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경제
> 가계경영과 노동
페이스북
스크랩
양봉을 시도하다
1598년 5월 7일, 오희문은 올해 양봉을 해 보기로 하였다. 강원도에서는 벌이 많기도 하였고, 식구들에게 새로운 먹거리도 마련할 겸, 처음으로 양봉을 시도해 보기로 한 것이다. 이리하여 얼마전 지인에게 몇 개의 벌통을 받았는데, 가져올 때 잘못하여 벌들이 대부분 죽어버린 일이 있었다.
어제는 신수함에게서 벌통을 받았는데, 이 벌통의 새끼벌들을 오희문의 벌통으로 옮길 셈이었다. 신수함의 벌통에 연기를 쏘이자 새끼벌들이 나왔다. 이후 벌통을 동쪽 울타리 밖의 배나무에 매달고 종 수이로 하여금 벌들을 벌통으로 받으려 하였는데, 이 벌들이 도로 흩어져서는 뒷산 한마장이나 되는 숲 나무 밑에 모였다. 그리하여 간신히 이 벌들을 통에 담았다가 희철의 방 밖에다가 앉혀두었다. 거의 벌들을 날려 버릴 뻔하다가 도로 잡았으니 기쁜 일이었다. 종 수이는 처음 해보는 양봉이라 벌을 치는 법도 잘 모르고, 미끄러운 그릇에 벌들을 담으려 했는데 그것이 실수였던 것이다. 들어보니 미끄러운 그릇에 받게 되면 얼마 안가 벌들이 다 도망한다고 한다.
아니나 다를까 오늘 보니 어제 잡은 아기벌들은 그 집이 불안해서 흩어져 나와 오희문 집 앞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어느 벌들은 방에 들어와 옷을 뚫어서 식구들이 많이 벌에 쏘이고, 혹은 벌통에서 나와 멀리 날아가 버리니 난리 법석이었다. 오희문과 종들이 나서서 여러번 벌들을 모으니 날이 저문 후에야 모두 벌통으로 돌아갔다. 벌 기르는 법을 아는 자에게 물어 보니 모두 말하기를, 그대로 두면 모두 도망갈 것이니 그 통 구멍을 막아 며칠 두었다가 도로 빼주면 거의 머물러 있을 것이라 대답하였다. 그리하여 오희문은 종을 시켜 벌통을 막아두었는데, 오늘 저녁 거의 다 도망했다고 한다.
오희문은 새로 시도해 본 양봉이 쉽지 않음을 깨닫고 민망해 했다. 환갑이 훌쩍 넘은 나이에 아무것도 잘하는 것이 없고, 한낱 양봉도 잘하지 못하니 스스로가 민망하고 창피스러웠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쇄미록(𤨏尾錄)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오희문(吳希文)
주제 : ( 미분류 )
시기 : 1598-05-07 ~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강원도 평강군
일기분류 : 전쟁일기
인물 : 오희문, 신수함, 오희철
참고자료링크 :
조선왕조실록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오희문
관련 배경이야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관련 원문정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관련 멀티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딸 단아가 숨을 거두다
1597-02-01
강원도 평강군
2
밭갈 여력도 없이 온 집안이 누에에 매달리다
1598-05-09
강원도 평강군
3
쥐들이 누에를 잡아먹다
1598-05-18
강원도 평강군
4
병아리들을 모두 굶겨 죽이다
1598-05-26
강원도 평강군
5
이웃 할머니의 밭을 차경하다
1598-06-18
강원도 평강군
6
매 그물을 쳤으나 허탕을 치다
1598-10-08
강원도 평강군
7
공짜로 얻은 매로 꿩을 잡아 어머니를 봉양하다
1598-11-24
강원도 평강군
8
벌통안의 벌들이 모두 굶어죽다
1599-01-11
강원도 평강군
9
병아리를 키우기 위해 부석사로 보낸 고양이
1599-03-01
강원도 평강군
10
누이의 부음 소식에도 달려가지 못하는 신세
1599-04-21
강원도 평강군
11
가뭄에 농사를 걱정하다
1599-04-04
강원도 평강군
12
종들 방에 불이 붙어 수확한 팥을 태울 뻔하다
1599-09-12
강원도 평강군
13
덕노가 함흥에서 꿀을 팔아오다
1599-11-26
강원도 평강군
14
비로 한해 농사를 망칠 위기에 놓이다
1600-05-21
강원도 평강군
15
벌꿀로 겨울양식을 마련할 계획이 틀어지다
1600-09-15
강원도 평강군
16
매가 먹이를 먹지 않다
1600-09-22
강원도 평강군
17
마을 사람들과 작별의 정을 나누다
1601-02-20
강원도 평강군
18
마침내 꿈에 그리던 고향집으로
1601-02-22
경기도 광주
19
쇄미록을 마치다
1601-02-27
서울특별시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