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조선의 신하 정탁, 명나라의 군사 호환 - 서로 만나 전쟁의 정세를 논하다
1593년 9월 말, 임진왜란 때문에 명나라에서 파견된 대군들이 9월 초·중순을 전후로 하여 모두 돌아갔다. 그러나 아직 왜적들은 남쪽 해안에 남아 있었고, 명나라는 총병(摠兵) 유정(劉綎)의 일만 여 병사를 남겨 이를 막고 있었다. 이때 의주에는 유정의 군사(軍師 작전 참모)인 호환(胡煥)이 병 때문에 경상도로 가지 못하고 머물러 치료를 하고 있었다. 그리고 좌찬성(左贊成) 정탁(鄭琢)은 자국으로 돌아가는 명나라 군사들을 전송하러 의주에 있었다. 이 두 사람은 의주에서 서로 만나 한 눈에 서로의 사람됨을 알아보았다. 정탁은 조선의 신하로서, 호환은 유정의 군사(軍師)로서 전쟁의 정세를 논하였다.
정탁은 아직까지 왜적의 정세가 걱정스러웠다. 비록 왜적들이 남쪽 해안가로 밀려나 곤경에 빠진 채 머무르고 있지만, 이 전쟁은 왜적들을 완전히 소탕하지 못하면 끝이 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정탁은 마음이 급하였다. 왜적들을 계속 놔두면 다시 힘을 길러 침략을 할 것임 분명하였다. 이에 정탁은 호환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만약 왜적들이 군사들을 배로 늘이고 사기를 높여 기세가 대등한 위치에 오른다면 그들은 며칠이 되지 않아 반드시 다시 침입해 올 것입니다. 유정 대인께서 적들이 몹시 지쳐 고단하고 움츠려 물러나 있을 때를 틈타 명나라의 사천(四川)과 절강(浙江)의 병력을 증원하고서 또 우리나라 병력과 협력하여 적을 무찌른다면 진실로 최고의 계책입니다. 사천과 절강의 병력은 유정 대인의 힘이라면 충분히 지휘할 수 있습니다. 경략(經略) 송응창(宋應昌)과 제독(提督) 이여송(李如松)은 이미 철수를 하였습니다. 지금의 긴요한 일들은 유정 대인만이 명나라 조정에 보고를 올리고 군사들을 지휘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병력을 증원하여 소탕하지 않으면 방어하고 지키는 일이 실로 쉽지 않을 것 입니다.”
정탁의 방안은 단 하나였다. 바로 병력의 증원이다. 병력을 증원하는 데 있어서도 명나라의 요동 쪽에 있는 병력들이 아니라 명나라 남쪽인 사천과 절강의 병력을 증원해 달라는 것이었다. 특히 절강성은 왜적으로부터 침입을 많이 받은 곳이라 그곳 출신의 병력들은 왜적과의 전투에 뛰어났다.
호환의 생각도 정탁과 마찬가지였다. 호환은 자국인 명나라가 경솔하게 강화(講和)만 믿고서는 철수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는 다만 유정의 1만 6천 병사들에게만 방어 책무를 맡기는 것은 잘못된 책략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이 일은 유정이라고 결정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호환도 1593년 겨울이나 1594년 1월에 왜적을 처단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먼저 정탁에게 하나를 충고를 하였다.
“무릇 외국으로부터의 모욕은 반드시 막아야 하고, 내치(內治) 마땅히 닦아야 합니다. 일전에 왜적들이 국경을 침입하였을 때 귀방(貴邦)의 백성들이 기꺼이 왜적의 신하가 되고 첩이 되었다고 들었는데, 이는 어찌된 까닭이겠습니까! 시름과 고통에 젖은 백성들이 난리 속에서 살아가려는 그 형세가 그러한 것이지 그들의 잘못이 아닙니다. 지금 귀방께서 해야 할 일은 귀방의 군왕과 재상들이 속히 와신상담(臥薪嘗膽)하여 옛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도모하며 인심(人心)의 수습을 급선무로 하고, 흩어진 백성들을 불러 모으며, 부상당한 이를 부축하고 죽은 이를 문상하며, 어려움에 처한 신하를 뒤받쳐 주고 전사(戰死)한 군졸들을 구휼하여 백성들의 여망을 거의 위로하고 사기(士氣)를 돋우고 함부로 세금을 걷는 것을 일체 엄히 금하는 데까지 이른다면 그 때서야 일을 다 한 것입니다.”
이 말은 사실 군왕부터 잘해야 한다는 말이다. 실로 정탁의 귀에는 거슬리는 말이지만 맞는 말이기도 하였다. 그러면서 호환은 정탁에게 약속을 한다.
“삼가 존옹(尊翁 정탁)이 가르친 것을 유정 장군과 명나라 조정에 전달할 것이니, 만약 확정된 의론이라면 하나하나 명시하시고 숨기거나 꺼리시지 않으신다면 거의 대사(大事)를 그릇되게 않을 것입니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