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간신배들의 뼈를 서늘하게 한 윤선도의 상소
1617년 1월 9일, 유학(幼學) 원이곤(元以坤)이 상소하여, 이이첨(李爾瞻)이 과거시험에서 사사로운 농간을 부려 오로지 자기 당(堂) 사람만을 뽑았다고 하자, 이이첨과 그 일당들은 일제히 변명하였고, 오히려 상소한 원이곤만 형신(刑訊)을 당하였다. 정국이 이러하자 당시 서른 살이었던 진사 윤선도(尹善道)가 상소를 올렸다. 그는 상소에서 이이첨의 무리 때문에 나라일이 날로 잘못되어가고 있음을 강력히 주장하고, 이이첨이 권력을 쥐고 함부로 하는 것을 보고도 임금께 아뢰어 조정을 바로잡지 못한 것을 통탄하였다. 이 소가 올라가자 이이첨의 무리들은 크게 놀랐다. 승정원과 양사(兩司) 뿐 아니라 성균관 사학(四學)의 무리들도 윤선도를 죄주어야 한다고 청하며 이이첨을 칭찬하기를 끝없이 하였다. 이이첨을 필두로 한 대북파의 위세와 권력의 융성함이 대단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공론을 속일 수는 없는 일이다. 윤선도의 말은 하늘과 땅의 사람과 귀신이 모두 알만한 바로써, 가깝고 먼 곳에서 이 말을 듣고 통쾌해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그 강직한 기상은 틀림없이 간신배들의 뼈를 서늘하게 하였을 것이다. 주상이 윤선도의 일을 대신들과 의논하라고 명하니, 영의정 기자헌(奇自獻)은 병을 핑계대고 나가지 않았고, 우의정 한효순(韓孝純)은 ‘언로(言路)보다 더 큰일은 없으니 감히 가볍게 의견을 말씀드리지 못한다.’고 하였다. 기자헌이라는 자는 음침하고 간휼하기 짝이 없는 자였다. 윤선도는 상소에서, 이이첨이 과거시험문제를 미리 유출하는 부정행위를 했다는 내용을 자세히 밝혔는데, 이 때 기자헌은 이이첨과 같이 일을 꾸며 아들을 장원급제시킨 자다. 그런데 이제 와서 그 일을 논하라 하니, 그 부끄러움은 과연 어떠하였을까. 그가 수의(收議)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했다. 윤선도의 상소에 힘입어, 이이첨의 권력 독점과 국정 농단을 논박하는 상소가 올라왔으나, 대북파에서도 역시 다투어 상소하여 윤선도를 죄주기를 청하였다. 결국 윤선도는 아주 먼 변방에 안치되었고, 이이첨의 잘못을 고한 자들은 차례로 보복을 당하였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