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가정
>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페이스북
스크랩
좀처럼 낫지 않는 폐병, 각종 보약과 지인들의 병문안
김령은 1606년부터 1607년 하반기까지 폐질환을 앓는다.
1606년 7월 20일 용궁(경상북도 예천)에서 동당시를 치르고 예안으로 돌아가는 25일부터 비가 많이 와서 어렵게 집으로 돌아가게 된다. 8월 4일 오후에 날씨가 추워지고 몸이 편치 않더니 6일부터 몹시 아프더니 8일에 김봉길, 평보 형 및 사수 형제, 이지 형제, 이실 등과 술을 마시고 바람을 쐬고는 몸이 더욱 상해서 심하게 아프기 시작한다. 10월 30일경에는 천식 증세가 나타난다.
지인들이 병문안을 오고, 진피, 생강, 오미자, 꿩, 산수유 등의 각종 약재와 한약을 보내준다. 김령은 계속해서 죽력, 보중익기탕, 보중탕, 이진탕, 팔미환, 익위승양탕, 현토단고본환, 활담탕 등을 복용한다. 병이 낫기 전까지 각종 제사에 참여하지 못해 아내가 지내고, 대문밖 출입을 하지 못한다.
1607년 1월 3일에는 갑자기 과식을 한 것같이 배가 더부룩하고 답답하며 가래침과 기침도 나왔다. 결국 가래를 뱉으니 피가 섞여 나왔다. 28일에는 콧물과 가래침이 여전히 나오고 구들이 차가워서인지 대변이 묽어지더니 밤에는 내리 설사를 했다.
병은 더욱 악화되어 3월 2일에는 약을 물어보기 위해서
영천(榮川)
에 사람을 보냈다. 병이 든 뒤로 손바닥과 발바닥에서 나는 열이 불과 같고, 오줌이 붉고 등골도 땅기고 귀에 시끄러운 소리가 들리는 것이 하루도 그렇지 않은 날이 없었다. 담이 결리는 증세는 조금도 줄어들지 않고 원기(元氣)도 소모되고 몸이 고달팠다. 이러한 증세 때문에 기운이 위로 치솟아 숨이 가팔라지고 우려를 자아내게 하여 몸이 좋지 않은 것 같았다. 어깨의 통증도 그치지 않으니 근심스럽고 염려되는 마음이 만 가지나 된다.
4월 13일에는 가슴속이 더부룩하여 고통스러웠다. 소금 끓인 물을 큰 대접으로 1대접 마시고 가래를 조금 토해 냈지만 몸만 고달플 뿐 소용이 없었다.
5월 18일에는 가슴속이 답답하게 막히는 것이 마치 물체 덩어리가 휘저으면서 올라오는 것 같았는데 한참 있으니 곧 진정되었다.
6월 11일, 새벽에 몽정(夢精)을 했다. 염려되고 염려된다. 저녁에 뒤뜰로 나가니
담기(痰氣)
가 더부룩하게 차서 올라왔다.
윤 6월 7일, 어제 저녁부터 치통 증세가 있었는데 오후에 다시 증세가 시작되었다. 살구씨를 구워 물고 있으니 잠시 통증이 멎는 것 같았으나 가슴 속에 담기(痰氣)가 꽉 찼다. 내일 영천에 사람을 보내기 때문에 편지를 쓰는데, 갑자기 오한과 열이 나고 몸이 오싹한 것이 아주 불편했다. 밤새도록 괴롭게 시달렸다. 지극히 걱정되고 걱정된다.
7월 19일, 재채기와 콧물이 그치지 않아 자못 괴롭다.
핫옷
(솜옷)에다 겹옷을 덧입었다. 오시(오전11시~오후1시)쯤 재채기와 콧물이 더욱 심해져 잠시도 멈추지 않았다. 가슴 속도 불쾌했다. 밤에 다시 재채기와 콧물이 나오고 이를 틈타 가슴 속에서 천식이 발작하여 먼저 목구멍이 막히고 호흡이 몹시 민망해져 거의 숨이 막힐 지경이었다. 가슴속이 답답하고 먹먹하여 고통이 극심한데 자리에 누우니 코가 막히고 가슴속이 더부룩하며 가래 꿀꺽거리는 소리가 밤새도록 지속되고 호흡이 곤란하여 잠을 잘 수 없었다. 몹시 고민되고 피곤하다.
7월 28일, 김령은 밥을 먹은 뒤 용보가 돌아가고 피곤하여 자다가 저물녘에 일어나 점심을 먹었다. 조금 있다가 배가 불편하여 뒷간에 가서 내리 설사를 했다. 배가 칼로 내젓는 듯하여 참을 수 없었다. 대개 아침에 소고기 일여덟 점을 먹고, 밥 먹을 때 또 선지를 먹고, 다시 편육을 먹었기 때문일 것이다. 큰 병을 앓고 난 뒤라 기운이 손상되고 위가 약해진 탓에
곽란(癨亂)
을 만나고 설사를 여러 번 하고나니 한기가 들고 떨리며 바로 현기증이 나는 것이 거의 수습을 할 수 없을 지경이었다. 마음과 기운이 아주 괴롭고 피곤하고 눈앞이 급하여 가래가 더 생기는 것은 생각할 겨를도 없어서
양미수(粱米水)
를 많이 마셨으나 토할 수 없었다. 급하게 서숙을 불러와서 살펴주도록 부탁했다. 판사·생원 두 형 및 대이, 덕유(德裕) 등이 모두 왔다. 밤에 두세 차례 설사를 했다.
9월 20일, 병의 증세가 조금 덜하다.
예제(禰祭)
를 처음에는 오늘로 정했다가 병이 낫질 않아 더 몸을 조리하면 직접 지낼 수 있을 것 같아 내일로 물렸다. 하지만 21일에는 병으로 아직도 몸이 고달파 제사를 지낼 수 없어서 집사람을 시켜 대신 지내게 했는데, 몹시 마음이 편치 못하다. 아침에 음복을 나누어 보냈다.
이후 질병은 완화되었고 1609년 8월 17일, 병을 앓은 뒤 처음 내성에 갔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계암일록(溪巖日錄)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김령(金坽)
주제 : 병마, 폐병
시기 : 1606-07-20 ~ 1609-08-17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김령
참고자료링크 :
웹진 담談 35호
조선왕조실록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김령
◆ 조선시대 폐질환과 처방
담배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시기는 약 16세기말에서 17세기 초로 추정되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에 일본으로부터 전래가 됐다고 한다. 구체적인 기록을 살펴보면,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이규경편저)』에는 “담배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1618년이었다”고 기록되어 있고, 『기년통고』, 『대동기년』, 『지양만록』 등 조선시기의 저서에도 담배가 1618년에 전래되었다고 적혀 있다.
그리고 담배에 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에도 있다. 광해 186권 15년 2월 15일 (을해)에 “동래(東萊) 왜관(倭館)에 화재가 발생하여 80칸을 모두 태웠다. 임술년에도 큰 화재가 발생하였다. 왜인들이 담배를 즐겨 피우므로 떨어진 담뱃불로 화재가 일어난 듯하다.”라고 했다. 인조 16년(1638)의 실록 기사에는 다음과 같은 담배에 관한 기록이 나온다.
“담배는 일본에서 생산되는 풀인데 그 잎이 큰 것은 7~8촌쯤 된다. 가늘게 썰어 대나무 통에 담거나 혹은 은이나 주석으로 통을 만들어 담아서 불을 붙여 빨아들이는데, 맛은 쓰고 맵다.… 이 풀(담배)은 병진(1616)·정사(1617) 연간부터 바다를 건너 들어와 피우는 자가 있었으나 많지 않았는데, 신유(1621)·임술년(1622) 이래로는 피우지 않는 사람이 없어 손님을 대하면 번번이 차와 술을 담배로 대신하기 때문에 혹은 연다(煙茶)라고 하고 혹은 연주(煙酒)라고도 하였고, 심지어는 종자를 받아서 서로 교역까지 하였다.” 『인조실록37권, 인조 16년 8월 4일』 이와 같이 당시의 기록에는 담배가 1616년이나 1618년 무렵에 전래되었다고 적혀 있다. 그러나 담배가 전래된 시기는 그 이전으로 추측된다. 조선시대 실학자인 이수광은 1614년 자신이 저술한 『지봉유설』이라는 책에서 “담파고(담배)는 풀이름인데 남령초라고도 불린다. 근래에 일본으로부터 왔으며… 현재 사람들은 그것을 많이 심는다.”라고 적혀있다. 당시에 이미 사람들이 담배를 많이 심었다고 하니 그 이전 시기에 전래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담배와 폐질환
담배 잎에서 12종류의 알칼로이드를 발견하였는데, 그 중에서 니코틴의 함량이 가장 많고 놀리코틴·아나바신·피페리딘 등을 함유하며, 그 밖에도 루틴·유기산·수지·무기질이 들어 있다. 담배 잎이 함유한 성분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니코틴으로 궐련 1개비 속에 0.6∼0.2mg이 들어있다. 담배를 처음 피우거나 너무 많이 피웠을 때 가벼운 구토증·현기증·두통이 생기는 것은 니코틴이 신경을 마비시키기 때문이다. 담배 연기 속에 있는 니코틴은 소량이면 중추 신경을 자극하고 모세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이며 심장 운동을 촉진한다. 니코틴의 양이 증가하면 위의 운동성을 줄이고 임산부의 경우에 태반의 혈액 흐름을 방해한다. 니코틴의 양이 매우 많을 경우에는 신경이 마비되어 사망할 수 있다. 니코틴은 중독성이 헤로인이나 코카인과 같은 마약과 같이 강하다. 그래서 담배를 끊기 어렵다. 담배를 피우면 필터나 파이프가 검게 변한다. 이것은 담뱃진 때문인데, 담뱃진이 바로 타르이다. 타르는 200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담배가 약 880℃로 연소할 때 작은 입자로 연기 속에 존재한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연기 1mℓ속에 0.01∼1.0μm의 입자가 100만 개 이상 들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사람이 호흡을 할 때 기관지 표면에 있는 점막의 섬모는 먼지를 잡아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하는데, 크기가 10μm 이상인 입자는 가래와 함께 밖으로 나오지만, 입자의 크기가 1μm 전후이면 60% 이상이 폐 속으로 그대로 들어간다. 타르 속의 발암 물질은 현재 15종류가 밝혀졌다.
담배가 탈 때에는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가 나온다. 담배 연기 속에는 일산화탄소가 최고 4만 5000ppm이나 들어있다. 공기 중에는 대기 오염이 심하다고 하더라도 50ppm 이하이므로 담배를 피우면 평소보다 매우 많은 양의 일산화탄소가 폐 속으로 들어간다. 일산화탄소는 산소 대신 적혈구에 있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가 몸 속의 여러 기관으로 운반되는 것을 방해한다.
그 외 담배에 들어있는 성분들이다. 비소(살충제로 사용됨), 암모니아(세척제로 사용됨), 부탄(연료로 사용됨), 카드뮴(배터리에 사용됨), 청산가리(맹독성이 있고, 살충제, 쥐약으로 사용됨), 포름알데히드(방부제로 사용됨), 메탄올(연료로 사용됨), 아세톤(페인트 제거제로 사용됨), DDT(살충제로 사용됨), 우레탄(산업용 용제), 비닐클로라이드(PVC원료), 디메칠니트로사민(발암물질), 벤조피렌(발암물질), 페놀, 톨루이딘 등이 들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담배는 건강에 명백히 유해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대표적인 질병이 폐암이다. 외국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35∼84세 남자로 하루 20개비 이상을 피우는 사람은 피우지 않는 사람보다 폐암 발생률이 6배이고, 40개비 이상 피우는 사람은 12.6배나 많이 발생한다. 또 15세 이전부터 피우기 시작한 사람은 20세 전후부터 피우기 시작한 사람보다 폐암 발생률이 5배가 높은데, 폐가 아직 완성되지 않은 어린 시기에는 흡연이 폐에 매우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담배는 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폐쇄성폐질환)와 폐기종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조선에서도 담배로 인한 폐질환은 적어도 인조 이전부터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런 예로 고려대는 치과의사인 정광호씨가 '학봉장군 부부 미라의 고병리학적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600년 전 조선시대 사대부 집안 부부의 생활을 규명한 박사학위 논문을 발표했다. 학봉장군 부부 미라는 2004년 5월 대전시 중구 목달동 조선시대 합장묘에서 발견된 국내 최고(最古)의 부부 미라이고, 이 연구는 최초의 부부 미라 연구이었다. 학봉장군이란 이름의 '학봉'은 남편 미라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계룡자연사박물관에 기증됐기 때문에 붙여졌고, '장군'은 미라의 키가 180㎝에 가까울 정도로 크고 이들의 3대 후손 중 '어모장군(禦侮將軍·정3품)' 벼슬을 한 인물이 있어서 ‘장군’이란 명칭이 붙여졌다.
연구에 따르면, 학봉장군은 1460년쯤, 학봉부인은 1470년쯤 숨을 거둔 것으로 추정되고 당시 나이는 각각 42세, 53세 안팎이었다. 정씨는 “방사성동위원소 분석과 족보 분석에 따르면, 부부는 비슷한 나이였고, 학봉장군이 묻힌 지 10여년 뒤 부인이 같은 무덤에 묻혔으며, 학봉장군은 중증 폐질환을 앓았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정씨는 “당시 사람들이 폐질환에 특효약이라고 해서 많이 달여 먹었던 포황(애기부들 꽃가루)'이 학봉장군의 장기에서 많이 검출됐다”고 말했다. 또 뼈와 치아에서 검출한 DNA 분석을 통해 학봉부인이 오한·발열 등 유행성출혈열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렙토스피라증을 앓았다는 점도 밝혀졌다. 정씨는 “학봉장군 미라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부검 대신 X선과 MRI(자기공명영상) 등 영상의학적 검사와 내시경, 방사성 탄소연대측정법의 현대 과학을 동원해 2년여 간의 연구 끝에 600년 전 비밀을 풀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조선시대 폐질환 민간요법
폐는 오행상 금(金:庚辛)에 해당하는 장기(腸器)이다. 금은 가을을 상징하고 색은 백색을 나타낸다. 폐질환에는 유전적인 요소, 과민성 체질, 허약, 면역 결핍등 제요소가 있는데 호흡곤란, 기침, 숨쉬기가 곤란하고, 땀이 나는 경우가 있게 된다.
1. 가래가 심한 해소 천식일 경우 : 큰 배를 반으로 갈라 속을 도려 낸 후 검은콩을 넣고 포갠 다음, 다려서 즙을 내어 먹으면 좋다.
2. 은행, 행인(꼭지를 딴것), 호두기름을 2:2:1정도의 비율로 하여 밥에 쪄서 말리기를 3번 반복한 후 기름을 짜서 복용하면 특효이다.
3. 노인의 천식 : 호두 살구씨(행인), 생강을 각각 93.75g을 짛어, 꿀로 환을 만들어 3.75g을 취침 전에 먹는다. : 복숭아씨와 살구씨를 같은 비율로 찧은 후 환을 만들어 5-6개 생강탕에 복용하면 효과가 뛰어나다.
4. 보신탕 : 단백질 섭취부족으로 많았던 폐병환자에게 영양 보충식으로 가장 큰 효과를 본 것이 보신탕이었다. 조선시대 문헌에 개고기 요리법이 많이 기술되고 있다. 보신탕을 먹을 때는 들깨가루를 많이 넣어 먹는데 음식궁합으로 보면 매우 합리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들깨가루에는 콜레스테롤치를 떨어뜨리는 불포화지방산이 많기 때문에 개고기중의 콜레스테롤 피해를 덜 수 있고 개고기의 누린내 제거효과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담배는 건강에 명백히 유해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대표적인 질병이 폐암이다. 외국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35∼84세 남자로 하루 20개비 이상을 피우는 사람은 피우지 않는 사람보다 폐암 발생률이 6배이고, 40개비 이상 피우는 사람은 12.6배나 많이 발생한다. 또 15세 이전부터 피우기 시작한 사람은 20세 전후부터 피우기 시작한 사람보다 폐암 발생률이 5배가 높은데, 폐가 아직 완성되지 않은 어린 시기에는 흡연이 폐에 매우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담배는 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폐쇄성폐질환)와 폐기종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조선에서도 담배로 인한 폐질환은 적어도 인조 이전부터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런 예로 고려대는 치과의사인 정광호씨가 '학봉장군 부부 미라의 고병리학적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600년 전 조선시대 사대부 집안 부부의 생활을 규명한 박사학위 논문을 발표했다. 학봉장군 부부 미라는 2004년 5월 대전시 중구 목달동 조선시대 합장묘에서 발견된 국내 최고(最古)의 부부 미라이고, 이 연구는 최초의 부부 미라 연구이었다. 학봉장군이란 이름의 '학봉'은 남편 미라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계룡자연사박물관에 기증됐기 때문에 붙여졌고, '장군'은 미라의 키가 180㎝에 가까울 정도로 크고 이들의 3대 후손 중 '어모장군(禦侮將軍·정3품)' 벼슬을 한 인물이 있어서 ‘장군’이란 명칭이 붙여졌다. 연구에 따르면, 학봉장군은 1460년쯤, 학봉부인은 1470년쯤 숨을 거둔 것으로 추정되고 당시 나이는 각각 42세, 53세 안팎이었다. 정씨는 “방사성동위원소 분석과 족보 분석에 따르면, 부부는 비슷한 나이였고, 학봉장군이 묻힌 지 10여년 뒤 부인이 같은 무덤에 묻혔으며, 학봉장군은 중증 폐질환을 앓았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정씨는 “당시 사람들이 폐질환에 특효약이라고 해서 많이 달여 먹었던 포황(애기부들 꽃가루)'이 학봉장군의 장기에서 많이 검출됐다”고 말했다. 또 뼈와 치아에서 검출한 DNA 분석을 통해 학봉부인이 오한·발열 등 유행성출혈열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렙토스피라증을 앓았다는 점도 밝혀졌다. 정씨는 “학봉장군 미라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부검 대신 X선과 MRI(자기공명영상) 등 영상의학적 검사와 내시경, 방사성 탄소연대측정법의 현대 과학을 동원해 2년여 간의 연구 끝에 600년 전 비밀을 풀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조선시대 폐질환 민간요법 폐는 오행상 금(金:庚辛)에 해당하는 장기(腸器)이다. 금은 가을을 상징하고 색은 백색을 나타낸다. 폐질환에는 유전적인 요소, 과민성 체질, 허약, 면역 결핍등 제요소가 있는데 호흡곤란, 기침, 숨쉬기가 곤란하고, 땀이 나는 경우가 있게 된다. 1. 가래가 심한 해소 천식일 경우 : 큰 배를 반으로 갈라 속을 도려 낸 후 검은콩을 넣고 포갠 다음, 다려서 즙을 내어 먹으면 좋다. 2. 은행, 행인(꼭지를 딴것), 호두기름을 2:2:1정도의 비율로 하여 밥에 쪄서 말리기를 3번 반복한 후 기름을 짜서 복용하면 특효이다. 3. 노인의 천식 : 호두 살구씨(행인), 생강을 각각 93.75g을 짛어, 꿀로 환을 만들어 3.75g을 취침 전에 먹는다. : 복숭아씨와 살구씨를 같은 비율로 찧은 후 환을 만들어 5-6개 생강탕에 복용하면 효과가 뛰어나다. 4. 보신탕 : 단백질 섭취부족으로 많았던 폐병환자에게 영양 보충식으로 가장 큰 효과를 본 것이 보신탕이었다. 조선시대 문헌에 개고기 요리법이 많이 기술되고 있다. 보신탕을 먹을 때는 들깨가루를 많이 넣어 먹는데 음식궁합으로 보면 매우 합리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들깨가루에는 콜레스테롤치를 떨어뜨리는 불포화지방산이 많기 때문에 개고기중의 콜레스테롤 피해를 덜 수 있고 개고기의 누린내 제거효과도 있기 때문이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병오년(1606, 선조39) 7월 20일 흐림. 시험장에 들어갔다. 표제(表題)는 ‘풍인이제(豊人已製)’였고 부제(賦題)는 ‘의인이제(義人已製)’였다. 나이든 유생 네댓 명이 시관에게 시제를 바꾸어 줄 것을 요구하여 새로 시제가 나왔는데, ‘예조(禮曺)에서 서울과 지방의 시험장에 요청하기를, 일체 시제를 바꾸는 것을 금지하여 사자(士子)들의 부박(浮薄)한 습속을 진정시켜야 한다[禮曺請於京外場屋一切勿許改題以定士子浮薄之習]’라는 뜻으로 전(箋)을 지으라는 것이었고, ‘절의(節義)는 천하의 큰 방한(防閑)[節義天下之大閑]’이라는 부제(賦題)가 게시되었다. 여러 사람들이 다 읽어 보기도 전에 놀라고 분통을 터뜨리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서로 연락을 하기를, 시끄럽게 떠들거나 따질 것도 없이 종일 한가롭게 앉아서 날이 저물 때까지 기다렸다가 조용히 시험장을 빠져 나가는 것이 좋겠다고 중론을 모으니, 아무도 어기는 사람이 없었다. 조금 있다가 조즙이 서리(書吏)를 시켜, “여러 유생들은 속히 글을 짓되, 어제처럼 늦게 제출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라고 고함지르게 하자, 시험장에 간혹 동갑들끼리 모이거나 혹은 한가하게 이야기를 늘어놓기도 했다. 해가 막 기울어지자, 부시관인 김상용(金尙容)이 서리들을 불러, “늦도록 글을 짓지 않는 자는 반드시 먹은 마음이 있을 것이니 반드시 와서 말하라”라고 물으니, 모두가 대답하지 않았다. 어두워지자 시관에게 문을 열어 달라고 요청하여 밖으로 나왔다. 정미년 (1607, 선조40) 1월 3일 바람이 불었다. 득복(得福)이를 내성(奈城)으로 보내어 장모님께 문안 드렸다. 영천(榮川)과 용궁(龍宮)에서 사람이 왔는데 두 사람에게서 편지를 전해 받았다. 저녁에 갑자기 과식을 한 것 같이 배가 더부룩하고 답답하며 가래침과 기침도 나왔다. 밤에 자리에 누워도 그러했다. 가래를 뱉으니 피가 섞여 나왔다. 정미년(1607, 선조40) 4월 13일 맑음. 가슴 속이 더부룩하여 고통스럽다. 소금 끓인 물을 큰 대접으로 1대접 마시고 가래를 조금 토해 냈지만 몸만 고달플 뿐 소용이 없었다. 끗돌[唜石]이 영천(榮川)에서 돌아왔다. 끗돌이 편에 전(全) 형이 승양산화탕(升陽散火湯) 5첩(貼)을 사 보냈다. 가외동(加外同)이 용궁(龍宮)에서 돌아왔다. 가외동이 편에 이(李) 형이 산화탕(散火湯) 3복(服), 이중활담탕(理中豁痰湯) 5복 ―1복을 반으로 나눈 것이다―, 조중환(調中丸) 1제(劑) 등을 지어 보냈다. 이달 초에 조정에서 서애(西厓)의 병세가 오래 끈다는 말을 듣고, 내의(內醫)를 보내어 진찰하고 살펴보도록 했는데, 내의는 곧 이희헌(李希憲)이었다. 그는 총명하고 약리(藥理)를 알기 때문에, 내가 이 형이 서애를 문병 가는 기회를 통하여 활담탕에 소자(蘇子 : 차조기의 씨) 등 3가지 약재를 보탠 것을 내의에게 보여 주도록 했다. 성 무주(成茂朱)가 약을 세게 지은 듯하여 1복을 반으로 나누어 조금씩 복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고, 이 형의 의견도 처음에 이와 같아서, 다시 자세하게 약재를 정했는데, 그의 대답이, 재료를 특별히 세게 쓴 것이 아니고 제법(劑法)이 기이한 것 같으니, 모름지기 복용해 보라고 했다 한다. 정미년(1607, 선조40) 5월 18일 맑음. 오시쯤 서촌(西村)에서 김충의(金忠義) 형이 들렀다. 용궁댁 종 난국(蘭局)이 왔는데, 내일 기제사를 담당할 차례이기 때문이다. 익위탕(益胃湯) 2첩 반을 기준하여 합해서 달여 복용했다. 저녁에 가슴 속이 답답하게 막히는 것이 마치 물체 덩어리가 휘저으면서 올라오는 것 같았는데 한참 있으니 곧 진정되었다. 영천(榮川)에서 종 윤손(允孫)이 왔다. 윤손 편에 전 형이 활담탕(豁痰湯) 10첩을 보냈다. 듣자하니, 문경(聞慶)․산양(山陽) 등에 우박이 내려 면화 농사를 모조리 망쳐 놓았고 하도(下道)에도 가뭄으로 인한 재해가 극심하다고 한다. 정미년(1607, 선조40) 6월 11일 새벽에 몽정(夢精)을 했다. 염려되고 염려된다. 저녁에 뒤뜰로 나가니 담기(痰氣)가 더부룩하게 차서 올라 왔다. 정미년(1607, 선조40) 윤6월 7일 흐리고 더웠다. 어제 저녁부터 치통 증세가 있었는데 오후에 다시 증세가 시작되었다. 살구씨를 구워 물고 있으니 잠시 통증이 멎는 것 같았으나 가슴 속에 담기(痰氣)가 꽉 찼다. 내일 영천에 사람을 보내기 때문에 편지를 쓰는데, 갑자기 오한과 열이 나고 몸이 오싹한 것이 아주 불편했다. 밤새도록 괴롭게 시달렸다. 지극히 걱정되고 걱정된다. 정미년(1607, 선조40) 7월 19일 맑음. 날씨가 매우 서늘해졌다. 재재기와 콧물이 그치지 않아 자못 괴롭다. 핫옷에다 겹옷을 덧입었다. 오시쯤 재채기와 콧물이 더욱 심해져 잠시도 멈추지 않았다. 가슴 속도 불쾌했다. 평보 형이 왔고 서숙도 지나는 길에 들렀다. 밤에 다시 재재기와 콧물이 나오고 이를 틈타 가슴 속에서 천식이 발작하여 먼저 목구멍이 막히고 호흡이 몹시 민망해져 거의 숨이 막힐 지경이었다. 가슴 속이 답답하고 먹먹하여 고통이 극심한데 자리에 누우니 코가 막히고 가슴 속이 더부룩하며 가래 꿀꺽거리는 소리가 밤새도록 지속 되고 호흡이 곤란하여 잠을 잘 수 없었다. 몹시 고민되고 피곤하다. 정미년(1607, 선조40) 7월 28일 맑음. 밥을 먹은 뒤 용보가 돌아가고 피곤하여 자다가 저물녘에 일어나 점심을 먹었다. 조금 있다가 배가 불편하여 뒷간에 가서 내리 설사를 했다. 배가 칼로 내젖는 듯하여 참을 수 없었다. 대개 아침에 소고기 일여덟 점을 먹고, 밥 먹을 때 또 선지를 먹고, 다시 편육을 먹었기 때문일 것이다. 큰 병을 앓고 난 뒤라 기운이 손상되고 위가 약해진 탓에 곽란(癨亂)을 만나고 설사를 여러 번 하고나니 한기가 들고 떨리며 바로 현기증이 나는 것이 거의 수습을 할 수 없을 지경이었다. 마음과 기운이 아주 괴롭고 피곤하고 눈앞이 급하여 가래가 더 생기는 것은 생각할 겨를도 없어서 양미수(粱米水)를 많이 마셨으나 토할 수 없었다. 급하게 서숙을 불러 와서 살펴주도록 부탁했다. 판사·생원 두 형 및 대이, 덕유(德裕) 등이 모두 왔다. 밤에 두세 차례 설사를 했다. 정미년(1607, 선조40) 9월 20일 맑음. 병의 증세가 조금 덜하다. 예제(禰祭)를 처음에는 오늘로 정했다가 병이 낫질 않아 더 몸을 조리하면 직접 지낼 수 있을 것 같아 내일로 물렸다.
이미지
꿩
죽력액
죽력 만드는 과정
3D
목두
죽변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관련 이야기 소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