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존애원, 그 탄생의 시초
1598년, 임진왜란은 겨우 끝났다. 그러나 전란이 수습되기도 전에 정치는 또다시 붕당의 세력 싸움으로 정국이 흘러가고 있었다. 정경세(鄭經世), 그는 관직에 몸을 담고 있었지만 그 역시 붕당의 세력 싸움에 밀려, 아니 정인홍(鄭仁弘)에 밀려 조정에서 쫓겨났다. 무엇보다 서애 류성룡도 탄핵을 받고 있었고, 그 역시 사직소를 올리고는 고향으로 돌아왔다. 류성룡과 정경세는 사제지간이었다. 정경세는 스승의 탄핵을 막지도 못하고, 자기 역시 스승과 함께 탄핵을 받았다. 스승 류성룡은 조정에 나갈 생각 없이 고향인 안동 풍산에 낙향하였다. 그래서 정경세 역시 사직상소를 올리고는 고향으로 돌아왔다. 1598년 겨울, 정경세는 다시 청송부사(靑松府使)에 임명되었다는 교지가 내려졌지만 벼슬자리에 나가지 않았다. 이후 또다시 벼슬이 내려졌지만 그저 고향 상주에 머물며 마음을 가다듬을 따름이었다.
하지만 아무리 정치를 떠나 있어도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은 변할 수 없었다. 더군다나 조정에서 이미 녹을 먹었던 것에 크나큰 책임감을 느끼고 있었다. 그는 비록 유학자였지만 보살과 같은 자비심을 지녔고, 세상을 경영하여 백성들을 구할 포부를 지니고 있었다.
1599년, 정경세는 여전히 상주 집에 머물러 있었다. 그는 비록 조정에서 물러나 있지만 여전히 조선의 관리였다. 관리로서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유학자로서 그는 백성들의 안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조정에서의 업무나 지방관으로서의 업무는 아니지만 백성을 구제할 생각에 집에 있으면서도 늘 먼 하늘만 보면서 험난한 시대를 구원할 방책을 궁구해 보았다. 백성들의 건강한 삶을 지키는 것이 급선무라 생각했다. 그의 머리에 마침 번득이며 지나치는 사람이 있었다. 바로 성람(成覽)이었다. 성람은 유학자이면서 동시에 의술에 뛰어났다. 그는 유의(儒醫)였다. 그와 함께라면 무슨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1599년 어느 날, 정경세는 성람을 찾아갔다. 사실 성람을 찾아 백성들을 구제할 방책을 의논하기 위해서였다. 정경세가 성람에게 말하였다.
“우리 사람들이란 혈기로 이루어진 몸입니다. 추위와 더위는 타는 것은 물론 400여 가지나 되는 병에 걸리기도 합니다. 그런데 약이라고는 한두 가지도 마련되어 있지 않아 비명에 죽는 일이 허다합니다. 이것이 위험하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무너지려는 벼랑 아래나 담장 아래에 서 있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지금 성람 선생께서는 유학에 통달해 있습니다. 게다가 의술에도 뛰어나십니다. 아마 선생께서 가지시는 마음은 신령한 사당에서 자신의 안위를 기원하는 것이 아니라 백성들의 안위를 기원하시는 옛 선현들의 마음과 같으시겠지요. 그런데 사람들은 병에 걸려 있습니다. 이것을 단지 몸의 한 부분만 아프다고 보고서 그냥 놔두어서야 되겠습니까! 지금 저와 뜻을 함께하는 사람들과 약재를 모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병을 진료하고 약을 처방하는 것은 선생이 맡으셔야겠습니다.”
이렇게 말하고 나니 막상 서로의 논의가 아닌 일방적인 통보처럼 되어 버렸다. 그럼에도 성람은 뒤통수를 한 대 맞은 느낌이었다. 성람 역시 정경세처럼 마음은 가지고 있었지만 이렇게 현실에 곧장 실행하려는 생각에는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성람이 생각하기에 정경세의 말은 모두 옳았다. 이를 당장 시행하는 데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정경세는 사람들을 모아 약재를 모으고 성람은 직접 진료를 시작했다. 아직 ‘존애원(存愛院)’이라는 이름은 없었어도, 조선 최초의 사립의료시설은 이렇게 마련된 것이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