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지략가가 마주앉은 풍경 - 유성룡의 소매 속 지도와 명나라 장수가 부채에 써내려간 시
1592년 12월 29일 왕세자의 분조(分朝) 일행은 안주(安州) 등을 거쳐 평안북도 영변(寧邊)에 도착하였다. 영변에 도착한 왕세자 광해군은 오던 길에 머물러 있던 명나라 장수들에게 왕세자로서 위문을 해야 했다. 이에 1593년 1월 3일 좌찬성 정탁(鄭琢)을 시켜 안주에 있는 명나라 장수 이여송(李如松)을 문안케 하였다. 정탁은 급히 안주로 가서 이여송을 문안하였다. 그런데 당시 명나라 장수 이여송과 체찰사(體察使) 유성룡(柳成龍)은 안주에서 함께 평양 탈환 작전을 논의하고 있었다. 정탁은 돌아와 그들이 논의했던 일을 1월 5일 승정원(承政院)을 왕세자에게 보고 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593년 1월 3일 제독 이여송이 안주에 왔다. 그는 오자마자 통역관 진효남(秦孝男)을 불러 체찰사 유성룡에게 가서 “적의 형세는 어떠하오?”라고 물어보도록 하였다. 이 말을 들은 유성룡은 곧바로 관대(冠帶)를 갖추고서 제독이 있는 막사 앞으로 나아갔다. 그리고는 통역관을 통해 다음과 같이 고하라고 하였다.
“깊고 어두운 밤 감히 배알을 청해서는 아니 되나 일이 군사기밀과 관련되어 있어 대인의 앞에 나아가 대인이 물어보는 것에 따라 말씀드리려 합니다.”
이여송은 “깊은 밤인들 무슨 상관이 있겠습니까?라고 말하고서는 자기 역시 관대를 착용하고서는 유성룡과 만나기를 청하였다. 이때 이여송을 유성룡을 앉아서 맞이하였고 또한 유성룡에게도 서로 앉아서 이야기를 하자고 청하였다.
유성룡은 자리에 앉고서는 소매 속에서 지도 한 장을 꺼내 탁자 위에 펼쳐 놓고서는 제독 이여송에게 보여 주었다. 이 지도는 평양 지도였다. 이여송은 이 지도를 한참 보더니 평양성의 정양문(正陽門)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말하였다.
“이쪽의 형세가 병사들이 진공할 수 있겠소.”
유성룡이 대답하였다.
“제독의 말씀이 옳습니다.”
유성룡이 이어서 계속 말하였다.
“우리 군사들은 전투를 익히지 않아 앉거나 일어서거나 나아가거나 물러서는 진법(陣法)을 알지 못합니다. 만약 그들을 몰아서 선봉을 맡긴다면 군율을 어기는 자가 많을 것입니다. 원컨대 대인께서 군령(軍令)을 되풀이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익히게 한 뒤 우리 조선의 군사들을 쓰시기 바랍니다.”
이에 제독 이여송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평양성 바깥의 산 아래는 마땅히 우리의 군사들이 먼저 잠복해 있고 그대 나라의 병사들로 적을 유인하여 바깥으로 나오게 하여 닥치는대로 격파하여 남김없이 섬멸할 것이오. 만약 적이 나오지 않는다면 대군(大軍)을 진격시켜 무너뜨릴 수도 있소.”
유성룡은 염려스러움에 한 마디 하였다.
“제가 평양성에 있을 때 늘 적들이 대동강변에서 포 쏘는 것을 보았는데, 포환이 성 안으로 떨어지니 그 포환의 기세가 아주 맹렬합니다. 제독께서도 이 점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그러자 이여송은 별일이 아니라는 듯 대꾸하였다.
“왜적의 포환은 5리를 넘지 못하고, 멀면 그 기세가 약하여 사람을 살상하는 데 이르지 못하오. 우리의 포환은 5리를 넘어 날아가는데다가 또한 사람을 살상할 수 있기에 왜적의 포환은 염려할 바 못되오.”
그리고는 계속 말을 이었다.
“내 듣자 하니 그대 나라 사람 가운데 적에게 붙은 자가 많다 하니, 전투가 시작되면 투항하는 사람은 죽이지 않는다는 깃발을 한 곳에 세운다면 그대 나라 사람 가운데 왜적에게 붙은 자들은 모두가 반드시 급히 돌아 올 것이오. 평양성의 적들을 소탕한다면 그대 나라에서 산림으로 숨은 자들도 두 눈을 부릅뜨고 팔을 걷어 떨쳐 나오지 않을 자가 없을 것이오. 군대를 이끌고서 전투를 하려는 것은 짧은 시간에 적을 섬멸하려는 것이오. 왜적들을 다 섬멸하고 나서 2월(1593년 2월)의 어느 날이면 국왕(선조)이 도성으로 돌아갈 것이니 승리의 개선가가 군사들 사이에 퍼질 것이오.”
잠시 머뭇거리다가 이여송은 다시 말을 하였다.
“나의 선조는 본시 조선 사람이오. 아버지는 내가 조선으로 길을 떠날 때 나에게 ‘너는 지금 가서 부지런히 힘을 써서 빨리 적을 없애고 국왕을 도성에 회복시켜 놓고 오너라’라고 말씀하시었소.
유성룡과 이여송은 자리에서 일어섰다. 그리고는 예의를 갖춰 서로 인사를 하였다. 유성룡은 이여송의 막사에서 나와 자신의 처소로 돌아갔다.
유성룡이 돌아간 뒤에도 이여송은 유성룡에게 자신의 결의를 보여주고 싶었다. 그래서 부채에다 시를 써서 유성룡에게 보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군사를 이끌고 밤새 압록강을 건넌 일은 提兵星夜渡江干
삼한이 편안하지 못하기 소식 때문이었네 爲說三韓國未安
밝은 군주 날마다 전장 소식을 기다리는데 明主日縣旌節報
미천한 신하는 밤새도록 술잔이나 들이키네 微臣夜釋酒杯歡
살기 도는 봄이라도 마음은 더욱 장쾌하니 春來殺氣心愈壯
이번 가면 요망한 것의 뼛속까지 서늘케 하리 此去妖氛骨已寒
농으로라도 감히 승산이 없다 말하겠는가 談笑敢言非勝事
꿈속에서도 말을 타고 전장을 휘젓고 있네 夢中常憶跨征鞍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