 실패했다는 도순찰사(都巡察使) 김명원(金命元)의 장계가 이르러 행재소의 경계가 삼엄해졌다. 전 영의정 유성용(柳成龍)은 다시 풍원부원군(豐原府院君)으로 서용되었다.
臨津失守, 都巡察使金命元狀啓至, 行在所戒嚴. 前領相柳成龍, 復敍爲豐原府院君.
6월 6일(갑오)
初六日甲午.
말을 돌려 받는 일로 연복(連福)을 숙천으로 보냈다. 바로 이날 내전(內殿)에서 출발하여 함흥부(咸興府)로 갔는데, 유홍(兪泓)과 최황(崔滉)이 배행(陪行)하였다. 명나라 관료가 돌아갔다.
以推馬事, 送連福於肅川. 是日, 內殿發行, 向咸興府, 兪泓·崔滉陪行. 唐官還.
이인득(李仁壽)의 집에서 관노 응길(應吉)의 집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날 밤 이질에 걸려, 거의 죽다가 살아났다.
○自李仁壽家, 移寓于官奴應吉家. 是夜患痢, 幾絶而蘇.
6월 8일(병신)
初八日丙申.
왜적들이 대동강에 나타나 강변을 넘어왔다.
倭賊來現大同江越邊。
6월 9일(정유)
初九日丁酉.
대가(大駕)가 영변부(寧邊府)로 출발하려 하자, 본부(本府: 평양부)의 군민(軍民)들이 무리를 이루어 길을 막고서는 떠나지 마시라고 극력 주청을 올렸다. 결국에는 대가가 떠나지 못했다.
大駕將發向寧邊府, 本府軍民, 成羣遮道, 力請不發. 未果行.
이미지
류성룡 초상화
그래픽
비 내리는 한밤중에 떠난...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왕의 피란 결정을 묵인했던 영의정, 탄식했던 좌의정 모두가...
1592-04-30
황해도 개성시
2
피난길에 오른 왕, 무거운 왕의 짐을 아들에게 벗어버리려 ...
1592-06-13
평안북도 영변군
3
규정을 위반한 좌수, 마을의 논의를 통해 파직되다
1620-07-09
경상북도 안동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