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이웃과 어울리는 삶
자연재해와 지역사회의 대응
주고받는 호의와 재화
죽은 자에 대한 기억과 예의
즐거운 경사와 잔치
지역사회의 공간 정비
학문으로 맺은 인연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공동체
> 자연재해와 지역사회의 대응
페이스북
스크랩
안동 태사묘만 화재를 면하다
1721년 3월 23일, 권상일이 들은 이야기였다. 안동에서 일주일 전 큰 바람이 일었다고 한다. 그런데 서문 밖에 어느 작은 집에서 불이 났는데 그로 인하여 불이 성 벽을 넘어 성 안쪽으로 옮겨 붙었다고 한다. 성안으로 옮겨진 불은 삽시간에 400여 채를 모두 불태우고 관아도 피해를 입어 객사와 공수청 이외에는 모두 불타 버렸다고 한다.
그런데 유독
태사묘(太師廟)
만은 살아남았다고 한다. 물론 태사묘에 부속된 재사(齋舍)와 신문(神門)은 불타버렸다.
태사묘 인근의 대동관청과 동서의 두 창고, 기타 부고(府庫), 누각과 향청도 모두 불타버렸는데 태사묘만은 화염에 덮여 부랴부랴 위판을 무학당(武學堂)으로 옮겼는데 사강 가옥 세 칸은 유독 불타지 않았다고 하니 화기(火氣)가 번지지 않은 일은 아주 이상하다고 할 수 있다. 태사묘의 자손으로서는 경축하고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다음날 태사묘의 세 집안 자손 5~60여 명이 일제히 모여 위판을 다시 본묘(本廟)에 봉안하고 그 참에 중건도감을 선출하였다고 한다. 다시 지어야 했기 때문이다. 불타 죽은 소와 말, 닭과 개는 헤아릴 수 없이 많았고 그 날 죽은 사람도 28명이라고 하며 다음 날 죽은 사람도 10여 명이라고 하니 불기운에 화상을 입은 사람은 무수히 많았다고 한다. 정말 놀랍고 끔찍한 일이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청대일기(淸臺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권상일(權相一 )
주제 : 화재
시기 : 1721-03-23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사행일기
인물 : 권상일
참고자료링크 :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
◆ 조선시대 화재
전근대 사회의 건축물은 화재에 상당히 취약했다. 서양의 경우에는 상당수 건축이 석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현대 사회에서도 유럽의 경우에는 성을 중심으로 상당히 많은 건축물들이 남아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고려시대 이전의 건축물은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남아 있다고 하더라도 석재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현재 남아 있는 목조 건축물은 대부분 조선시대의 것이며 그 중에서도 조선 후기의 것이 압도적으로 많다.
한번 화재가 나기 시작하면 불을 진화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시가지의 경우에는 대부분 초가가 옹기종기 붙어 있었으므로 불이 쉽게 옮겨 붙었다. 지금과는 달리 기와는 그렇게 많지 않았으며 양반이라고 하더라도 초가에 사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목조건축물의 경우 화재에 대비하기 위한 장치들을 고안해내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궁궐에는 곳곳에 우물을 설치해 둔다던가 큰 옹기에 항상 물을 가득 채워두어 언제라도 화재시에 진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했던 것이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신축년(1721, 경종 1) 3월 23일 새벽에 종을 이계(伊溪) 종가에 보냈다. 26일의 5대조 기제사가 우리 집 차례여서 제물을 마련하여 보내야 하기 때문이다. 가친과 자유(子由) 형 형제에게 편지를 썼다. 아침에 종 필(必)이 안동(安東)에서 말을 끌고 돌아와서 가친의 편지를 받았다. 편안히 당도하셨다는 것을 알았다. 또 관찰사가 이달 19일에 안동부에 당도하여 다음날 권호(權浩) 등을 잡아들여 형장을 치고 심문하면서 한차례 곤장을 쳤는데, 칠 때 마다 엄격하게 독촉하였다고 한다. 이어서 옥에 가두고 여드레 안으로 기일을 정하여 파 옮기겠다는 다짐을 받았다고 하니, 시원하고 다행스러움을 말로 다 할 수 없다. 관찰사가 앞뒤의 간악한 진상을 모두 알아차리고 성을 내며 징계하여 다스리자, 해를 넘겨 오래도록 끌던 소송이 이와 같이 시원하게 풀렸으니, 매우 기쁘고 후련하다. 안동 읍내에 이달 16일에 바람이 크게 불었는데, 서문 밖의 한 집에서 불이 나서 그로 인하여 성안으로 옮겨 붙어서 삽시간에 4백여 집이 모두 불타버렸고, 관아도 객사와 공수청(供需廳) 외에는 다 불탔으며, 유독 태사묘(太師廟)만 남았다고 한다.―재사(齋舍)와 신문(神門)은 모두 불탔다― 대동관청(大同官廳)과 동서의 두 창고, 기타 부고(府庫)와 누각 향청(鄕廳) 등과 같은 건물들이 모두 불탔고, 태사묘가 화염에 덮여 부랴부랴 위판을 무학당(武學堂)으로 옮겼는데, 사당 가옥 세 칸은 유독 불타지 않았다고 하니, 화기가 번지지 않은 일은 아주 이상하다. 자손들로서는 경축하고 다행스러움을 더욱 말할 수 없다. 다음날 세 집안 자손들 5·6십 명이 일제히 모여 위판을 본묘(本廟)에 다시 봉안하고 그 참에 중건 도감을 선출하였다고 한다. 불타 죽은 소와 말, 닭과 개들은 헤아릴 수 없고, 그날 죽은 사람들이 28인이고, 다음날 죽은 사람들이 10여 인이며, 그 밖에 불기운에 화상을 입은 자들이 무수하여 잇달아 죽은 자들이 파다하다고 하니, 이것이 시운(時運) 때문인가? 매우 놀랍고 끔찍한 일이다. 밥을 먹은 뒤에 문백(文伯) 형의 만류로 봉서(鳳棲)에 가서 표지를 묻어 둔 곳을 보고 돌아왔다. 저녁때가 지난 뒤에 종 봉(奉)이 말을 끌고 와서 막내 작은 아버지의 편지를 받았다. 배소(陪疏) 일행은 이달 9일에 안보(安保)에서 자고, 10일에 숭선(崇善)에서 잤으며, 11일에 죽산(竹山)에서 자고, 12일에 직곡(直谷)에서 잤으며, 13일에는 비를 맞으며 가서 용인(龍仁) 읍내에서 자고, 14일 아침에 판교(板橋)에 당도하여 그대로 머무르다가 16일에 길을 나서서 한강(漢江) 가에 당도하였는데, 바람을 만나 강을 건널 수 없어서 강촌에서 자고, 17일에 남대문(南大門) 밖에서 아침을 먹고, 아침때가 지난 뒤에 도성 안에 들어갔다고 한다. 소수(疏首)와 몇몇 사람들은 관문 밖에서 임시로 머무르고, 그 나머지는 모두 반촌(泮村)에 머무른다고 한다. 전라(全羅) 소수가 복합(伏閤)한 지 8일 만에 소(疏)를 올리지 못하고 돌아갔고, 이몽인(李夢寅)은 곤장 1백대를 맞고 군졸에 박혀 삼수(三水)로 귀양 갔으며, 두 소색(疏色)은 강릉(江陵)과 삼척(三陟)으로 나뉘어 귀양 갔다고 한다. 승지 김시환(金始煥)이 소를 올려 영의정을 지척하여, “권력이 주상에게 옮겨졌다”, “죄가 종사(宗社)에 관계 된다”는 등의 말이 있었는데, 주상이 비답을 내려, “대신을 침범하여 지척하는 것이 어찌 이다지도 심한가. 내가 매우 분개한다. 사직하지 말고 직무를 살피라.”고 하자, 양사(兩司)가 합계(合啓)하여 멀리 귀양 보내기를 청하였다 하고, 관학(館學)의 소는 또 이어서 소식을 전하겠다고 하였다. 신주백(申周伯)이 역졸을 보내어 내일 용궁(龍宮) 읍에서 자야 할 것이라고 말하였다. 들으니, 관찰사 조태억(趙泰億)이 순시하면서 안동에 당도하여 백일장을 개최하려고 하다가 뜻밖의 화재 때문에 예천(醴泉)으로 옮겨 개최한다고 한다. 오후에 용궁향교에 갔는데, 정락서(鄭洛瑞)가 향교 임원으로 나왔기에 조용히 이야기를 나누면서 잤다. 신주백이 오늘 오지 않았으니, 무슨 사고가 있어서 오지 않는 것인가.
이미지
권상일 간찰
태사묘 전경
태사묘 경모루
태사묘 삼공신 유물 안내...
태사묘 보물각
태사묘 숭보당
태사묘 동재
태사묘 서재
태사묘 안묘당
태사묘 전사청
3D
수총기(水銃器)
마탑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바깥 부엌에 불이 나다
1614-03-08
경상북도 안동시
2
5천 호의 민가가 불에 타다 - 평양의 화재
1804-03-18
평안북도
3
병든 동생의 집이 불에 타다
1645-04-14
경상북도 안동시
4
집에 불이 나다
1628-09-28
경상북도 안동시
5
집을 팔기 싫어 자기 손으로 태워버린 금군별장
1785-06-28
서울특별시
6
궁궐에 불을 낼 뻔한 순라군
1800-05-25
서울특별시 종로구
7
천연두를 피하려다 화마에 당하다
1732-02-09
경상북도 안동시
8
화재와 가난의 이중고
1732-02-11
경상북도 안동시
9
거지아이의 섭섭함이 불러온 참혹한 화재
1732-02-22
경상북도 안동시
10
순영의 화재로 갑옷과 서책이 모두 불타다
1732-05-06
경상북도 안동시
11
도산언행통록을 간행하다
1732-04-07
경상북도 안동시
12
임금의 능에서 발생한 화재, 왕릉을 지키던 자 모조리 잡혀...
1592-03-24
서울특별시
13
산에 올라 불을 끄다
1615-05-03
경상북도 안동시
14
꺼진 불도 다시 보자
1617-03-18
경상북도 안동시
15
조선시대의 소방관, 도처의 화재에 대응하다
1847-01-16
대구광역시
16
화마가 출몰하는 잔인한 3월 - 선조의 산소와 뒷산이 불에...
1604-03-08
경상북도 안동시
17
관찰사의 기우제로 단비를 만나다
1743-05-03
대구광역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