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임금께 인사하고 서울을 출발하다
1662년 7월 26일, 정태화(鄭太和)는 진하 겸 진주사로 선정되어 청나라에 가게 되었다. 오늘은 대궐에 들어가 임금께 하직 인사를 드리러 갔다. 부사인 허적과 함께 대궐에 들어갔는데, 서장관은 함께 갈 수 없었다.

임금은 초피(豹皮)․단목(丹木)․납약(臘藥)․선자(扇子) 등의 물건을 하사하시면서 이번 사행의 임무를 잘 수행해 달라 당부하였다. 정태화와 허적은 임금 앞에서 사례하며 절을 올리니, 임금이 먼 길의 고생을 미리 위로하고 전송하였다.

청나라에 보낼 문서를 받아 확인을 마친 후 본격적인 여정이 시작되었다. 임금이 친히 내린 술을 받아 마신 이후 길을 떠나는데, 동생인 호조판서와 경기감사가 친히 나왔고, 부사의 아우인 허질 역시 전송하는 자리에 참석하였다. 사현 고갯길을 넘으니 시장의 사람들이 끼리끼리 옆에 모여서 절하고 서로 이별하였는데, 이런 광경은 전에는 보지 못했던 것이었다.

좌의정 원두표와 우의정 정유성을 비롯한 여러 고관대작들이 홍제원에 모여서 떠나는 사행길을 위로해주기 위하여 기다리고 있었다. 이들과 전별의 시간을 가진 이후 길을 재촉하여 창릉의 냇가까지 이르렀다. 그리곤 함께 동행했던 정태화와 허적의 동생을 비롯하여 여러 전송인들과 마지막으로 작별 인사를 나누었다.

다만 동생인 경기감사 정재숭은 벽제역까지 따라와 하루를 함께 묵었다가 이튿날 작별하였다. 무장들부터 호위군관, 그리고 어영청의 군관들과 각 관서의 하인들까지 나와 보지 않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광경이 성대하여 사행을 떠나는 정태화의 마음이 편치 않았다.

나라의 가장 높은 관료인 영의정이 친히 사행을 가는 길이라 벌어진 일일 것이다. 정태화는 자신이 늙은 몸으로 사행의 고된 길을 잘 감당하고, 임무를 무사히 마칠 수 있을지 걱정스러운 마음으로 사행의 첫날밤을 고양 땅에서 묵었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