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사람들과의 교유와 어울림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지방관, 관청과의 공조와 대립
지역 사업의 추진과 운영
지역사회내의 정치와 갈등
지역사회의 사건과 재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질병과 의료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인물스토리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왕실
외국인
중인
하층민
Home
>
인물스토리
>
양반
>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페이스북
스크랩
노비의 제사를 위해 절을 찾다 - 아끼던 노비의 죽음, 슬퍼하는 양반 주인
1616년 12월은 전염병으로 인근이 흉흉하던 때였다. 그런데 12월 5일 세복(世卜)이의 병이 중하다고 그의 자녀들이 김택룡에게 찾아 와서 말하는 것이 아닌가? 세복이의 약을 구해보려 하였으나 구하지 못해 택룡은 마음이 영 불편하였다. 다음 날, 택룡은 세복이의 병이 더 심해졌다는 소식을 듣고
소합원(蘇合元)
한 알을 애써 구해 보냈다. 그러나 약을 구해 보낸 보람도 없이 세복이 저녁에 죽었다는 것이었다. 택룡은 세복이의 죽음을 전해 듣고 참담해 하며 말을 잇지 못했다. 택룡 뿐만 아니라 온 집안이 매우 상심하고 애통해하였다. 택룡은 슬퍼하며 밤에도 잠을 이루지 못하고 뒤척거렸다.
날이 밝자 김기룡이 와서 세복의 사망소식을 전해주었다. 그러나 택룡은 의욕이 없고 만사가 귀찮은 나머지 김기룡을 직접 만나지 않고 생질 정득이를 시켜 대신 만나게 하고 그를 돌려보냈다. 심선달·황유문·심학해·심룡해·심만해 등 여러 사람이 찾아와서 노비를 잃은 것에 대해 위로하였다. 택룡은 동네의 아랫사람들에게 세복이의 죽음을 알리며 그를 매장하라고 지시하였다. 다음 날 8일에 택룡은 덕현(德峴)의 세복이 집에 사람을 보내 안부를 묻고 그를 매장하는 일에 대해 알렸다. 그리고 관판[棺板 : 관을 만들 때 쓰는 넓고 긴 널빤지]을 확보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말하였더니, 이미 그 곳에서 구입하였다고 회답이 왔다. 동네 하인배들이 세복이 묏자리를 정했다고 알려왔다.
다음 날 운산(雲山) 아래 세복이를 장사지냈다. 이틀 뒤 11일에 택룡은 어음사(漁陰寺)에 갔는데 세복의
초재(初齋)
이기 때문이었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조성당일기(操省堂日記)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김택룡(金澤龍)
주제 : 신분과 대우, 노비의 장례
시기 : 1616-12-05 ~ 1616-12-11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기분류 : 생활일기
인물 : 김택룡, 세복이, 김기룡
참고자료링크 :
조선왕조실록
◆ 조선시대 노비제도
노비는 소유주에 따라 공노비와 사노비로 크게 구분되는데, 이들은 다시 각각 소유주와 함께 사는 솔거노비(率居奴婢)와 함께 살지 않는 외거노비로 나뉜다. 따라서 공노비로서의 솔거노비와 외거노비, 사노비로서의 솔거노비와 외거노비가 있었다. 솔거와 외거의 구분이 생긴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고려 태조 때 이미 외거노비의 존재가 나타나고 있어 그 연원은 매우 오래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노비 가운데 외거노비는 주인과 멀리 떨어져 독립호를 이루면서 대체로 주인의 토지를 경작하거나 다른 사람의 것을 빌려 경작하고 1년에 1.5~2필 정도의 신공(身貢)을 납부했다.
이들은 주인집에 함께 살면서 농사와 집안의 잡일에 혹사당하던 솔거노비보다는 사회경제적 처지가 나아 이들 중 일부는 토지와 가옥, 심지어 노비까지 소유했다고 한다.
세복은 김택룡의 외거노비였던 것으로 보인다. 독립적으로 가정을 이루고 살면서 주인 집안의 대소사를 돕고 또 관리하였다. 김택룡은 세복이 죽기 전까지 많은 일을 세복이에게 맡겼다. 노비의 죽음은 곧 재산의 상실을 뜻하기 때문에 양반주인은 상심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여기에서 김택룡이 매우 슬퍼한 것은 세복이와 김택룡의 관계가 주인과 노비의 단순관계 이상이었음을 보여준다. 김택룡이 세복이의 장사에 관심을 쏟은 것이나 초재(初齋)를 챙긴 것도 그 때문이다. 조선시대 노비와 주인 사이에 갈등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1616년 12월 5일 맑고 매우 추움
세복이의 병이 중하다고 그의 자녀들이 와서 말하였다. 약을 구하였으나 구하지 못하였다.
1616년 12월 6일 맑고 매우 추움
세복의 병이 심하다는 소식을 듣고, 소합원蘇合元 한 알을 보냈다. 저녁에 세복이 죽었다고 들었다. 참담하여 무어라 말할 수 없다. 온 집안에서 너무 상심하고 애통해 한다. 밤에도 잘 수가 없었다.
1616년 12월 7일 맑고 매우 추움
김기룡이 와서 세복의 사망소식을 말하였다. 접견하지 않고 생질 정득이 상대해서 말하고 보냈다. 심 선달·황유문·심학해·룡해·만해 등 여러 사람이 와서 노를 잃은 일을 위로하였다. 동네의 아랫사람[下人]들에게 알려 매장하라고 하였다.
1616년 12월 8일 맑음. 밤에 약간 눈.
사람을 덕현德峴과 □□에 보내어 안부를 묻고 세복이의 매장하는 일에 대해 말하였다. 또 관판棺板를 조치하는 문제를 말했다. 이미 덕현에서 구입하였으며 하인배들이 묏자리를 정했다고 한다. 박선윤이 와서 위로하였다.
1616년 12월 9일 잠깐 눈. 바람 붐.
이날은 운산雲山 아래 세복이를 안장하였다.
1616년 12월 11일 맑음
□□□□어음사漁陰寺에 갔는데 세복의 초재初齋이기 때문이다.
관련 멀티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1
늙은 종 범정(凡丁)의 죽음
1584-01-17
경상북도 예천군
2
노비가 죽어도 가야금 뜯으며 노래하는 밤
1770-09-16
경상북도 구미시
3
병든 노비를 위해 식량을 남겨두고, 배고픔, 두려움과 싸우...
경상남도 합천군
4
각별한 존재 노비 연금이, 군대에 갔다가 한 달 만에 돌아...
1593-05-09
경상남도 합천군
5
주인을 모함하는 자리에 끌려간 노비, 끝내 입을 열지 않고...
1611-03-01
경상북도 안동시
6
종 막정이 죽다
1595-12-18
7
아들 윤겸이 전장으로 나가게 되다
1597-08-09
강원도 평강군
8
자손이 없는 노비들의 제사를 지내주다
1597-08-15
강원도 평강군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