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경제
> 고달픈 세금과 부역
페이스북
스크랩
백성들로 하여금 밥그릇까지 내어놓게 하는 무능한 감사 이시언
1605년 8월 28일, 감사 이시언은 정인홍의
천단(擅斷)
을 두려워한 나머지
반중(泮中)
의
통문
을 감추고 전달하지 않았다.
예안은 물난리를 겪은 뒤로 휩쓸려 남은 게 없을 정도라 누차 연유를 알려서 마침내
동당시(東堂試)
장소로 결정되었다.
놋쇠와 백닥[白楮 : 한지 원료]을 민간에서 차출했는데, 4, 5결(結)에 많게는 10여 냥에 이르니 백성들이 감당할 수가 없다. 식기(食器)까지
응납(應納)
하게 되어 그 강퍅(剛愎 : 깐깐하고 고집이 셈)하고 스스로 잘난 체함이 이와 같으니, 역시 일을 맡아서 처리하는 재능이 없는 까닭이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계암일록(溪巖日錄)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김령(金坽)
주제 : 관리, 조세
시기 : 1605-08-28 ~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감사 이시언, 정인홍
참고자료링크 :
웹진 담談 35호
조선왕조실록
◆ 조선시대 동당시
조선시대에는 생원·진사과와 문과로 구분하고 과거의 본시험을 법제적으로는 문과 또는 대과라 하였으나 관용어로서는 동당시라 하였다.
그리하여 문과초시를 동당초시라 하고 이에 해당하는 지방의 동당향시, 성균관에서의 동당관시 등과 동당초장·동당삼장 등의 용어로 호칭되었다. 또한 문과복시를 동당복시, 문과방목을 동당방목(東堂榜目)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을사년(1605, 선조38) 8월 28일 맑음. 감사 이시언은 정인홍의 천단(擅斷)을 두려워하여 반중(泮中)의 통문을 감추고 전달하지 않았다. 예안(禮安)은 물난리를 겪은 뒤로 휩쓸려 남은 게 없을 정도라 누차 연유를 알려서 마침내 동당시(東堂試) 장소로 결정되었다. 또 놋쇠와 백닥[白楮 : 한지 원료]을 민간에서 차출했는데, 4,5결(結)에 많게는 10여 냥에 이르니 백성들이 감당할 수가 없다. 식기(食器)까지 응납(應納)하게 되어 그 강퍅(剛愎 : 깐깐하고 고집이 셈)하고 스스로 잘난 체함이 이와 같으니, 역시 일을 맡아서 처리하는 재능이 없는 까닭이다.
이미지
놋쇠 요강
놋쇠 그릇
백닥
백닥
정인홍 관계 고문서
정인홍 관계 고문서
정인홍 관계 문적 보관 ...
3D
닥칼
닥칼
쌍발
쌍발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정인홍 문하의 응시생들을 배척하라! - 시험장 잠입 시도와...
1605-08-10
경상북도 안동시
2
역적의 무리를 처벌하시옵소서! - 궐문 앞에 엎드린 영남 ...
1621-06-22
경상북도 안동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