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안동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공모전
콘퍼런스
테마스토리
가정
가족, 친족과의 왕래와 갈등
개인의 일생과 통과의례
그리운 가족
노비들의 삶
경제
가계경영과 노동
고달픈 세금과 부역
시장과 거래
자연재해와 흉년의 기록
공동체
사람들과의 교유와 어울림
울고 웃기는 소문과 이야기들
지방관, 관청과의 공조와 대립
지역 사업의 추진과 운영
지역사회내의 정치와 갈등
지역사회의 사건과 재해
근대화와 식민지의 시대
구국에 나선 의인들
나라를 위한 무장투쟁
신문물의 물결과 변화하는 조선
이역만리에서의 독립운동
혼란한 정국
나라의 정치
관직생활
국가의 경조사
국왕의 명령
왕실 사람들의 이야기
조정의 갈등과 대립
조정의 사건과 사고
외교와 사행
사행길의 사건사고들
사행길의 여정
외교정책의 수행
외국 사람들과의 만남
외국의 자연과 문물의 경험
전쟁, 혼란의 기록
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전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전쟁의 진행과 양상
피난과 궁핍의 기록
풍류와 놀이, 여행의 기록들
유람과 감상
유람과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
유흥의 기록
자연과 고적에 얽힌 이야기
하층민의 놀이와 즐거움
학문과 과거
과거 급제의 영예
과거의 부정부패
끝없는 학문의 세계
어렵고 힘든 과거시험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는 양반
고을일에 참여하는 양반
과거시험을 치르는 양반
나랏일을 걱정하는 양반
난리를 만난 양반
대립과 갈등에 놓인 양반
사람들과 교유하는 양반
일상을 고찰하는 양반
일신상의 문제가 생긴 양반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풍문과 소식을 듣는 양반
학문하는 양반
여성
기생
양반가의 여성
왕실의 여인들
풍류와 유람을 즐기는 양반
하층민 여성
왕실
국난을 만난 국왕
국정을 돌보는 국왕
왕실의 사람들
왕을 보필하는 세자
한 집안의 가장인 국왕
외국인
군대를 이끌고 온 외국장수
외국의 외교관
조선인을 만난 외국인
중인
의료를 담당하는 의원(의관)
향리
하층민
고된 삶을 사는 노비
기술자의 삶, 장인
무속인
부역과 노동에 지친 백성
장사로 삶을 영위하는 상인
천대받는 승려
배경이야기
경제
군제와 군역
농업과 가계경영
산업과 시장
세금과 부역
환경과 재해
교육과 과거
과거
교육기관
학문과 출판
인물
문화
고사, 고적
관습, 풍속
군제와 군역
놀이
예술
의례
의식주
종교
질병과 의료
사회
가족과 일상의례
신분
지역공동체
질병과 의료
전쟁과 외교
국제정세
민간인 교류
외교
전쟁
정치와 행정
사건
사법
왕실
정쟁
정치행정제도
지방제도
일기정보
서명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저자별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멀티미디어
내용유형
공간자료
사건자료
소품자료
인물자료
절차자료
참고자료
미디어유형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이미지
공지사항
활용사례
로그인
소개
웹진담담신청하기
활용가이드
용어사전
전통과기록
페이스북
블로그
▲ top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일기
상세검색
디렉토리검색
전체
전체
출전
이야기소재
배경
멀티미디어
유교넷이야기
검색어
시기
-
검색
다시입력
인물스토리
관리
가족, 동료와 교류하는 관리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무인의 길을 걷는 관리
바른말을 하는 관리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관리
선정을 베푸는 청렴한 관리
외교를 수행하는 관리
인사발령을 받은 관리
정치적 갈등에 직면한 관리
죄를 지은 관리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
양반
여성
왕실
외국인
중인
하층민
Home
>
인물스토리
>
관리
> 나라의 변란을 맞이한 관리
페이스북
스크랩
정탐가로 변신한 선비와 의병의 활약 - 왕세자에게 전국에 퍼져있는 적세를 아뢰다
1592년 8월 6일, 성천으로 간 왕세자와 그 일행(이들을 분리된 조정, 즉 분조(分朝)라 한다)들은 각 지방의 적세를 정탐하기 시작하였다. 이 정탐 가운데서는 그 지역에 있는 사람들이
분조(分朝)
가 있는 성천으로 직접 와 알려주는 경우도 많았다.
우선 평양에 있는 적들은 일부가
중화(中和)
로 물러 나와 있었다. 하지만 평양성에 남아 있는 적들은 성의 안팎을 무수히 방화하고 있었고, 또
강동(江東)
근처의 민가들을 계속 해서 약탈하고 노략질하였다. 평양의 적들은 평양성을 근거로 그 주위를 마음대로 활개치고 있는 것이었다. 이를 막음과 동시에 평양성을 탈환하기 위해 순변사(巡邊使)
이일(李鎰)
이 강동을 거쳐 곧장 평양으로 가
이빈(李蘋)
과 평양성을 협공을 하려 하였으나, 만약 적들이 우리가 평양성을 공격하여 병력을 빼는 순간 이틈을 이용하여 강동으로 올까하여 함부로 움직이지 못하였다.
강원도의 사정도 그다지 여의치 않았다.
안변(安邊)
의 유생(儒生) 김경정(金景禎)과
덕원(德原)
의 유생 박기령(朴期齡) 등은 멀리서 직접 분조까지 걸어서 와 강원도 해안을 따라 함경도로 진출한 적들의 사정을 자세히 말하였다. 아울러 그들은 적의 수급까지 바쳤다. 그러면서 그들은 “백성들과 사대부들이 서로 단결하여 적들을 공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고을의 장수와 수령들이 없어 각자가 그렇게 할 따름입니다. 수령을 파견해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라고 말하였다. 이는 적들이 휩쓸고 간 지역에 장수나 수령 등이 없어 왜적들을 공격하는 데 구심점이 없다는 것이었다. 왕세자는 백성들의 요청에 따라 수령을 파견하려 하였는데, 덕원부사(德原府使)와 영흥판관(永興判官) 정도만을 겨우 파견하였다. 덕원부사의 경우 행차와 자신의 수하인 신경리(申景褵)까지 보내었으니, 다른 곳의 수령들은 사정상 파견하지도 못하였다.
경기도의 사정은 강원도보다 나은 편이었으나 마찬가지였다. 고양(高陽)에서 피란을 온 진사 이로(李櫓)는 변란의 초기부터 왜적들을 죽이고 여러 차례 수급을 바쳤다. 그리고 자신의 동지인 이봉춘(李逢春), 장응남(張應男), 안륵(安玏) 등을 이끌고 와 경기도의 적세를 소상히 아뢰었다. 경기도 역시 강원도와 마찬가지로 전란으로 수령이 비어 있는 곳이 많았다. 이에 이봉춘(李逢春), 장응남(張應男) 에 대해서는 장수 이일(李鎰)에게 보내 평양성 공격을 돕도록 하였고, 이로와 안륵은 각기 자신이 살던 고을의 수령으로 임명하였다. 그 밖의 고을들도 계속 그 지역에서 공을 세운 사람이나 관찰사 등이 추천하는 사람으로 임명하여 지역의 방어를 튼실히 하려 하였다.
개요
배경이야기
원문정보
멀티미디어
관련이야기
출전 :
피난행록(避難行錄)
전체이야기보기
저자 :
정탁(鄭琢)
주제 : 전쟁과 피란, 제2조정 활동과 이동
시기 : 1592-08-06
동일시기이야기소재
장소 : 평안남도 성천군
일기분류 : 전쟁일기
인물 : 광해군, 이일, 이빈, 김경정, 박기령, 신경리, 이로, 이봉춘, 장응남, 안륵
참고자료링크 :
조선왕조실록
◆ 성천 분조의 상황
이상의 기록은 1598년 8월 10일 기록인데, 그 상황은 대략 8월 5일에서 10까지의 분조(分朝)에서 일어난 상황들을 기록한 것이다. 이 시기 분조는 평안남도 성천에 있었다. 오늘날로 말하자면 임시정부가 서울에서 옮겨가 성천에 있는 것이다. 당시 왕 선조는 의주에 있어 백성들이 찾아가기에는 너무 멀었다. 그러나 분조를 맡고 있는 왕세자인 광해는 경기, 강원, 황해, 평안도는 물론 남쪽 지역과 모두 소통할 수 있었다. 특히 경기, 강원, 황해 및 평양 지역의 백성들은 가까운 분조를 찾아와 자기 지역의 상황을 설명하고 필요한 것을 분조에 요구하였다. 분조에서는 백성들의 요청을 하나하나 다 들어줄 수는 없었다. 백성들도 경제적이거나 또는 황당한 요구를 하지 않고, 대부분 관리에 대한 파견을 요청하였다. 왜적들이 휩쓸고 간 지역은 우선 수령들이 죽거나 도망가는 경우가 많았다. 경기와 강원 지역에서는 각 지역의 구심점을 할 수령들이 절실하였다. 따라서 광해군은 분조의 수행원까지 지역 관리로 파견하였다. 이는 백성 자신들의 안위를 자신들이 지키게끔 중앙에서 도움을 주는 것이다.
◆
원문 이미지
◆ 원문 번역
8월 6일(계사)
初六日癸巳.
강원 감사(江原監司) 강신(姜紳)이 순찰사(巡察使)를 겸하였다.
江原監司姜紳, 兼巡察使.
8월 10일(정유)
初十日丁酉.
다시 장계 두 편을 행재소에 올렸다.
又封狀啓二道于行在所.
문안드리러 갔던 사람들이 돌아와 행재소가 평안하다는 소식을 알게 되어 기쁘기 이루 한량없습니다. 동궁의 행차는 지금 성천(成川)에 머물러 있습니다. 평양의 적세(賊勢)를 계속하여 정탐해 보니 어떤 이는 “중화(中和)로 물러 나와 있지만 평양성에 남아있는 적들은 성의 안팎을 무수히 방화를 하고 있으며, 강동(江東) 근처의 민가들은 계속해서 약탈과 노략질을 일삼는데, 적의 무리들이 교활하여 나아가고 머무르는 것을 예측하기 힘들다”고 하였습니다. 순변사(巡邊使) 이일(李鎰)은 병력을 이끌고 강동의 길을 거쳐 곧장 평양으로 가 이빈(李薲)과 협공을 하려 하였으나, 행여 강동으로 적이 오는 길을 차단해야 할 것 같아 우선 이 곳에 머물러 있습니다. 근자에는 적세를 보고서 나아갈 바를 정하려 생각하옵니다.
안변(安邊)의 유생 김경정(金景禎)과 덕원(德原)의 유생 박기령(朴期齡) 등이 멀리서 걸어 와 북적(北賊)의 소식을 자세히 말하였으며 아울러 병급(兵級)을 바쳤습니다. 또 그들은 “강원도의 백성들과 사대부 등이 단결하여 적들을 공격하려 하나 여러 고을들이 대다수 비어 있고 이끌만한 장령(將領)이 없으니, 오래 비어 있는 관아의 수령을 파견해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덕원 부사(德原府使)와 영흥 판관(永興判官)을 겨우 파견하게 되었습니다. 이 밖에 안변과 문천(文川) 역시 매우 급박하나 참으로 합당한 사람이 없고, 멀리에 있는 사람은 길이 막히고 떨어져 있어 부임하기가 매우 어려워 비어 있는 벼슬자리에 관료를 완전히 임명하지 못하였습니다.
고양(高陽: 경기도)에서 피란(避亂)하여 온 진사(進士) 이로(李櫓)는 변란의 초기부터 의(義)를 떨쳐 적들을 죽이고 여러 차례 수급을 바쳤습니다. 지금 또한 자신의 동지(同志)인 이봉춘(李逢春), 장응남(張應男), 안륵(安玏) 등을 이끌고 와 경기도에서 벌어진 적들의 형세와 경위를 모두 보고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그들 모두 이미 공을 따져 관직에 제수하였는데, 이봉춘과 장응남은 이일(李鎰: 당시 순변사)이 있는 곳으로 보내어 함께 평양의 적들을 공격하게 하였으며, 이로(李櫓)와 안륵(安玏)은 본읍(本邑)으로 돌려보내 적들을 잡을 수 있도록 수령으로 제수하였습니다. 신들이 진실로 미안(未安)함을 알고 있으나, 일의 형편이 매우 급하고 행재소와 멀리 떨어져 있어 아뢰고서 재결을 받는 것은 하지 못하고 먼저 그들을 임명하였는데, 나중에 행재소의 정목(政目: 인사에 관련 사항)과 서로 중첩일 될 것입니다. 만약 아직 부임하지 못한 관원들은 행재소의 절목(節目)에 따라 시행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그 가운데 춘천 부사(春川府使) 박종남(朴宗男)은 춘천부가 장차 함락되려 하였기 때문에 급급하게 임명하여 보내어 부임한 지 이미 오래 되었습니다. 여주 목사(驪州牧使) 성영(成泳)은 본읍의 경내에서 군사들을 모았기에 목사로 제수하였는데, 생각건대 이미 부임하였지만 성영은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지 못한 것이 걱정되며, 또한 본주(本州)의 백성들이 원한 까닭에 박기백(朴己百)을 조방장으로 삼아 협력을 하여 적을 무찌르게 하였습니다. 마전(麻田)과 연천(連川)은 전 감사(前監司) 권징(權徵)이 두 고을이 오래 비어 있는 것을 염려하여 이형남(李亨男)과 김류(金騮)를 임시 수령으로 제수하였는데, 적을 방비하는 공로가 크게 있었으므로 계속 권차(權差)하였습니다. 지금 덕원 부사(德原府使)를 임명하려는 것은 덕원부의 유생들이 멀리서 와 수령[主倅]을 보내주기를 간청하였으므로, 행차의 부하(部下) 사람 신경리(申景褵)를 임명하여 지금 이미 출발하였습니다. 인천 부사(仁川府使) 윤건(尹健)은 경기 감사(京畿監司) 심대(沈岱)가 인천부를 오래 비워둘 수 없다고 힘써 말하였고 게다가 윤건을 합당한 인물이라 추천하였으므로 곧장 임명하여 파견하였습니다. 황해 방어사(黃海防禦使) 이시언(李時言)을 부득이 임명하여 파견한 경위에 대해서는 앞서 이미 장계를 올려 아뢰었습니다.
신들이 함부로 헤아려 이 나라의 형세가 위급한 날에 비어 있는 고을의 수령을 채워 나가는 것이 하루가 급하여 그 가장 급한 곳을 골라 여러 명을 임명하였습니다. 그러나 행재소와 중첩되게 제수한 일은 지극히 황공하나이다. 근자에 부득이 하게 제수한 사람들은 따로 기록하여 행재소에 올립니다. 이조 참의(吏曹參議) 이순인(李純仁)은 이달 10에 사망하여 종묘사직의 신주를 배행하는 일이 긴급하여 이관(李瓘)을 권차(權差)하였습니다.
○問安人回, 伏審行在平安消息, 不勝欣幸. 東宮行次, 時留成川. 平壤賊勢, 連次偵探, 則或云“還向中和, 城中留在之賊, 城內外無數放火, 江東近地民家, 連續焚蕩, 賊徒狡譎, 去留難測.” 巡邊使李鎰領兵, 由江東路, 直扺平壤, 與李薲欲爲夾擊, 似或遮蔽江東賊來之路, 故姑留于此, 近觀賊勢, 以定所向計料. 安邊儒生金景禎·德原儒生朴期齡等, 徒步遠來, 詳言北賊聲息, 兼獻兵級. 且云, “本道民人等, 欲團結擊賊而郡邑多空, 無人將領, 懇乞差出曠官守令.” 故德原府使·永興判官, 僅得差出. 此外安邊·文川, 亦爲緊急, 而苦無可合之人, 遠方之人, 道路阻隔, 赴任極難, 未得塡差. 高陽避亂人進士李櫓, 自變初, 奮義勦賊, 屢獻首級. 今又率其同志李逢春·張應男·安玏等, 來報京畿賊形止. 故皆已論功除職, 而李逢春·張應男, 則起送李鎰處, 使同擊平壤賊, 李櫓·安玏, 則還送本邑, 使之捕賊, 守令差除. 臣等固知未安, 而事機甚急, 行在隔遠, 未及稟裁, 先已權差之, 後與行在政目, 互*相重疊, 若未赴任之員, 自當依行在節目施行. 而其中春川府使朴宗男, 因本府將陷, 急急差遣, 赴任已久. 驪州牧使成泳, 聚軍本邑境內, 故因爲除授牧使, 想已赴任而祇恐成泳短於弓馬, 且因本州民願, 以朴已百爲助防將, 使之協力勦賊. 麻田·連川, 則前監司權徵以兩邑久曠爲慮, 以李亨男·金騮爲假守, 頗有禦賊之功, 故仍爲權差. 今方察任德原府使, 則因本府儒生遠來, 懇請差出主倅, 行次陪下人申景褵權差, 今已發行. 仁川府使尹健, 則京畿監司沈岱力言仁川不可久曠, 而且薦尹健可合, 故卽爲差送. 黃海防禦使李時言, 不得已差遣之意, 前已狀啓. 臣等妄料當此國勢岌岌之日, 塡差空邑守令, 一日爲急, 擇其最急處, 多數權差. 至於疊授, 極爲惶恐. 近日不得已權差人, 別錄上送. 吏曹參議李純仁, 本月初十日身死, 廟社主陪行緊急, 以李瓘權差矣.
경기 도순찰사(京畿都巡察使) 권징(權徵)의 장계와 경상 좌병사(慶尙左兵使) 박진(朴晉)의 장계가 이곳을 지나감에 경기와 영남의 적세를 알려하여 동궁께 아뢰고서 장계를 열어 본 뒤 다시 봉함하여 올립니다. 그런데 경기도의 적세가 기세등등한데도 이를 무찌를 장관(將官) 또한 의지할만한 사람이 없으니 매우 근심스럽습니다. 조경(趙儆)과 변응성(邊應星)은 일찍이 가평(可平: 경기도 가평)에서 패전한 죄에 대해서는 가장 가벼운 형별인[末減] 장을 친 이후 장계로 아뢰었습니다. 대개 신들이 어리석은 생각으로 지독한 이 사변(事變)의 시기에 만약 한결같이 군율을 따른다면 온전하게 남아 있을 사람이 더 이상 없을 것이니, 가벼이 죄를 논하여 뒷날 공을 세우게 하는 것이 진실로 마땅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경기 수사(京畿水使) 성응길(成應吉)의 대리로 최몽성(崔夢星)을 차출(差出)한 이유를 갖추어 장계에 아뢰었고, 부임을 재촉한다는 뜻을 경기 감사(京畿監司) 권징에게 관문(關文)으로 보내었습니다. 이 장계의 내용을 보니 아마도 아직 그렇게 된 것을 모르는 것 같습니다. 이에 최몽성의 부임 여부를 급히 사방으로 알린다는 뜻으로 이미 경기 감사(京畿監司)가 있는 곳으로 행문이첩(行文移牒)하였습니다.
○京畿都巡察使權徵狀啓及慶尙左兵使朴晉狀啓過此, 欲知京畿·嶺南賊勢, 稟于東宮, 開見後封送. 而畿甸賊勢熾盛, 勦捕將官, 亦無可仗之人, 極爲憫慮. 趙儆·邊應星, 曾以加平敗軍之罪, 末減決杖後啓聞. 蓋臣等愚意, 當此事變孔棘之時, 若一從軍律, 則更無完全之人, 固宜從輕論罪, 以責後效. 故京畿水使成應吉之代, 以崔夢星差出, 具由狀啓, 催促赴任之意, 通關于京畿監司權徵矣. 觀此狀辭, 恐是未及見知而然也. 玆以崔夢星赴任與否, 急速四報之意, 已爲行移于京畿監司處矣.
8월 13일(경자)
十三日庚子.
다시 장계 한 편을 행재소에 올렸다.
又封狀啓一道于行在所.
이 달 12일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 유대건(兪大健)이 [행재소에서] 돌아와, 성상(聖上)의 기체가 강녕함을 알게 되어 이루 지극히 기뻐마지 않습니다. 동궁께서는 지금 성천(成川)에 머물고 있습니다. 경상좌도 관찰사(慶尙左道觀察使) 김수(金晬)와 우도 관찰사(右道觀察使) 김성일(金誠一)의 장계를 지닌 사람이 이곳을 지나가기에 영남의 적세를 알려고 동궁께 아뢰고서 열어 본 뒤 다시 봉함하여 올려 보내니, 송구하기가 이를 데 없나이다.
○本月十二日, 宗簿*寺主簿*兪大健回還, 伏審聖候康寧, 不勝忻抃之至. 東宮時留成川. 慶尙左道觀察使金晬·右道觀察使金誠一狀啓齎持人過此, 欲知嶺南賊勢, 稟于東宮, 開見後, 還封上送, 至爲未安.
관련 멀티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날짜
장소
멀티미디어
관련 이야기 소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닫기
출전정보
출전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정보
저자미상
저자정보가 없습니다.
원문보기
닫기
관련목록
시기
동일시기 이야기소재
장소
출전