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전쟁, 혼란의 기록
>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페이스북
스크랩
백성들의 믿음을 잃지 마소서! - 민심이 왕세자를 남쪽으로 이끌다
1592년 11월 2일, 왜적의 핍박으로 평안남도
성천(成川)
을 떠난 왕세자와
분조(分朝)
의 신료 일행들은 평안남도 숙천(肅川)에 도착하였다. 숙천으로 오는 길 위에서
도원수(都元帥)
김명원(金命元)
과 평안감사
이원익(李元翼)
이 왕세자를 배알하고 인사드렸다.
다음 날인 11월 3일은 숙천에 머문 왕세자에게
유성룡(柳成龍)
이 찾아와 배알하고 안부를 여쭈었다. 왕세자는 숙천에 오기까지 여러 고을을 다니면서 백성들을 격려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분조가 있어야 할 곳을 찾았다. 지금 머무르고 있는 숙천이나 안주(安州)·정주(定州)는 모두 명나라 군대가 주둔하거나 지나간 곳이다. 이곳에 분조가 있으면 명나라 장수들은 분명 왕세자에게 군수품을 요구하거나 자신들의 편의를 봐달라고 요구할 것이 분명하다. 게다가 왕세자 광해군은 아직 명으로부터 왕세자로서의 봉작(封爵)도 받지 못한 상태여서 명나라 장수들이 광해군을 왕세자로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었다. 이에 분조의 신료들은 분조가 평안북도 영변(寧邊)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왕세자는 후방에 있기 보다는 적과 마딱드리고 있는 평안남도
용강(龍岡)
으로 나아가고자 하였다. 세자는 이미
심충겸(沈忠謙)
을 용강에 파견하여 사정을 정탐하도록 하였다. 그러면서 시간은 며칠이 흘렀다.
11월 7일 세자는 안주로 갔다. 또 다시 며칠이 흐른 11월 11일 안주에서 영변으로 가려고 하였다. 그러자 세자를 모시던 관료와 호위를 맡은 장졸들이 뜰 앞에 모여 물러나지 말 것을 호소하였다. 그러자 세자는 “줄곧 물러나기만 하여 백성들의 믿음을 잃는구나”라고 탄식하였고, 이에 세자를 모신 분조의 신료들조차 의견이 나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되자 대세는 세자 일행이 영변으로 가서는 안 된다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에 분조의 모든 인원은 다시 숙천으로 돌아왔다.
11월 12일 세자 일행이 영유(永柔 평안남도, 오늘날의 평원)로 들어갔는데, 마침 정탐을 보냈던 심충겸을 노상에서 만나게 되었고, 심충겸은 그 길로 다시 왕세자를 모시게 되었다.
11월 13일 증산(甑山 평안남도)에 도착하였는데, 날씨가 추워 일행들이 모두 고생을 하였다. 하지만 민심은 세자 일행을 남쪽으로 이끌었고, 11월 15일 함종(咸從 평안남도)에 도착하였으며, 11월 16일 마침내 용강에 도착하였다. 세자는 도착하자마자 용강산성에서 지냈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피난행록(避難行錄)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정탁(鄭琢)
주제 : 전쟁과 피란, 제2조정 활동과 이동
시기 : 1592-11-02 ~ 1592-11-16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평안남도 성천군
일기분류 : 전쟁일기
인물 : 왕세자, 김명원, 이원익, 유성룡, 심충겸
참고자료링크 :
웹진 담談 13호
조선왕조실록
◆ 분조의 이동
임진왜란 중 왕세자가 왕과 분리되어 따로 조정을 꾸민 날이 1592년 6월 14일이다. 이후 왕세자는 강원도 이천으로 내려와 선조를 대신하여 국무를 총괄하게 된다. 그런데 왕세자가 있던 강원도 이천이 적의 공격을 받게 되자 왕세자의 1598년 7월 28일 강원도 이천을 떠난다. 그리고 다시 평안남도 성천에 도착하여 국사를 총괄하게 되는데, 성천에 도착한 날이 8월 4일이다. 8월 4일 이후 두 달 넘게 성천에서 선조를 대신하여 대리섭정을 하였으나, 함경도쪽으로 진출한 왜적들이 평양이 있는 서쪽으로 내려온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이는 서쪽(평양)의 왜적과 북쪽(함경도)의 왜적에게 끼인 상태가 되어 버린 것인데, 이에 급하게 적을 피하여 다른 곳으로 옮기려고 하였다. 이때가 10월 25일이다.
이 이후 왕세자 일행은 평양 북쪽을 감싸며 행차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도에 신료들이 영변으로 옮기자는 말도 있었으나, 이는 적에게 밀려 조정이 물러나는 형세였다. 이미 서울을 적에게 내어주고 조정을 물린 경험을 체험한 세자는 비록 제2의 조정이라 할 수 있는 분조라 할지라도 물러나는 것을 싫어하였다. 이에 세자는 과감히 용강으로 갈 것을 결정한다. 용강은 비록 평안남도에 속하지만 서해에 접해 있으며 오히려 평양보다 남쪽이라 할 수 있었다. 세자는 이후 해주나 강화도 등으로 옮겨 군무(軍務)에 더욱 철저히 대처하려 하였으나, 이미 계절은 겨울로 접어들었고 바다로 통하는 수로가 얼음으로 막혀 있어 쉽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용강으로 간 것은 백성들의 바람에 부응하고, 조정을 뒤로 물리지 않겠다는 세자의 의지였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1월 2일(정사)
初二日丁巳.
숙천(肅川)에서 묵었다. 도원수(都元帥) 김명원(金命元)과 본도(本道) 감사(監司) 이원익(李元翼)이 길에서 동궁을 배알하였다.
宿肅川. 都元帥金命元·本道監司李元翼, 路謁東宮.
11월 3일(무오)
初三日戊午.
풍원부원군(豐原府院君) 유성룡(柳成龍)이 와서 동궁을 배알하였다.
豐原府院君, 來謁東宮.
이날 다시 장계 한 편을 행재소에 올렸다.
○是日, 又封狀啓一道于行在所.
어제 장흥령(長興令) 장형(張逈)이 행재소에서 돌아온 것을 통해 삼가 전하의 옥체가 강녕하심을 알아 이루 기뻐마지 않습니다. 신들은 동궁을 모시고 순천(順川)에서 지금 숙천부(肅川府)에 도착하였습니다. 동궁께서는 각 진관(鎭管: 조선 시대 지방 방위 조직 단위)에 머물면서 여러 고을을 격려하려 하였지만, 숙천부와 안주(安州)·정주(定州) 두 곳은 모두 명나라 장수가 지나간 길이므로 형세가 오래 머물지 못하여 할 수 없이 영변(寧邊)에 머무르려 합니다. 용강(龍岡)의 형세를 자세히 살피는 일에 관해서는 이미 심충겸(沈忠謙)을 보내어 정탐을 하고 돌아오기를 잠시 기다려 전하의 결정을 따를 계획입니다. 그런데 명나라 장수가 이곳을 지나갈 때 동궁께서는 간절하고도 절박한 뜻을 드러내시려 하셨으나, 서로가 만날 때 혹시라도 불편할까 하여 그렇게 해야 할지 여부를 우러러 여쭈옵니다.
이전에 명나라 장수가 50일 동안 휴전을 하자고 하였는데 이에 적을 토벌하는 일에 시일이 지연되어 장수는 늙고 병졸은 나태하며 군량미는 점차 고갈됩니다. 만약 이 추운 계절에 맞춰 빨리 적을 토벌하지 않는다면 후일을 도모하기 어려울 염려가 있을까 합니다. 지금은 명나라 장수가 휴전을 협약한 기한이 이미 지나버렸으니 명나라 군대가 신속하게 남하하지 않으면 뒷날 후회할 일을 만들 것입니다. 여러 장수들에게 명하여 대책을 세워 적을 토벌함에 완전히 소탕하도록 하는 것이 마땅하오니, 조정에서 급하게 의론을 하시어 때를 놓치지 않게 하기를 바라마지 않습니다.
성천(成川)에 있는 관부(官府)는 서쪽의 적과 북쪽의 적이 서로 만나는 길에 있으며, 강도 얼어 이미 건널 수 있고 게다가 성곽조차 없으니 방비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런데다 부사(府使) 이제민(李齊閔)은 군대의 전략에 관한 일을 잘 이해하지 못하여 계략을 내 놓을 때 혹 소략할까 매우 염려스럽습니다. 그러므로 여조(麗朝)의 법식에 따라 판관(判官)의 자리를 임시로 설치하여 주부(主簿) 박진남(朴震男)을 관리로 임명하여 오로지 적이 올 요충지만 지키도록 맡기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사변(事變)이 일어난 후 도망치고 숨은 무사들이 매우 많습니다. 비록 이 병사들을 부지런히 불러 모아도 한 사람도 응하는 사람이 없으니 병력을 모으는 방도가 그리 넓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조정에서 본도(本道)에 과거를 실시히여 이미 수 천의 병력이 모여 있습니다. 다른 도(道)에서도 본도의 예를 따라 시간을 잘 정해 과거를 거행하는 것이 진실로 편리하고 이익이 될 것입니다. 동궁께서 행차를 하심에 성천에 머물러 계실 때에는 서쪽과 북쪽의 적들 사이에 끼어 있어 형세가 외롭고 위태로웠으므로 본부(本府)의 8·9월 강변(江邊: 압록강)에 입직을 서야 하는 군사들 가운데 부방(赴防: 압록강에 파견할 경비 병력)을 제외하고는 모두 저하를 호위하였는데, 저하의 행궁을 옮길 때 각 지역의 방어와 시위를 담당하던 병졸의 수가 부족하여 어쩔 수 없이 11월 12월 성천에 입직을 서야 하는 군사들 가운데 전례에 따라 부방(赴防)을 제외하고 세자저하를 호위하였습니다. 윤경원(尹慶元)과 진세운(陳世雲)이 삭녕에서 적에게 기습을 당한 변고에서 전사하였는데, 보내 주었던 은(銀)과 철(鐵)을 유실하였으나, 고산(高山) 역리(驛吏) 신지(辛祉)가 한 덩이를 찾아 보냈는데, 감사의 군관인 경롱(慶龍)이 일시에 싸가지고 와 중부 참봉(中部參奉) 박문해(朴文海)에게 요구하는대로 주어서 올려 보내라 하였다 합니다.
○昨因長興令張逈回還, 伏審聖體康寧, 無任欣抃之至. 臣等陪侍東宮, 自順川, 今到肅川府. 東宮欲留各鎭管, 勸勵諸邑, 本府及安定兩州, 皆是唐將所經之路, 勢難久留, 不得已欲駐寧邊. 以龍岡形勢詳細看審事, 已爲發送沈忠謙, 姑待探還, 定奪計料. 而唐將過去之時, 東宮欲爲出見, 懇陳切迫之意, 而相見之際, 恐或非便, 當行與否, 玆以仰稟. 前以唐將五十日之限, 久稽討賊之擧, 師老卒惰, 兵糧將竭. 若不趁當此沍寒之節, 急急致討, 則將爲難圖之患. 今則約限已過, 天兵若不速下, 恐貽後時之悔. 令諸將設策, 侵攻期於勦滅似當, 自朝廷作急商確, 毋*失期會伏望. 成川爲府, 當西北賊路之衝, 江氷已合, 且無城郭, 防守甚難. 而府使李齊閔, 不解武事, 策應之際, 恐致疏虞, 極爲可慮. 故依麗朝例, 權設判官, 以主簿朴震男權差, 專委把截之事, 何如? 事變之後, 武士逃竄者甚多. 雖勤呼召, 無一應者, 聚軍之路未廣. 故朝廷設科本道, 已聚累千, 其餘各道, 亦依本道之例, 乘隙擧行, 允爲便益. 東宮行次, 留駐成川之日, 介於西北兩賊之間, 形勢孤危, 故本府八九月江邊立番軍士除赴防待衛, 而移駕之時, 各處防守衛卒不足, 不得已十一月十二月立番成川軍士, 依前除赴防侍衛矣。尹慶元·陳世雲等死於朔寧之變, 所齎銀鐵遺失, 高山驛吏辛祉覓送一塊, 監司軍官慶龍一時齎來,以中部參奉朴文海準授上送事。
11월 7일(임술)
初七日壬戌.
안주(安州)에 도착하였다.
到安州.
11월 11일(병인)
十一日丙寅.
안주(安州)에서 영변(寧邊)으로 가려 하였으나 여러 사람들의 의견이 일치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숙천(肅川)으로 돌아왔다. 낮에는 운암원(雲巖院)에서 머물렀고, 밤에는 숙천부(肅川府)에 묵었다.
自安州將發向寧邊, 而羣議不一, 不得已還詣肅川. 晝停于雲巖院, 夕宿于本府.
이 날, 다시 장계 한 편을 행재소에 올렸다.
○是日, 又封狀啓一道于行在所.
인천 부사(仁川府使) 윤건(尹健)과 안성 군수(安城郡守) 이몽태(李夢台)는 삭녕(朔寧)에서 적의 습격으로 죽었습니다. 철원 부사(鐵原府使) 김협(金?? *車+夾 = ‘협’으로 읽겠음)은 철원부에서 왜적과 교통을 한 자를 잡아 참형에 처하였는데 그 자식들이 왜적과 붙어 작당하여 김협을 죽이려 하니, 이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 피하려 하였으나 형편이 여의치 않아 여전히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그를 인천(仁川)으로 자리를 옮기고, 철원은 이유직(李唯直)이 대신 맡으며, 안성 군수(安城郡守)는 송계선(宋繼祖)을 파견하소서.
동궁께서 머물려 하시는 곳은 영변(寧邊)과 강화(江華) 두 곳이온데, 이는 이미 장계를 올려 여쭈었습니다. 안주(安州)에서 명을 기다리려 했으나 안주가 너무나도 피폐한데다가 명나라 군사가 직접 닫는 길이어서 그 형세가 오래 머물기 어렵습니다. 영변으로 옮기려 할 즈음에 동궁을 모시고 따르던 여러 관료들과 호위를 맡으며 따라가던 사졸들이 뜰에 모여 호소를 하니 동궁께서 “줄곧 물러나기만 하여 백성들의 믿음을 잃는구나”라고 여기셨습니다. 해로로 통하는 길 역시 얼음이 떠다녀서 또한 다른 곳으로 가기 어렵습니다. 여러 정황이 답답하고 막혀 있어 가려해도 길이 막혀 있고, 인심 또한 이와 같아 감히 저하를 막지 못하여 어쩔 수 없이 용강(龍岡)으로 향하여 황해도[海西] 지역에 이르려 하였는데, 만약 강화에 도달할 수 없다면 해주(海州)에 머물면서 여러 형편을 헤아리려 하나, 여러 가지 정황이 절박하여 명이 내려지기도 전에 곧장 옮기는 것이 매우 송구합니다.
○仁川府使尹健·安城郡守李夢台, 死於朔寧之變. 鐵原府使金??, 捕斬府民交通倭賊者, 其子附賊, 欲殺??, 以此避在他境, 勢難仍居其職. 移授仁川, 鐵原則以李唯直代之, 安城郡守, 則以宋繼祖權差矣. 東宮留駐之地, 將寧邊·江華二府, 曾已狀稟. 待命安州, 而本州凋弊已極, 加以唐兵直路, 勢難久留. 移駐寧邊之際, 陪從諸宮, 扈衛士卒, 盈庭號訴, 以爲“一向退縮, 坐失民望.” 海路流澌, 則又難他適. 羣情憫鬱, 至欲遮路, 人心如此, 不敢沮遏, 不得已發向龍岡, 擬達於海西, 如未能得扺江華, 則欲留海州計料, 爲衆*情所迫, 命下之前, 徑自發去, 極爲未安矣.
11월 12일(정묘)
十二日丁卯.
영유(永柔)에서 묵었다. 심충겸(沈忠謙)이 용강(龍岡)에서 돌아오는 길에 노상에서 세자가 탄 수레를 만나 모시게 되었다.
宿永柔. 沈忠謙自龍岡回程, 因護鶴駕於路上.
11월 13일(무진)
十三日戊辰.
증산(甑山)에서 하루를 묵었다. 이 날 날씨가 매우 추워 일행들이 고생하였다.
宿甑山. 時天寒甚, 一行苦之.
판윤(判尹) 김수(金晬)가 경상감사(慶尙監司)에서 자리를 옮겨 대조(大朝)로 지나 가다가 동궁을 배알하였다.
○判尹金晬自慶尙監司遞來向大朝, 過謁東宮.
11월 15일(경오)
十五日庚午.
함종(咸從)에서 묵었다.
宿咸從.
11월 16일(신미)
十六日辛未.
용강(龍岡)에 도착하였다. 왕세자께서는 산성에 머무셨다.
到龍岡. 王世子駐山城.
이미지
류성룡 초상화
이원익 영정(소수서원)
이원익 영정(국립중앙박물...
류성룡 선조제문
류성룡 투구
류성룡 갑주
류성룡 유서통
류성룡 관자
류성룡 갓끈
류성룡 가죽신(흑혜)
평양 생사당 구장 이원익...
호성공신도상 이원익 영정
관감당(觀感堂) 입구
관감당(觀感堂)
관감당(觀感堂)
탄금암(彈琴岩)과 측백나...
탄금암(彈琴岩)
오리영우(梧里影宇) 편액
오리 이원익 종택 입구
오리 이원익 종택 내부 ...
오리 이원익 종택의 생활...
오리 이원익 종택 장독대...
오리 이원익 종택 측문
충현서원지(忠賢書院址) ...
충현서원지(忠賢書院址)
충현서원지 기념물
충현관
충현관
인조묘정배향교서(仁祖廟庭...
유서(遺書)
계해사궤장연첩 (癸亥賜几...
오리집(梧里集)
녹표
그래픽
분조의 이동상황(용강)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다시 시작된 왕세자의 잠행 - 조정의 틀을 갖추고, 이천을...
1592-07-11
강원도 이천군
2
오늘밤은 관리의 집에서, 내일밤은 관아에서 - 왜구를 피해...
1592-07-28
강원도 이천군, 황해북도 ...
3
왕세자, 적군의 위협으로 이천의 임시조정을 떠나며 회한에 ...
강원도 이천군
4
왕세자, 길에서 나랏일을 돌보다
1592-08-02
황해북도 곡산군, 평안남도...
5
휴전협정 중 적의 도발 - 위태로워진 왕세자, 조정의 이동...
평안남도 성천군
6
비내리는 밤에 세자빈이, 바람부는 날에 왕세자가 성천을 떠...
1592-10-17
평안남도 성천군
7
왕세자, 용강산성의 추위를 벗어나 남쪽으로 전진하려 하다
1592-11-16
평안남도 용강군
8
눈내리는 겨울, 어디로 가야할 것인가 - 왕세자의 행보에 ...
1592-11-16
평안남도 용강군
9
홍역을 앓고 난 왕세자, 조정을 영변으로 옮기다
1592-12-24
평안남도 용강군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