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 검색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
시기
-
벌거벗고 물놀이를 하던 승려, 벌에 이마를 쏘이다
1618년 윤4월 20일 무인 맑음. 남도 유람 중이던 양경우는 다리에 종기가 생겨 산을 오르지 못하였다. 쓸쓸하게 우두커니 앉아 있는데, 늙은 승려가 양경우를 찾아와,
“절 뒤에 맑은 여울과 무성한 숲이 있어 더위를 식힐 만합니다.”
라고 하고 앞에서 인도하여 북쪽 담장을 나와 나를 작은 대(臺)의 위에 앉혔다. 녹음은 자리에 가득하고 한 줄기 흐르는 샘은 콸콸 소리를 내면서 대를 따라 아래로 달려 내려간다. 단애(斷崖)를 만나 폭포를 이루며 하얗게 물방울을 튀기며 내려가는 것이 이층을 이룬다. 그 높이를 통틀어 계산해보니 4, 5길 정도 된다.
그 아래는 물이 고여 깊은 연못을 이룬다. 연못은 두 개의 이름이 있는데, 폭포연(瀑布淵)이라고도 하고 북지당(北池塘)이라고도 한다. 곁에 있던 종이 양경우에게 말하기를,
“이곳의 승려들은 물장난을 잘하는데 볼만합니다.”
라고 하였다. 양경우가 늙은 승려에게 명하여 해보라고 하였다. 이에 젊은 중 7, 8명이 발가벗고 연못 위에 서서 두 손으로 음낭을 가리고 다리를 모아 우뚝 섰다.
연못 가운데로 뛰어들어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자는 잘하는 축인데, 뛰어드는 처음에는 그가 간 곳을 모르다가 한참 지난 뒤에 머리를 솟구쳐서 밖으로 나온다. 이윽고 나왔다가 다시 그렇게 하여 앞에 하는 자와 뒤에 하는 자가 서로 쉬지 않고 한다. 그 가운데 한 중이 물속에서 나왔다숨었다 하는 것이 매우 빨랐다. 바야흐로 연못 위에 서 있는데 큰 벌이 숲에서 나와 그 이마를 쏘니 승려가 땅에 넘어져 울부짖었다. 잠깐 사이에 눈과 눈썹을 분간할 수 없게 되어 마침내 즐겁지 않은 상태에서 파하였다.

닫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