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이웃과 어울리는 삶
자연재해와 지역사회의 대응
주고받는 호의와 재화
죽은 자에 대한 기억과 예의
즐거운 경사와 잔치
지역사회의 공간 정비
학문으로 맺은 인연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공동체
> 이웃과 어울리는 삶
페이스북
스크랩
김시추가 김상헌의 죄에 대해 크게 떠들다
1638년 9월 26일, 맑고 추운 날씨였다. 오후 늦게 교관 김시추가 김령의 집에 들렀다. 김시추는 김상헌의 죄에 대해 크게 떠들었다. 김상헌은 자기 무리를 심고 권력을 전횡하며 음흉하고 악독하다고 하면서 잔인한 성품까지 지녔다고 험담을 하였다. 나라가 최근 이 지경에 이른 것도 모두 그의 죄라고 했다. 게다가 근래에 오랑캐에게 굴욕을 당한 것을 치욕이라고 하면서 황조를 배반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자기의 이름을 드높이기 위한 수단이라고까지 헐뜯었다.
김령은 물론 김상헌을 소인이라 생각하였지만, 최근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키기 위한 그의 노력은 매우 가상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해 왔다. 때문에 자신의 이름을 높이기 위해 그러했다는 말은 뭔가 근거가 있어야 김시추의 이야기를 수긍할 수 있을 듯하였다.
그러는 한편으로, 김시추는 최명길을 지나치게 칭찬하고 높이고 있었다. 또한 김진이란 자에 대한 칭찬도 빼놓지 않았다. 김진과 이도장, 이도란 자들은 모두 최명길의 노예였다. 김시추는 내시교관으로 말미를 얻어 고향에 왔다가 지금 다시 서울로 올라갈 예정이었는데, 백발이 성성한 그는 고려시대에 여진족을 신하의 예로 섬긴 것을 끌어대어 지금 청나라를 신하의 예로 섬기는 것을 당연한 것이라 말하기도 하고, 또 김부식의 이야기를 끌어대면서 지금 오랑캐를 섬기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말하기도 했다.
명나라 조정을 배반한 일도 당연한 일이요, 오랑캐를 도와 명나라를 침범하는 일도 당연한 일이라 했다. 덧붙여 최명길을 충신이라고 극구 칭찬하였다. 김시추의 말을 듣고 있던 김령은 불쾌한 감정을 숨기지 못하였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계암일록(溪巖日錄)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김령(金坽)
주제 : 사람과 사람들
시기 : 1638-09-26 ~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김령, 김시추, 김상헌, 최명길, 김진, 이도장, 이도, 김부식
참고자료링크 :
승정원일기
웹진 담談 35호
조선왕조실록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이도장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이도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최명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김시추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김령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김상헌
관련 배경이야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638년
9월 26일
맑고 추웠다. 강씨 집의 인편이 돌아갔다. 오후 늦게 교관 김자첨金子瞻이 들렀다. 자첨이 김상헌의 죄를 크게 떠들어 대었다. 김공(김상헌)은 자기 무리를 심고 권력을 전횡하며 음흉하고 악독하며 잔인하여 국가를 이 지경에 이르게 했으니, 모두 그의 죄라고 했다. 그러나 근래에 오랑캐에게 굴욕을 당한 것을 치욕이라며 황조(명나라 조정)를 배반할 수 없다고 칭탁하면서 자신의 아름다운 이름을 팔았다고 논한 것은 반드시 그 실제를 확인한 뒤에야 다른 사람들을 승복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첨은 최명길을 지나치게 드높이고 겸하여 김진金振의 말을 거론했다. 김진과 이도장李道長·이도는 모두 최명길의 노예이다. 자첨은 내시교관으로서 말미를 얻어 고향에 왔는데, 지금 서울로 올라갈 예정이다. 백발을 어지럽게 휘날리며 고려 시대에 여진족을 신하의 예로 섬긴 것을 끌어대어 지금의 오랑캐와 비교하고, 또 김부식의 이야기를 끌어 대면서 지금 오랑캐를 섬기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명나라 조정을 배반하는 것에 대해 당연시하고, 오랑캐를 도와 명나라를 침범하는 것도 당연시했으며, 최명길을 충신이라고 극구 칭찬했다.
이미지
청나라국기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김성일의 손자 김시추의 행실을 듣다
1631-07-17
경상북도 안동시
2
술을 마시고 실언을 하다
1634-03-20
경상북도 안동시
3
처사 남치리를 배향하는 문제로 다투다
1634-08-21
경상북도 안동시
4
유백증이 청금록에서 삭제되다
1634-08-27
경상북도 안동시
5
추숭 문제로 인근 유림들이 상소를 준비하다
1634-08-12
경상북도 안동시
6
오랑캐들이 돌아가다
1637-02-13
경상북도 안동시
7
한여직의 며느리가 오랑캐의 포로가 되다
1637-03-17
경상북도 안동시
8
전란 이후에도 부녀자들의 환란은 끝나지 않았다
1637-05-26
경상북도 안동시
9
조정 대신들 중 아직도 척화를 고수하는 자들이 있다 한다
1637-06-02
경상북도 안동시
10
이도가 변심하여 최명길의 편이 되다
1637-07-25
경상북도 안동시
11
남이공이 인사를 멋대로 휘두르다
1638-06-30
경상북도 안동시
12
경차관이 김령의 집에 들르다
1638-10-15
경상북도 안동시
13
벼슬을 따라 손바닥 뒤집듯 의견을 바꾸다
1639-02-22
경상북도 안동시
14
척화 대신 김상헌이 죽음을 면하였다고 한다
1640-12-08
경상북도 안동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