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사람들과의 교유와 어울림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지방관, 관청과의 공조와 대립
지역 사업의 추진과 운영
지역사회내의 정치와 갈등
지역사회의 사건과 재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질병과 의료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사람들과의 교유와 어울림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지방관, 관청과의 공조와 대립
지역 사업의 추진과 운영
지역사회내의 정치와 갈등
지역사회의 사건과 재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공동체
> 사람들과의 교유와 어울림
페이스북
스크랩
철 장인이 수리용 쇠못을 만들어주다
1626년 7월 15일, 을유. 맑음. 권별은 한익길의 집에 갔다가 곧바로 쇠못을 보고 오후에 올라왔다. 초간에 갔다가 해가 진 후에 돌아왔다.
1626년 7월 25일, 을미. 맑음. 권별은 귀래곡
철장(鐵匠)
의 집에 가서 못 90여 개를 만들었다. 저녁을 먹은 후에 초간에 갔다. 밤에 큰비가 내렸다.
1626년 7월 26일, 병신. 맑음. 서까래가 부족하여 수심에 가서 서까래 네 바리를 얻어 와서 곧바로 초간(草澗)으로 갔다. 임이섭이 와서 만나보았다. 저녁에 큰비가 내렸다.
1626년 7월 28일, 무술. 초간에 갔다. 목수 진상이 와서 어제부터 연못의 방죽을 고쳐서 쌓고 있다. 여균·이망이 와서 만나보았다.
1626년 8월 3일, 임인. 맑음. 초간에 가서 제방 고치는 일을 마치고 물을 끌어댔다. 달보·경보·원백·여유가 와서 보고 갔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죽소부군일기(竹所府君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권별(權鼈)
주제 : 교육기관, 향교
시기 : 1626-07-15 ~ 1626-08-03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예천군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권별
참고자료링크 :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
◆ 조선시대 철장
철장(鐵匠)이란 풀무를 차려 놓고 쇠를 달구어 여러 가지 연장을 만드는 대장간에서 일하는 대장장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철장과 같은 의미로 딱쇠, 대장장이, 성냥, 바지, 야장(冶匠)이라는 말도 사용한다. 철장은 청동기의 출현과 동시에 등장하였다. 조선시대의 대장장이의 수는 『경국대전』 공전(工典)에 기록된 것으로 추측하건데 서울에 192명, 지방에 458명의 야장, 즉 대장장이가 각 관서에 배치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정확하지는 않아 보인다. 조선 초기에는 야장이 부족하여 일반군인과 포로로 잡은 왜인(倭人) 야장을 사역시키기도 하였다. 야장은 다시 유철장(鍮鐵匠)·주철장(鑄鐵匠)·수철장(水鐵匠)으로 나누어지고, 그 중 무쇠를 다루는 수철장은 대로야(大爐冶)·중로야(中爐冶)·소로야(小爐冶)로 구분되어 각기 솔거인(率居人)을 거느렸다. 이와 같은 야장의 세분화는 금속가공기술 발달의 결과이며, 이에 따라 조선 후기에 와서 대장장이라고 하면 수철장만을 일컫게 되었다. 그들 중 오로지 관청수공업장에서만 사역당하는 대장장이도 있었지만, 스스로 농기구 등을 만들어 장시(場市)에 상품으로 판매하거나 물물교환으로 생활하면서 관청의 사역에 때때로 응하던 자들이 많았다. 특히, 관청수공업이 붕괴되던 조선 후기에 들어서는 오히려 후자의 경우가 압도적이었으며, 그들은 호조에 장세(匠稅)로 포 한 필을 납부하면 되었다. 그렇지만 실제적으로는 장역(匠役)이 없어지지 않았고, 장세와 함께 큰 부담이 되었으므로 농기구의 생산을 촉진하기 위하여 장세를 면제하려는 정부의 논의도 있었다. 조선 전기 대장장이의 신분은 양인과 천인이었지만, 후기에 들어서는 거의 양인화하여 관청의 사역에서 벗어나는 데 큰 힘이 되었다. 그러나 대장장이라는 천대를 면하지는 못하였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626년 7월 15일. 을유(乙酉) 맑음. 한익길(韓益吉)의 집에 갔다가 곧바로 쇠못을 보고 오후에 올라왔다. 초간(草澗)에 갔다가 해가 진 후에 돌아왔다. 1626년 7월 25일. 을미 맑음. 귀래곡(歸來谷) 철장(鐵匠)의 집에 가서 못 90여 개를 만들었다. 저녁을 먹은 후에 초간(草澗)에 갔다. 밤에 큰비가 내렸다. 1626년 7월 26일. 병신 맑음. 서까래가 부족하여 수심(水深)에 가서 서까래 네 바리를 얻어 와서 곧바로 초간(草澗)으로 갔다. 임이섭(林爾涉)이 와서 만나보았다. 저녁에 큰비가 내렸다. 1626년 7월 28일. 무술 초간(草澗)에 갔다. 목수(木手) 진상(眞祥)이 와서 어제부터 연못의 방죽을 고쳐서 쌓고 있다. 여균(汝均)·이망(以望)이 와서 만나보았다. 1626년 8월 3일. 임인 맑음. 초간(草澗)에 가서 제방 고치는 일을 마치고 물을 끌어댔다. 달보(達甫)·경보(經甫)·원백(元伯)·여유(汝裕)가 와서 보고 갔다.
3D
먹통
풀무
모루
대장간 화덕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태백산 자락 능봉 아래 터를 잡고, 50냥에 목수를 불러오...
1862-03-29
강원도 태백시
2
재사 건설을 감독하다
1578-03-09
경상북도 의성군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