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이웃과 어울리는 삶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테마스토리
가정
경제
공동체
공동 목표를 위한 조직과 협동
관리와 공조 및 대립
사람 사이 갈등과 범죄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이웃과 어울리는 삶
자연재해와 지역사회의 대응
주고받는 호의와 재화
죽은 자에 대한 기억과 예의
즐거운 경사와 잔치
지역사회의 공간 정비
학문으로 맺은 인연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나라의 정치
외교와 사행
전쟁, 혼란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학문과 과거
Home
>
테마스토리
>
공동체
> 이웃과 어울리는 삶
페이스북
스크랩
은거생활을 하는 어득강을 방문한 뒤 감사의 시를 받다
1519년 1월 23일, 고성현. 황사우는 아침에 대성전을 배알하고 향교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정오에 황사우는 감사와 우수사와 함께 은거생활을 하는 어득강 공의 집을 방문하였다. 근처에 이르자 어득강 공께서 대나무 껍질로 만든 갓을 쓰고 시골 사람 옷차림에 가죽 허리띠를 하고 일행을 맞이하러 나왔다. 어득강은 자신을 방문한 감사와 우수사, 황사우에게 산나물 안주와 탁주를 내와서 길에 자리를 펴고 앉아 이야기를 하였다. 어득강 공의 집에 도착하였다. 이때 어득강은 새로 별장을 짓고 있었다. 정자는 처음 지어 아직 지붕을 덮지 못하였고 그 옆에 초가를 지었는데 마치 절 집 같았다. 집 앞에 붙인 당호는 자신의 호를 따 관포당이라 하였다. 일행은 서재에도 들어가 보면서 집 구경을 하였다.
1519년 1월 26일, 함안군에 머물러 있을 때였다. 어득강 선생이 감사하는 시 4편을 부쳐왔다.
깃발을 앞세우고 감사께서 찾아오시니,
새 집 물색 달라지고 값이 더욱 높아졌네.
내가 허리 굽힌다고 이상하게 여기지 말게.
문 밖에 찾아든 수레로 나 또한 으쓱하다네.
두 냇물 다투듯 새 연못으로 흘러드니,
채마밭 물대려고 물동이 안고 수고할까?
대나무와 연꽃을 아직 모두 심지 못해,
손님이 찾아와도 즐기실 것 하나 없구나.
병든 내가 일찍이 막부의 빈객이 되어
밤낮으로 문서 더미 속에 묻혀 지냈지.
옛일 생각하니 훌륭한 분 만나게 되어
외람되이 문안 선물 자주 받아 의아하네.
문 앞에 꿩과 토끼 날로 많이 찾아들어,
내가 그물질에 마음 없다고 탓하네.
맛 좋은 술 빚어 이제 알맞게 익었는데,
사냥개 없으니 두견화나 띄워야겠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재영남일기(在嶺南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황사우(黃士祐)
주제 : ( 미분류 )
시기 : 1519-01-23 ~ 1519-01-26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남도 고성군, 경상남도 함안군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황사우, 어득강
참고자료링크 :
조선왕조실록
◆ 어득강
어득강은 벼슬살이에서 지속적인 안정과 보신을 위해 힘쓰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자유롭게 살아서 염퇴(恬退, 명예나 이익을 좇을 마음이 없어 벼슬을 내놓고 물러남)의 절개가 있는 인물로 평가된다. 또한 염치를 숭상하며 어떤 이익에도 구속을 받지 않았다. 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1518년 10월 21일, 어득강은 사간원 헌납으로 관직을 제수 받는다. 하지만 지방에 내려와 올라오지 않았던 어득강은 바로 그 다음날인 10월 22일, 관직을 잃는다. 이날의 기록이다.
간원이 아뢰기를, “헌납 어득강은 벼슬에 담담하여 물러나는 것을 편하게 생각하니 진실로 착한 사람입니다. 그러나 전에 홍문관 교리가 되었을 적에 신병으로 오지 않았습니다. 근일에 사중(司中)에 궐원이 많아서 3원(員)만 있으니, 한 사람이 사고가 있으면 관사(官司)에 좌기(坐起)할 수 없습니다. 어득강이 병들었는지는 지금 알 수 없으나 외방에서 오지 않으니 체직하소서.”하니 전교하기를 “어득강은 체직하도록 하라.”
중종 24년 6월 실록에 기록된 어득강에 대한 평은 이렇다.
사신은 논한다. “득강은 동료들의 농담을 가지고 사피하다가 도리어 공격한 것처럼 되었으니, 사체에 어긋남이 심하였다. 그는 성격이 본래 우활한데다가 또 사체를 몰랐으므로, 그의 일과 처사가 모두 아이들 장난과 같았다. 그러나 염치를 숭상하여 시골집의 가난하기가 빈한한 사람과 다름없이 청빈하였다. 그리고 공명의 득실 때문에 근심하지 않았으니, 세상을 경계시키기에 충분한 사람이다. 또 논한다. 득강은 벼슬길에 나가기를 좋아하지 아니하여 염퇴의 절개가 있었다. 그러나 성격과 행동이 경박하고 주장에 뿌리가 없었다. 간관에 발탁되어서는 동료들과 일을 의논할 때 의견의 차이가 많았고, 바른 말을 아뢰어 상의 잘못을 도왔다는 말을 못 들었다. 이때에 이르러 헌부가 탄핵하여 파직시켰다.”
이황의 『어관포시집발』에는 어득강의 사람됨과 시의 특징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그 시를 읽고 기뻐할 만하고, 그 사람을 찾아 그리워할 만하다면 이와 같은 사람이 과연 세상에 전하는데 모자람이 있겠는가? 관포 어선생은 태어나면서 세상을 벗어난 표징이 있고, 어지러워도 완전히 물러나지 않고, 다스려져도 나아가기를 찾지 않았으며, 나아가서도 옥당의 금마를 즐거워하지 않고, 뜻을 얻지 못하여 고을의 수령이 되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한수 북쪽에 사는 노인의 기심을 잊음이요, 동방삭의 익살이었으며, 산수와 연하를 좋아하는 병이 있어 평생토록 그 즐거움을 누렸으니 그 사람됨이 어떠하겠는가?”
어득강은 인품에 있어서 치란(治亂, 혼란한 세상을 다스림)에 상관하지 않고 스스로 당당함을 지키고 세속의 변화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면서, 산수와 연하를 좋아하여 평생 자연 속에서 노니는 즐거움을 누렸다. 시에 있어서는 성쇠(盛衰)에 관계없이 기고(奇古, 기이하고 예스럽고 고아함)와 호건(豪健, 아주 잘나고 굳셈)의 기품을 보여 시의 격조도 매우 뛰어나서 사람됨과 시의 품격이 같은 수준이었다. 어득강은 이념적인 면에서 김종직·유호인·조위·정여창 등의 뒤를 잇고 있다는 자긍심이 있었고 염퇴의 절개와 실천적 삶에 있어서는 동시대의 이현보·송흠 등과 함께 향촌의 문화를 열어갔다.
어득강을 소설화한 작품이 『어득강전』이다. 『어득강전』은 중세적 신분질서와 개인의 지략과 언변이 대결하는 ‘속이고 속는 사연’으로 분류되는 유형의 설화로, 아전이나 관노가 원님을 골탕 먹이는 이야기와 유사하다. 작가와 창작시기는 분명하게 밝혀진바 없지만, 중세적 관료체제에 부정적 인식을 가졌던 평안도의 몰락한 향반층의 작가인 이의문와 이오운이 19세기 후반 혹은 20세기 초엽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소설 속의 어득강과 사실은 다른 부분이 있다. 실재와 달리 소설 속의 어득강은 세종조의 인물로 설정되어 있어 관직도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어득강의 성격은 소설에서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대동야승》과 《연려실기술》에는 어득강의 성격을 보여주는 기록이 있다. 첫째, 어득강은 벼슬에 뜻이 없어서 물러가기를 좋아하였고, 좋은 벼슬로 불러도 나가지 않았으며, 종 하나를 데리고 손수 밥을 지어먹으며 지냈다는 기록. 둘째, 누군가가 정만종이라는 사람이 문학이라는 벼슬을 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전하자, 어득강이 “내가 일찍 문학이 되었는데 어찌 정씨가 문학이 되었다고 하는가?”라고 농을 하자 같이 있던 사람들이 포복절도 하였다는 기록이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519년 1월 23일. 날씨 맑음. 고성현(固城縣)에 머물렀다. ◎ 아침에 대성전(大聖殿)을 배알하고, 향교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원경(李元卿)은 향교로 가서 함께 이야기하였고, 허순(許珣) 공은 집으로 돌아갔다. 정오에 감사(監司)와 우수사(右水使)와 함께 은거생활을 하는 어득강(魚得江) 공의 집을 방문하였다. 근교(近郊)에 이르자 어득강(魚得江) 공께서 황관(黃冠)을 쓰고 시골 사람 옷차림에 가죽 허리띠를 하고서 야외에서 맞이하였다. 산나물 안주와 탁주(濁酒)를 내와서 길에서 자리를 펴고 앉아 이야기를 하였다. 초계(草溪)에 귀양 와 있던 진성수(珍城守)도 참석하였다. 어득강(魚得江) 공의 집에 도착하였다. 공께서는 이 때 새로 별장을 지었는데, 정자(亭子)는 처음 지어 아직 지붕을 덮지 못하였고, 그 옆에 초가를 지었는데, 한결같이 마치 절 집 같았다. 당호를 관포당(灌圃堂)이라 하였다. 우리 일행은 서재(書齋)에 들어가 보고, 다시 앉아서 절차에 따라 예를 행하였다. 해가 기울고서야 돌아왔다. 풍기(豊基)사람 세형(世亨)이 집안 편지를 가지고 왔다. 돌아가는 편에 백동(白洞)에 편지를 보냈다. 어득강(魚得江)의 자(字)는 자유(子游)이다. 1519년 1월 26일. 날씨 맑음. 함안군(咸安郡)에 머물렀다. 유생(儒生) 전체를 대상으로 고강(考講)하였다. ◎ 어자유(魚子游) 선생이 감사하는 시를 부쳐왔는데, 旗纛前驅又節施 깃발을 앞세우고 감사께서 찾아오시니, 新居動色價增高 새 집 물색 달라지고 값이 더욱 높아졌네. 里人莫怪書生屈 내가 허리 굽힌다고 이상하게 여기지 말게. 門外輪我蹄亦豪 문 밖에 찾아든 수레로 나 또한 으쓱하다네. 라 하였고, 또 兩溪爭瀉入新池 두 냇물 다투듯 새 연못으로 흘러드니, 灌圃何勞抱甕爲 채마밭 물대려고 물동이 안고 수고할까? 西竹南蓮俱未種 대나무와 연꽃을 아직 모두 심지 못해, 客來無物可娛之 손님이 찾아와도 즐기실 것 하나 없구나. 라고 하였으며, 또 炳夫曾作幕中賓 병든 내가 일찍이 막부의 빈객이 되어 日夜文書高沒人 밤낮으로 문서 더미 속에 묻혀 지냈지. 思舊政如牛見月 옛 일 생각하니 훌륭한 분 만나게 되어 猥承問貺怪其頻 외람되이 문안 선물 자주 받아 의아하네. 라고 하였으며, 또 門前雉兎日來多 문 앞에 꿩과 토끼 날로 많이 찾아들어, 病我無心事畢羅 내가 그물질에 마음 없다고 탓하네. 釀得美醪今可熟 맛 좋은 술 빚어 이제 알맞게 익었는데, 顧無鷹背落鵑花 사냥개 없으니 두견화나 띄워야겠네. 라고 하였다. 단성현감(丹城縣監) 조적(趙績) 공기(公紀)가 상주(喪主)로서 저녁에 내방하여 잠시 이야기를 하다가 헤어졌다. 이주(李澍)와 함께 자며 이야기를 하였다.
3D
용수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관련 이야기 소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